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남중국해 분쟁에서 중국이 새로운 접근법으로 활용하고 있는 회색지대 전략의 수행방식을 살펴보고, 회색지대 전략이 채택 및 활용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1970년부터 2020년까지 남중국해 분쟁 데이터를 구축하여 회색지대 전략의 등장을 조명하고 특징과 전략적 영향을 분석했으며, 이후 회색지대 전략이 대내외적으로 어떠한 요인에 의해 채택 및 활용되는지 메커니즘을 추론했다. 분석의 결과, 내적 변수인 평판 제고, 외적 변수인 현상유지 딜레마와 국제법의 모호성이 일종의 타협책으로서 회색지대 전략을 형성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이 전 방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배경에서 본 연구는 회색지대 전략이 정책수단으로 고려 및 채택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는 의의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1세기 이후 영미권 학자들의 백두산연구 = Mount Paektu : Anglo-American scholars since the twenty-first century 유성희 p. 3-29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 = China’s gray zone strategy : the case of South China Sea conflict : 남중국해 분쟁 사례를 중심으로 마월, 구본윤 p. 31-58

민족 기업가 정신의 공간적 확산 = Spatial expansion of ethnic entrepreneurship : the case of Vietnamese immigrant-owned restaurants in Seoul : 서울 내 베트남 이주민의 음식점을 중심으로 김주락, Thi My Hang Bui, 허권 p. 59-81

아시아 지역 시민사회 농촌개발협력을 통한 성평등과 생태시민성의 실천 = Advancing gender equality and ecological citizenship through civil society organizations’ rur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Asia : returning Indonesian migrant women : 인도네시아 귀환이주여성을 중심으로 김효정 p. 83-117

식민지 유산과 저발전의 발전 = Colonial legacy and development of underdevelopment : formation of the Philippine elite and the path of economic development : 필리핀 엘리트 형성과 경제발전 경로 이혜민 p. 119-155

지속발전을 위한 중앙아시아 고위공무원 역량모델링 = Modeling the competencies of Central Asian senior civil servan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이찬, 박복미 p. 157-192

Examining the gradual anomaly of citizenship with a focus on non-citizens and refugees in India Monika Verma p. 193-222

참고문헌 (6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구민교. 2016. “미중 간의 신 해양패권 경쟁: 해상교통로를 둘러싼 ‘점-선-면’ 경쟁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5권 3호, 37-65. 미소장
2 구자선. 2015. “시진핑 체제 중국외교 기조의 지속과 변화.” 『인차이나브리프』 302호, 1-19. 미소장
3 김상걸. 2019. 『법의 정치화 및 무기화: 하이브리드 전쟁 수단으로서의 법률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미소장
4 김상걸. 2021. “하이브리드 전쟁 수단으로서의 법률전(Lawfare)의 맥락과 개념.” 『아주법학』 15권 1호, 105-135. 미소장
5 김상걸. 2021. “미국, 중국, 러시아 및 중동의 법률전(Lawfare)의 실행.” 『미국헌법연구』32권 1호, 167-210. 미소장
6 김석수. 2010. “남중국해 분쟁의 국제관계: 파라셀과 스프래틀리군도 분쟁을 중심으로.”『국가안보와 전략』 10권 4호, 257-286. 미소장
7 김소연· 문혜정·김현정. 2022. “중국 해경법 및 해상교통안전법의 국제법적 검토: 유엔해양법협약 규정과의 부합 여부를 중심으로.” 『아주법학』 15권 4호, 398-429. 미소장
8 김진호. 2020. “중국 해양 회색지대전략과 한국의 대응 방안.” 『한국동북아논총』 25권 2호, 81-100. 미소장
9 김태성·이상현. 2018. “중국의 군사력 증강(强軍夢)에 따른 한국의 전략적 대응방향.”『한국동북아논총』 23권 3호, 89-110. 미소장
10 김택연. 2016. “미· 중 관계와 남중국해 분쟁.” 『아태연구』 23권 2호, 41-76. 미소장
11 남동우. 2022.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과 한국의 대응방안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2 류병운. 2020. “국제법상 무력사용 금지와 새로운 안보 위협: 사이버전과 하이브리드전을 중심으로.” 『외법논집』 44권 3호, 157-187. 미소장
13 민귀식. 2021. “남중국해에서 미· 중 회색지대전략 경쟁에 대한 베트남과 필리핀의 대응.”『중국지식네트워크』 18권 18호, 39-106. 미소장
14 박동준. 2021. “평판에 대한 고려가 분쟁시 위기결정에 미치는 영향: 1950년대 제1-2차양안분쟁을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 24집 3호, 63-87. 미소장
15 반길주. 2020. “동북아 국가의 한국에 대한 회색지대전략과 한국의 대응방안.” 『한국군사』 7호, 35-69. 미소장
16 신종호. 2016. “시진핑 시기 중국의 대외전략 변화와 한반도 정책에 대한 영향.” 『통일정책연구』 25권 2호, 133-157. 미소장
17 양욱. 2020. “회색지대 분쟁 전략: 회색지대 분쟁의 개념과 군사적 함의.” 『전략연구』 27권 3호, 249-280. 미소장
18 오종석. 2009. “중 ·미, 남중국해 대치국면 확산 조짐.” 『국민일보』(3월 19일). 미소장
19 유동원. 2015. “중국의 남중국해 전략 변화: 새로운 확대전략의 실천과 특징.” 『중소연구』39권 3호, 185-219. 미소장
20 유철종. 2005. “남중국해의 남사군도(南沙群島) 영토분쟁에 관한 연구.” 『정치·정보연구』8권 2호, 1-36. 미소장
21 이대우. 2016.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과 미중관계.” 『KINU 통일+』 2권 3호, 4-19. 미소장
22 이동선. 2017. “양극체제와 비대칭전쟁의 장기화: 베트남전쟁의 이론적 분석.” 『아세아연구』 60권 2호, 422-455. 미소장
23 이상엽. 2017. “북핵·미사일 시대의 억제전략: 도전과 나아갈 방향.” 『STRATEGY 21』 20권 1호, 232-260. 미소장
24 이상현. 2020. “중국의 해양회색지대 전략에 대한 일본의 대응: 법적 기반정비와 해상안보· 보안체제 강화를 중심으로.” 『일본연구논총』 52호, 91-122. 미소장
25 이상회·장유락 ·이윤철. 2021. “중국 해상민병대의 국제법적 지위와 효과적 대응방안에관한 연구.” 『한국해양경찰학회보』 11권 2호, 235-255. 미소장
26 이서항. 2020.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과 해상민병대: 한국에 주는 함의.” 이어도연구회편. 『동아시아 해양분쟁과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 31-50. 고양: 인간사랑. 미소장
27 이은택. 2022. “美 “中, 남중국해 인공섬 최소 3곳 군사화 완료”.” 『동아일보』(3월 21일). 미소장
28 이은택·남궁영. 2019.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을 둘러싼 미· 중의 갈등: 공격적 현실주의접근.” 『국제관계연구』 24권 1호, 81-132. 미소장
29 이지용. 2014. “중국의 국가정체성 진화와 동아시아 해양안보환경 변화.” 『국제관계연구』19권 1호, 77-114. 미소장
30 정구연. 2018. “미중 세력전이와 미국 해양전략의 변화 회색지대 갈등을 중심으로.” 『국가전략』 24권 3호, 87-112. 미소장
31 정민정. 2022. “남중국해 중재판정과 미 항행의 자유 작전(FONOPs)의 관계.” 『법학연구』 30권 1호, 121-146. 미소장
32 조용수. 2020. “중국의 회색지대전략 메커니즘 분석을 통한 남중국해 및 동중국해 분쟁양상 비교: 시계열 데이터에 근거한 경험적 연구를 중심으로.” 『해양안보』 1권 1호, 273-310. 미소장
33 최현호. 2023. “中 관측기구, 세계 곳곳에 퍼져있다… ‘회색지대 전략’ 뭐길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41534(검색일: 2023. 2. 19.). 미소장
34 표나리. 2023.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과 3전의 전개: 한국에 대한 함의』.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미소장
35 한국국방연구원. 2022. “지역별 분쟁 분석자료” https://www.kida.re.kr/frt/board/frtNormalBoardDetail.do?sidx=2166&idx=91%20&depth=3&searchCondition=&searchKeyword=&pageIndex=1&lang=kr(검색일: 2022. 12. 31.). 미소장
36 황원준 ·이호령. 2020. “북한의 회색지대 전략: 단거리 미사일 발사 사례를 중심으로.”『국방연구』 63권 4호, 1-29. 미소장
37 人民日报. 2012. “习近平: 紧紧围绕坚持和发展中国特色社会主义 学习宣传贯彻党的十八大精神.”(11月 19日). 미소장
38 新华网. 2023. “以习近平同志为核心的党中央2022年治国理政述评.”(1月 5月). 미소장
39 张加军. 2010. “专家: 核心利益长期被侵 涉台等问题局部反攻.” 环球网(7月 29日). 미소장
40 中國南海网. 2022. “大事记” http://www.thesouthchinasea.org.cn/events.html(검색일:2022. 12. 31.). 미소장
41 中华人民共和国中央人民政府. 2012. “外交部发言人秦刚就美国务院发表所谓南海问题声明阐明中方严正立场.”(8月 4日). 미소장
42 中华人民共和国中央人民政府. 2013. “王毅: 警惕个别国家为一己私利在南海兴风作浪.”(5月 2日). 미소장
43 中华人民共和国中央人民政府. 2013. “王毅谈南海问题时指出中国愿与东盟共同努力排除干扰, 维护南海和平稳定.” (6月 30日). 미소장
44 中华人民共和国中央人民政府. 2014. “中国驻菲律宾大使馆就菲律宾向南海问题国际仲裁庭提交书面陈述举行媒体吹风会.” (4月 1日). 미소장
45 中华人民共和国中央人民政府. 2014. “外交部发言人洪磊就美方涉南海言论答记者问.”(7月 15日). 미소장
46 Bhatia, Kapil. 2018. “Coercive Gradualism through Gray Zone Statecraft in the South China Seas: China’s Strategy and Potential U.S. Options.” Joint Force Quarterly 91(4), 24-33. 미소장
47 Echevarria, Antulio J. II. 2016. Operating in the Gray Zone: An Alternative Paradigm for U.S. Military Strategy. Washington DC: Strategic Studies Institute. 미소장
48 Erickson, Andrew S. 2018. “Exposed: Pentagon Report Spotlights China’s Maritime Militia.” https://nationalinterest.org/feature/exposed-pentagon-reportspotlights-china%E2%80%99s-maritime-militia-29282(검색일: 2023. 5. 5). 미소장
49 Erickson, Andrew S. and Conor M. Kennedy. 2016. “China’s Maritime Militia: What It Is and How ti Deal with It.” Foreign Affairs 23. 미소장
50 Green, Michael J., John Schaus, Jake Douglas, Zack Cooper, and Kathleen H. Hicks. 2017. Countering Coercion in Maritime Asia: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ay Zone Deterrence. Washington DC: CSIS(Center for Strategic &International Studies). 미소장
51 Harold, Scott W., Nakagawa Yoshiaki, Fukuda Junichi, Davis, John. A, Kono Keiko, Cheng Dean, and Suzuki Kazuto. 2017. The US-Japan Alliance and Deterring Gray Zone Coercion in the Maritime, Cyber, and Space Domain. Santa Monica: RAND Corporation. 미소장
52 Hoffman, Frank G. 2016. “The Contemporary Spectrum of Conflict: Protracted, Gray Zone, Ambiguous, and Hybrid Modes of War.” In Dakota L. Wood, ed. 2016Index of U.S. Military Strength. Washington DC: The Heritage Foundation. 미소장
53 Ikenberry, G. John. 2014. “The Illusion of Geopolitics: The Enduring Power of the Liberal Order.” Foreign Affairs 93(3), 80-90. 미소장
54 Johnston, Alastair Iain. 2003. “Is China a Status Quo Power?” International Security 27(4), 5-65. 미소장
55 Kang, David C. 2003. “Getting Asia Wrong: The Need for New Analytical Frameworks.”International Security 27(4), 57-85. 미소장
56 Mazarr, Michael J. 2015. Mastering the Gray Zone: Understanding a Changing Era of Conflict. Carlisle, PA: United States Army War College Press. 미소장
57 Mead, Walter Russell. 2014. “The Return of Geopolitics: The Revenge of the Revisionist Powers.” Foreign Affairs 93(3), 69-79. 미소장
58 Mearsheimer, John J. 2014.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New York: W.W. Norton & Company. 미소장
59 Morris, Lyle J., Michael J. Mazarr, Jeffrey W. Hornung, Stephanie Pezard, Anika Binnendijk, and Marta Kepe. 2019.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Gray Zone: Response Options for Coercive Aggression Below the Threshold of Major War. Santa Monica: RAND Corporation. 미소장
60 Roy, Denny. 1994. “Hegemon on the Horizon? China’s threat to East Asian Security.”International Security 19(1), 149-168. 미소장
61 Segal, Gerald. 1996. “East Asia and the ‘Constrainment’ of China.” International Security 20(4), 159-187. 미소장
62 Shimshoni, Jonathan. 1988. Israel and Conventional Deterrence. Ithaca: Cornell University. 미소장
63 Takahashi, Sugio. 2018. “Development of Gray-zone Deterrence: Concept Building and Lessons from Japan’s Experience.” The Pacific Review 31(6), 787-810. 미소장
64 U.S. Department of Defense. 2010. Quadrennial Defense Review Report.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Defense. 미소장
65 Walter, Barbara F. 2006. “Building Reputation: Why Governments Fight Some Separatists but not Other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0(2), 313-330. 미소장
챗봇 챗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