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의 지방자치단체장 선거공약 분석 = The Analysis of Campaign Pledge of Local Government Heads in Korea : Pattern, Trend, and Characteristic of Campaign Pledge in Local Elections : 지방선거 공약의 유형, 경향, 특징 박영환, 임유진, 정수현, 정회옥 p.101-125
Linking the Death Penalty to Trade = 사형제와 통상연계 : EU 조직 간 관료정치의 관점에서 : Bureaucratic Politics among European Institutions Ye June Jung, Min Gyo Koo p.67-99

아시아 지역에서의 미중 경쟁 = U.S.-China Competition in Asia : Continuity and Change of Soft Balancing : 연성균형의 지속과 변화 허재영 p.33-66
A New Road to the Welfare State=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복지제도로서의 기본소득 : 독일과 미국에 있어서 기본소득의 도입 가능성에 관한 분석 : Discussion on the Viability of Universal Basic Income 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hangrok Soh, Myung Ha Kim p.127-152

정당정치의 공고화와 정치적 부패 = Consolidation of Party Politics and Corruption : Cases of New Democracies with the Mixed-Member Majoritarian System : 혼합형 선거제 채택 국가 사례 연구 구본상 p.5-32
청소년 자살 예방과 ICT = Adolescent Suicide Prevention and ICT : Adolescent ICT for Expanding the View of Life and Suppressing Suicidal Ideation : 삶의 시야확대와 자살생각 억제를 위한 청소년 ICT 김상준, 이화준 p.153-181

참고문헌 (9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미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 소장
2 Bringing the Theoretical Debates on U.S.-China Hegemony Competition Back In 소장
3 중국 주도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은 미국의 세계경제패권에 대한 도전일까? 소장
4 미중 관계의 변화와 신동북아 질서 : 한국외교정책에 주는 시사점 소장
5 The Korean Peninsula at the Crossroads: Changes of US-China Relations in the 2010s and South Koreas Strategy 소장
6 김석우, 장숙인. 2016. “미국의 대아시아 정책의 변화와 중국의 대응.” 『아태연구』 23(4), 5-31. 미소장
7 김양규. 2011. “핵심이익 충돌과 미중관계의 미래.” 『EAI 미중관계 시리즈』, 1-8. 미소장
8 중국과 러시아의 대미 '연성균형'과 6자회담 소장
9 The theories, the reality, and the prospect of U.S.-China relations 소장
10 Changes in the US-China Relations and East Asian Security Order 소장
11 The Trump's foreign policy and outlook on relationship between U.S. and China 소장
12 김재철. 2016. 『중국, 미국 그리고 동아시아: 신흥 강대국의 부상과 지역질서』. 파주: 한울 아카데미. 미소장
13 박근혜 정부 전반기 4강외교 평가 : 미중 패권경쟁과 한국의 전략적 선택 소장
14 The RMB Exchange Rate Conflict and U.S.-China Relations - The decline of U.S. hegemony and its strategic choice 소장
15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Evaluation and Prospect 소장
16 East Asian Maritime Security in the Era of the Trump Administration : The Intensification of the Sino-US Competition and Naval Arms Build-ups 소장
17 박영준. 2016. “미-중간 해양경쟁과 아태지역 안보질서 전망.” 『EAI 연구보고서』, 1-40. 미소장
18 상하이협력기구(SCO)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 : 러중 전략적 안보관계를 중심으로 소장
19 미중의 지역내 패권경쟁 가능성과 우리의 전략적 선택방향 소장
20 Trump administration’s East Asia policy and prospects for US-Chinese relations 소장
21 Prospects for the U.S.-Chinese Relations After the End of Cold War: Duet for Competition and Cooperation 소장
22 The accidental denial of a hegemonic power's role : the reluctance of the U.S.'s role as a world leader and China's target of a niche market 소장
23 Future of U.S. 소장
24 The U.S.-China relation around East Asia: focusing on China's seeking for great naval power. 소장
25 아세안‧중국 경제관계의 심화와 전망 네이버 미소장
26 유현석. 2012. 『동아시아 지역주의: 평화, 번영, 인간안보의 지역적 모색』. 서울:집문당. 미소장
27 THAAD and AIIB: Implications for US-China Relations and South Korea 소장
28 제2기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전략과 미중 관계 : 남북한 한반도 정치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소장
29 이승주. 2017. “미국과 중국의 대 아시아 경제 전략.” 『EAI 연구보고서』, 1-19. 미소장
30 The Changes of American-Chinese Relations and North-South Korean Relations 소장
31 이재현. 2015. “TPP, AIIB, RCEP: 뜨거운 미·중 전략게임.” Chindia plus 111, 22-23. 미소장
32 이재형. 2015. “중국의 해양전략: 시진핑의 21세기 해상실크로드를 중심으로,”『국가전략연구』 15(2), 53-76. 미소장
33 이철용 외. 2017. 『향후 5년 미중관계의 변화와 영향』. 서울: LG경제연구원. 미소장
34 이춘근. 2016. 『미중 패권 경쟁과 한국의 전략: 미중 충돌과 한국의 지정학적위험 그리고 통일』. 서울: 김앤김북스. 미소장
35 전재성, 주재우. 2012. “미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미래 외교 과제.” EAI NSP Report 62, 1-31. 미소장
36 The U.S.-China Relations in the Era of Trump: Saga of THAAD deployment 네이버 미소장
37 정철호. 2013. 『미, 중 군사전략의 충돌 가능성과 한국의 대응』. 성남: 세종연구소. 미소장
38 정태헌. 2012. “17세기 북벌론과 21세기 반북론.” 이수훈, 조대엽 편. 『한반도통일론의 재구상』. 서울: 선인, 405-447. 미소장
39 최세균 외. 2011.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사례와 논의 동향 분석』.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미소장
40 The Unstability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U.S.-China and Korea Economy 소장
41 허문영 외. 2012. 『KINU 연구총서 12-07: 북방삼각관계 변화와 지속: 북한의 균형화 전략을 중심으로』. 서울: 통일연구원. 미소장
42 황지환. 2017. “미중 경쟁 관계와 북한.” 『EAI 국가안보패널 연구보고서』, 1-20. 미소장
43 Acharya, Amitav. 2014. “Thinking theoretically about Asian IR.” In David Shambaugh and Michael Yahuda, eds. International Relations of Asia. Lanham: Rowman & Littlefield, 59-89. 미소장
44 AMERICA'S PACIFIC CENTURY: THE FUTURE OF GEOPOLITICS WILL BE DECIDED IN ASIA, NOT IN AFGHANISTAN OR IRAQ, AND THE UNITED STATES SHOULD BE RIGHT AT THE CENTER OF THE ACTION 네이버 미소장
45 The History of the Twenty-First-Century Chinese Navy 네이버 미소장
46 Bucking Beijing: An Alternative U.S. China Policy 네이버 미소장
47 First Things First: The Pressing Danger of Crisis Instability in U.S.-China Relations 네이버 미소장
48 Journalism 네이버 미소장
49 Kang, David C. 2007. China Rising: Peace, Power and Order in East Asia.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미소장
50 Mearsheimer, John J. 2001.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New York: W. W. 미소장
51 How China Sees America: The Sum of Beijing's Fears 네이버 미소장
52 Soft Balancing against the United States 네이버 미소장
53 Paul, T. V. 2004. “The Enduring Axioms of Balance of Power Theory.” In James J. Wirtz and Michel Fortmann, eds. Balance of Power: Theory and Practice in the 21st century.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28. 미소장
54 Soft Balancing in the Age of U.S. Primacy 네이버 미소장
55 Power Transition and China–US Conflicts 네이버 미소장
56 “21세기의 칭기즈칸이 되고 싶은 시진핑.” 『중앙일보』 2017/11/16. 미소장
57 “말레이·스리랑카 이어 미얀마도 中 ‘일대일로’ 좌초 위기.” 『아시아경제』2018/06/04. 미소장
58 “미, 22년만에 필리핀 군기지 복귀 길터.” 『한겨레』 2014/04/29. 미소장
59 “美 국방수권법 10월 발효… 中 “냉전적 사고 버려야”.” 『국민일보』2018/08/15. 미소장
60 “미국, 베트남에 순시정 6척 제공…“중국 남중국해 진출 대항”.” 『뉴시스』2017/05/23. 미소장
61 “미, 베트남 무기 금수 전면 해제...” 『한겨레』 2016/05/24. “ 미소장
62 ‘美 우방’이었던 파키스탄, 이제는 중국과 전방위 군사협력.” 『연합뉴스』2018/01/08. 미소장
63 “미 “인도·태평양에 1억1300만달러 투자”…중 일대일로 견제.” 『경향신문』2018/08/01. 미소장
64 “美·태국 주최, 아태 최대 연합훈련 ‘코브라 골드’ 시작.” 『뉴시스』2018/02/13. 미소장
65 “사드, 8시간안에 ‘북한→중국 겨냥모드’ 전환 가능.” 『한겨레』 2015/06/03. 미소장
66 ““사드 봉인 안 돼… 中, 3不과 계속 연계할 것”.” 『한국일보』 2017/12/16. 미소장
67 “習 “중국夢 위해 분투… 국내외 형세 심각”.” 『문화일보』 2017/10/18. 미소장
68 “싱가포르-미국, 협력관계 강화.” 『KOTRA 해외시장뉴스』 2017/11/13. 미소장
69 “오락가락 두테르테… “미국 외에 군사동맹은 없다”.” 『문화일보』 2016/10/25. 미소장
70 “우리는 왜 사드 보복 뚫고 중국 시장서 이겨야 하나.” 『중앙일보』2017/10/10. 미소장
71 “일본 자위대 역할 ‘글로벌 확장’…중국 견제 ‘끈끈한 공조’.” 『한겨레』2015/04/28. 미소장
72 “중국만 배불리는 ‘일대일로’의 민낯.” 『조선일보』 2018/09/06. 미소장
73 “중국 왕이 “한국, 사드 고집 땐 안보 더 위험”.” 『경향신문』 2017/03/09. “ 미소장
74 “중국으로 돈 넘어간다” 미, 파키스탄 IMF 구제금융 제동.” 『연합뉴스』2018/08/01. 미소장
75 “중국 주도 AIIB 회원국 87개국으로 확대…레바논도 가입.” 『뉴시스』2018/06/27. 미소장
76 “중국 진주목걸이냐 미국 다이아몬드냐 … 한국의 선택은.” 『중앙일보』2017/12/22. 미소장
77 “中군함, 日영해 침범… 2004년 이후 처음.” 『동아일보』 2016/06/16. 미소장
78 “中전투기 잇단 대만 근접비행… 무력통일 위협.” 『동아일보』 2017/12/20. 미소장
79 “필리핀 두테르테 “국제정세 악화땐 중·러와 군사동맹 가능성”.” 『연합뉴스』2017/05/23. 미소장
80 “한·중 사드 협의가 안보에 족쇄가 되는 3가지 이유.” 『중앙일보』 2017/11/03. 미소장
81 “G2의 패권 전쟁, 관세폭탄 터졌다.” 『조선일보』 2018/07/07. 미소장
82 “China's Global Building Spree Runs Into Trouble in Pakistan.” Wall Street Journal. 2018/07/22. 미소장
83 “U.S. Aircraft Carrier Arrives in Vietnam, With a Message for China.” The New York Times. 2018/03/05. 미소장
84 “US, Vietnam Deepen Defense Ties.” The Diplomat. 2015/06/05. 미소장
85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https://www.sipri.org/sites/default/files/SIPRI-Milex-data-1949-2017.xlsx (2018/08/20 검색). 미소장
86 The Library of Congress Thomas. 2018. “H.R.5515 - John S. McCain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 for Fiscal Year 2019.” https://www.congress.gov/bill/115th-congress/house-bill/5515?q=%7B%22search%22%3A%5B%22National+Defense+Authorization+Act%22%5D%7D&r=2 (2018/8/30 검색). 미소장
87 U.S. Department of State. 2015. “U.S. Relations With India.” 09 October 2015, https://www.state.gov/r/pa/ei/bgn/3454.htm (2018/07/20 검색). 미소장
88 U.S. Department of State. 2017. “U.S. Relations With Pakistan.” 24 January 2017, https://www.state.gov/r/pa/ei/bgn/3453.htm (2018/07/20 검색). 미소장
89 U.S. Department of State. 2018a. “U.S. Relations With Japan.” 17 July 2018, https://www.state.gov/r/pa/ei/bgn/4142.htm (2018/07/20 검색). 미소장
90 U.S. Department of State. 2018b. “U.S. Relations With the Philippines.” 17 July 2018, https://www.state.gov/r/pa/ei/bgn/2794.htm (2018/07/20 검색). 미소장
91 U.S. Department of State. 2018c. “U.S. Relations With Thailand.” 17 July 2018, https://www.state.gov/r/pa/ei/bgn/2814.htm (2018/07/20 검색).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