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서문 3
제1장 소개 22
1.1. 서론 23
1.1.1. 배경 및 목적 23
1.1.2. 보고서 발간 절차 및 구성 23
1.1.3. 한계점 25
1.1.4. IPCC 평가 보고서와의 연계성 25
1.2. 국립기상과학원 「IPCC 6차 평가 보고서 대응 전지구 기후전망」 주요 결과 27
1.2.1. 기후전망 산출 개요 27
1.2.2. 기온 및 강수량 특성 28
1.3.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4」요약 및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20」 주요 결과 28
1.3.1. 관측: 대기와 지표 28
1.3.2. 관측: 해양과 빙권 30
1.3.3. 고기후 기록에 의한 정보 33
1.3.4. 탄소순환과 기타 생지화학순환 35
1.3.5. 구름과 에어로졸 36
1.3.6. 인위적 및 자연적 복사강제력 39
1.3.7. 기후모델 평가 40
1.3.8. 기후변화 탐지 및 한반도 기상재해의 변화 42
1.3.9. 단기 및 장기 기후변화 전망 43
1.4. 참고문헌 45
제2장 관측: 대기와 지표 46
2.1. 서론 47
2.2. 대기조성 및 복사수지의 변화 48
2.2.1. 서론 48
2.2.2. 대기조성의 변화 48
2.2.3. 복사수지 변화 52
2.3. 기온과 지표의 변화 53
2.3.1. 전지구 기온 변화 53
2.3.2. 우리나라 기온 변화 55
2.3.3. 지표의 변화 57
2.4. 물순환의 변화 58
2.4.1. 강수 59
2.4.2. 수증기 60
2.4.3. 구름 62
2.4.4. 증발산 62
2.5. 극한현상의 변화 63
2.5.1. 극한기온현상의 변화 63
2.5.2. 극한강수현상의 변화 66
2.6. 대기대순환과 기후변동의 변화 67
2.6.1 서론 68
2.6.2. 몬순 변화 68
2.6.3 태평양 지역 순환장의 변화 69
2.6.4 인도양 지역 순환장의 변화 70
2.6.5 대서양 지역 순환장의 변화 70
2.6.6 중위도 대기 변동 모드 변화 70
2.7. 결론 73
2.8. 참고문헌 74
제3장 관측: 해양 및 빙권 84
3.1. 서론 85
3.2. 해양 86
3.2.1. 해양 물리적 특성의 중장기 변화 86
3.2.2. 해양 극한 현상 변화 94
3.2.3. 해양 생지화학적 변화 98
3.2.4. 해양생물학적 변화 99
3.3. 빙권 100
3.3.1. 극지대기 변화 100
3.3.2. 북극-중위도 원격상관 103
3.3.3. 극지해양변화 105
3.3.4. 해빙변화 107
3.3.5. 남극 빙상 및 빙붕 변화 109
3.3.6. 동토변화 111
3.4. 결론 113
3.5. 참고문헌 114
제4장 고기후기록에 의한 정보 123
4.1. 서론 124
4.2. 화분에 의한 고기후 124
4.2.1. 화분에 의한 플라이스토세의 기후 125
4.2.2. 화분에 의한 홀로세의 기후 126
4.2.3. 화분에 의한 역사시대 기후 133
4.2.4. 2020년 화분의 의한 고기후 요약 134
4.3. 동물화석에 의한 고기후 134
4.3.1. 동물에 의한 플라이스토세 기후 135
4.3.2. 동물에 의한 홀로세 기후 138
4.3.3. 2020년 동물화석에 의한 고기후 요약 140
4.4. 연륜에 의한 고기후 140
4.4.1. 세포연륜연대기 140
4.4.2. 산소동위원소연륜연대기 141
4.4.3. 2020년 연륜에 의한 고기후 요약 143
4.5. 고문헌에 의한 고기후 144
4.5.1. 고문헌에 의한 기상(맑음과 흐림) 144
4.5.2. 고문헌에 의한 강우와 강설 146
4.5.3. 고문헌에 의한 기상재해 148
4.5.4. 2020년 고문헌에 의한 고기후 요약 151
4.6. 동굴생성물에 의한 고기후 152
4.7. 결론 153
4.8. 참고문헌 153
제5장 탄소순환과 기타 생지화학순환 157
5.1. 서론 158
5.2. 탄소순환 158
5.2.1. 탄소순환 관측 158
5.2.2. 탄소순환 모델링 및 관측 융합 167
5.3. 기타 생지화학순환 173
5.3.1. 질소순환 173
5.3.2. 단수명 기후변화유발물질순환 173
5.4. 결론 175
5.5. 참고문헌 176
제6장 구름과 에어로졸 186
6.1. 서론 187
6.2. 구름 187
6.2.1. 구름 관측 188
6.2.2. 수치 모형을 통한 구름 모의 190
6.3. 에어로졸 191
6.3.1. 에어로졸 관측 191
6.3.2. 모형을 통한 에어로졸 모의 196
6.4. 구름과 에어로졸의 상호작용 199
6.4.1. 구름과 에어로졸의 상호작용 관측 200
6.4.2. 모형을 통한 구름과 에어로졸의 상호작용 분석 200
6.5. 복사강제력과 유효복사강제력 202
6.5.1. 복사강제력과 유효복사강제력의 관측 202
6.5.2. 수치 모형을 통한 복사강제력 산정 203
6.6. 강수변화의 과정 205
6.7. 결론 207
6.8. 참고문헌 207
제7장 인위적 및 자연적 복사강제력 219
7.1. 서론 220
7.2. 대류권 오존 222
7.2.1. 서론 222
7.2.2. 한반도 오존 현황 223
7.2.3. 한반도 오존 증가 및 원인 225
7.3. 인위적 복사강제력 227
7.3.1. 온실가스 228
7.3.2. 오존 및 성층권 수증기 229
7.3.3. 에어로졸 및 구름 영향 229
7.3.4. 지표면 변화 233
7.4. 자연적 복사강제력 233
7.4.1. 과거 선행 연구 결과 소개 234
7.4.2. 태양복사에 의한 복사강제력 234
7.4.3. 화산활동에 의한 복사강제력 236
7.5. 배출량 메트릭스 239
7.5.1. 배출량 메트릭스 소개 및 개관 239
7.5.2. GWP 및 GTP 240
7.5.3. 지속적인 플럭스의 잠재 가열 지수, 잠내 냉각 지수 (SGWP, SGCP) 241
7.5.4. 그 외 메트릭스 243
7.6. 결론 244
7.7. 참고문헌 245
제8장 기후모델 평가 250
8.1. 서론 251
8.2. 전구기후모델 252
8.3. 지역기후모델 상세화 259
8.3.1. 현재기후 상세화 259
8.3.2. 미래기후 상세화 265
8.4. 지역결합모델 267
8.5. 극한 현상 모의 272
8.6. 결론 272
8.7. 참고문헌 276
제9장 기후변화의 탐지 및 한반도 기상재해의 변화 278
9.1. 서론 279
9.2. 동아시아와 한반도 기온과 강수 변화 280
9.2.1. 방법론 280
9.2.2. 동아시아와 한반도 기후 변화 탐지 281
9.2.3. 소결론 284
9.3. 기후변동성 변화와 한반도 284
9.3.1. 엘니뇨와 한반도 기후 284
9.3.2. 동아시아 여름/겨울 몬순 289
9.3.3. 북극기후변동 292
9.3.4. 계절내 진동 294
9.3.5. 소결론 295
9.4. 한반도 기상재해의 변화 296
9.4.1. 폭염 296
9.4.2. 가뭄 299
9.4.3. 한파 301
9.4.4. 집중호우 302
9.4.5. 태풍 305
9.4.6. 소결론 306
9.5. 요약 및 결론 307
9.6. 참고문헌 308
제10장 단기 및 장기 기후변화 전망 323
10.1. 서론 324
10.2. 대기와 지표 326
10.2.1. 단기 전망 326
10.2.2. 장기 전망 330
10.3. 해양과 빙권 336
10.3.1. 해양대순환 336
10.3.2. 해양생지화학과정 337
10.3.3. 해수면상승 337
10.3.4. 빙권 340
10.4. 1.5°C 기후변화전망 341
10.5. 결론 343
10.5.1. 대기와 지표 343
10.5.2. 해양과 빙권 343
10.6. 참고문헌 344
판권기 353
표 1.1. 연구결과의 신뢰도 평가(동의수준)의 구분 24
표 1.2.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에 사용된 참고문헌 수 24
표 1.3. IPCC 4차, 5차, 6차 평가 보고서의 흐름 및 「한국 기후변화 평가 보고서 2020」의 범위 26
표 2.1. 1880~2018년 전지구 평균 표면 기온(육지+해양)의 편차 상위 10위 해 (NOAA, 2019a) 54
표 2.2. 1973~2018년 우리나라 평균 표면 기온의 상위 10위 해 (국가기후데이터센터, 2019) 56
표 2.3. 1960~2012년 동안 11개 관측소 평균 계절별 기온 추세 (℃/10년) (Min et al., 2015). *표시는 95% 유의한 추세를 나타냄 64
표 3.1. 계절별 북극 해빙면적 비율편차의 경향과 95% 확신범위 107
표 3.2. 계절별 남극 해빙면적 비율편차의 경향과 95% 확신범위 108
표 4.3.1.1. 강원도 동굴유적의 동물상 (조태섭, 2019a) 136
표 4.3.2.1.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남해안 유적의 동물상(이영덕, 2013) 138
표 4.4.2.1. 수종 상호간 산소동위원소연대기 상관분석(TC: 주목, PK: 잣나무, AK: 구상나무, QM: 신갈나무) 142
표 4.5.1.1. 고종 30년간(1871~1900년) 연간 맑음 일수(연평균 289.2일, LN=N 윤달)(김일권, 2015) 146
표 6.1. 2014~2019년 동안 구름과 에어로졸 분야에 대해 국내 소속 기관의 저자에 의해 연구되었거나, 국외 소속 기관에 소속된 저자가 동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한... 187
표 7.1. CO2에 비하여 계산되어진 순간 배출과 지속배출 형태의 GWP, GTPs, GPPs의 값. 모든 물질은 20년과 100년의 시간 규모로 계산되었음 242
표 8.1. 개발된 지역결합모델들의 예시 (Ham et al., 2016, Table 1) 266
표 10.1. 한반도 기온 및 강수의 장기 미래전망 요약 330
표 10.2. 1986~2005년 대비 2081~2100년의 CMIP5 앙상블 평균해수면 상승(m) (허태경 외, 2018) 339
그림 2.1. 안면도(검은색, AMY), 마우나로아(파란색, MLO), 전지구(빨간색, Global)의 CO₂ 농도 변화(기상청(2019)의 그림 3.1.1) 49
그림 2.2. 2018년 안면도(검은색, AMY), 고산(초록색, IGS), 울릉도(노란색,ULD)의 월평균 CO₂ 농도 변화(기상청(2019)의 그림 3.1.3) 49
그림 2.3. 안면도(검은색, AMY), 마우나로아(파란색, MLO), 전지구(빨간색, Golbal)의 CH₄ 농도 변화(기상청(2019)의 그림 3.1.20) 49
그림 2.4. 안면도(검정색, AMY), 고산(녹색, IGS), 마우나로아(파란색, MLO), 전지구(붉은색, Global)의 N₂O 농도 변화(기상청(2019)의 그림 3.1.22) 50
그림 2.5. 안면도(검은색, AMY), 고산(초녹색, IGS), 울릉도(노란색, ULD), 마우나로아(파란색, MLO), 전지구 (빨간색, Golbal)의 SF6 농도 변화(기상청(2019)의 그림 3.1.23) 50
그림 2.6. 안면도(검정색, AYY)과 마우나로아(파란색, MLO), 전지구(붉은색, Global)의 (위) CFC-11, (중간) CFC-12 , (아래) CFC-113의 농도 추세(기상청(2019)의 그림 3.1.24) 50
그림 2.7. 한반도 평균 연평균 O₃ 농도 추이(국립환경과학원(2018)의 그림 2.4 좌) 51
그림 2.8. 한반도 평균 연평균 CO 농도 추이(국립환경과학원(2018)의 그림 2.4 우) 51
그림 2.9. 한반도 평균 연평균 NO₂ 농도 추이(국립환경과학원(2018)의 그림 2.3 좌) 51
그림 2.10. 한반도 평균 연평균 SO₂ 농도 추이(국립환경과학원(2018)의 그림 2.3 좌) 52
그림 2.11 안면도, 고산, 포항에서 관측한 연평균 오존 전량 추이(기상청(2019)의 그림 3.5.1) 52
그림 2.12. 2018년 안면도의 (위)태양상향복사, (중간)태양하향복사 고산의 (아래)태양하향복사의 월변화(상자). 2008~2017년(안면도), 2009~2017년(고산)의 평균(선)... 52
그림 2.13. 2018년 안면도 (위) 지구상향복사, 지구하향복사 월변화 (상자). 2008~(기상청(2019)의 그림 3.4.4) 53
그림 2.14. 2018년 안면도 순복사 월변화 (상자). 2008~2017년 평균(선)(기상청(2019)의 그림 3.4.4) 53
그림 2.15. 미국, 일본 및 영국 6개 기관에서 제공된 1880~2018년까지 전지구 평균 지표 기온(지표 기온+해수면온도) 편차(1951~1980년 평균에 대한 편차)의 연변동... 54
그림 2.16. (위) 1901~2018년 및 (아래) 1989~2018년 전지구 지표 기온 추세 분포임. 회색 격자는 결측을 의미함 (NOAA, 2019b) 54
그림 2.17. 1990~2013년 겨울철 지표 기온의 선형추세임(Cohen et al., 2014) 55
그림 2.18. 1912~2017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 6개 기상관측소 지점의 연평균 최고, 평균, 최저기온 시계열 (국립기상과학원, 2018) 55
그림 2.19. 1912~2017년 기간 동안 여름철 및 겨울철 최고, 평균, 최저기온 연 변화 (국립기상과학원, 2018) 56
그림 2.20. 1912~2017년 기간 동안 전국 47개 지점(내륙 45개 지점 + 제주, 서귀포) 연평균 지표 기온 변화율(/10년) 분포도임, 검정색 원: 관측 지점 위치임(기상청 종합... 57
그림 2.21. 1979~2006년에 기반한 여름철 (위) 토양수분-대기 되먹임 지수와 (아래) 토양수분이 설명하는 지표 기온의 변동성 비율임 (좌측에서부터 CLM, Mosaic, 그리고... 57
그림 2.22. 1948~2010년 기간 (위) 연평균 토양수분 추세 분포와 (아래) 동아시아 지역에서 평균된 토양수분 시계열임. 가위표는 95% 신뢰도를 만족하는 그리드를 의미하고,... 58
그림 2.23. 45개의 KMA 관측소 강수의 1973년~2015년 (a) 6월, (b) 7월, (c ) 8월, (d) 9월의 강수량 (바) 및 선형 경향성 (검정 실선) (Lee et al. 2017) 59
그림 2.24. 6개의 KMA 관측소 강수의 1913년~2012년 (검정 실선), 1983~2012년 (점선) 11일 이동 평균 강수량 (검정 실선). 최근 기간의 강수량이 전기간 강수량에 비해 많을 경우... 60
그림 2.25. (a) 여름철 (6~8월) CRU 데이터 기반 한반도 (120-130°E, 35-40°N) 지역 평균 강수와 여름철 열대 대서양 해수면 온도 (60°W-20°E, 30°S-30°N) 간의 15년 이동 평균... 60
그림 2.26. (위) 1973~1995년 기간 라디오존데로 관측한 가강수량 (precipitable water) 의 선형 경향성 (아래) 같은 기간 ERA40 재분석 자료의 선형 경향성. Trenberth et al. (2007) 61
그림 2.27. 1978~2007년 기간의 오산, 광주, 포항 (a) 850hPa, (b) 700hPa, (c ) 500hPa 거도 수증기 혼합비 (mixing ratio) 의 시계열 및 선형 경향성 Eum and Suh (2011) 61
그림 2.28. 1982~2008년 기간의 5년 이동 평균된 아시아 495개 지점 평균 상대습도 아노말리의 시계열. Wang et al. (2012) 61
그림 2.29. (a) PATMOS-x 와 ISCCP 위성 산출물 데이터를 이용한 1983~2009년 기간의 운량 선형 경향성. (b) 1985~1989년 ERBS 로부터의 2002~2014 CERES 구름 알베도의 차이. (c)... 62
그림 2.30. 1961~2013년 기간의 중국 평균 증발산 아노말리의 시계열. Liu et al. (2017) 63
그림 2.31. 1975~2005년 기간의 (a) 전주와 (b) 춘천 지역의 Penman-FAO24 기법에 근거해 산출한 연평균 증발산 시계열 및 선형 경향성. 양해근 (2007) 63
그림 2.32. (a) 우리나라 45개 관측소 기온 자료 기반 폭염일수 (Yeh et al., 2018의 그림 1a). (b) 여름철 야간고온 사례 (persistent warm night)의 지속기간 변화 (김민기와... 64
그림 2.33. (a) 우리나라 11개 관측소 평균 일평균기온의 변화 (1960~2012년). 동그라미 표시는 일평균 기온 관측값. 파란 실선은 하위 1% 기온값 추세 (유영은 등, 2015 그림... 65
그림 2.34. 1993~2013년 기간 동안 발생한 우리나라 집중호우의 월별 분포 (Ham et al., 2019 그림 1) 66
그림 2.35. (a) 8-9월 우리나라 12개 관측소 집중호우 누적 강수량 (흰 막대) 중 태풍과 관련된 강수량 (검정 막대) (Kim et al. 2006, 그림 2a). (b) 1975~2012년 기간 8월에... 67
그림 2.36. (a) 대만 평균 상향 장파복사의 차(1980~2010년). (b) 5일 평균된 상향 장파복사의 차(색)와 그 선형추세(선). (Wang et al., 2016) 68
그림 2.37. 2008년부터 2019년까지 ONI 시계열. (https://www.climate.gov/news-features/understanding-climate/climate-variability-oceanic-niño-index) 69
그림 2.38. 월별 북인도양 지역 평균된 SSH자료(회색)를 사용하여 계절평균이 제거(검은색)되고 단주기 파동이 제거된(파란색) 시계열. (Thompson et al., 2016) 70
그림 2.39. 3개월 평균된 표준화된 AO 지수 시계열. AO 패턴은 북반구(20N-90N) 월별 1000-hPa 지위고도장으로부터 EOF 분석을 통하여 첫 번째 모드로 추출됨. (NOAA CPC;... 71
그림 2.40. 그림 2.6.4와 같으나 PNA 인덱스 시계열을 보이며, 이는 500-hPa 지위고도장을 활용하여 정의됨. (NOAA CPC; https://www.cpc.ncep.noaa.gov/products/precip/CWlink/pna/... 71
그림 2.41. 북극 해빙 면적 이상의 6월 추세. (NOAA NSIDC; https://nsidc.org/data/seaice_index/compare_trends) 72
그림 2.42. 싱가포르에서 라디오존데를 활용하여 70-hPa부터 10-hPa까지 1981년부터 2019년까지 관측된 월별 동서방향 바람. (https://acd-ext.gsfc.nasa.gov/Data_services/met/... 72
그림 3.1. 겨울철(NDJ) 국지 난류열속과 2개월 후(JFM) 해표면수온(a,b) 상관분석 결과 및 (c, d) 겨울철(NDJ) 표면기온(색상)과 해상풍(벡터)의 2개월 후(JFM) 쿠로시오 재순환... 87
그림 3.2. 1950년대 이후 동해 심층해수 생성 과정의 변화를 나타낸 모식도(Yoon et al., 2018) 88
그림 3.3. (북)극진동지수(Arctic Oscillation index, AOI, 빨간색)와 동해 연안에서 관측된 동일 고수온-고염분(iso-spiciness=0.65) 밀도(sigma-theta, 검은색)의 시계열(Nam et al., 2016) 89
그림 3.4. 해상경계층(marine planetary boundary layer) 기작 모식도. (a, b) 동한난류가 잘 발달하고 해상경계층이 두꺼워 상층의 북서풍 운동량이 해상풍에 잘 전달되는 경우와... 89
그림 3.5. 황해 수온의 관측 정점 및 수심별 상승 추세(색상)와 그 수직 구조(Park et al., 2015). 상층에서 더 빠른 온난화가 뚜렷함을 보여준다 90
그림 3.6. 1993~2014년 기간의 위성 고도계 기반 쿠로시오 해수 수송량 지수(선행)와 봄철(FMA) 해표면 수온 이상(고정) 사이의 지연 상관관계(Kim et al., 2018) 91
그림 3.7. 8월 해표면수온(색상 bars)과 기온(검정 실선) 이상 시계열과 그 추세(해표면수온: 빨간 점선, 기온: 검정 점선) (박광섭 등, 2018) 91
그림 3.8. 30년(1984~2013년) 기간 동안의 월별 위성 해표면수온 자료의 편이 오차 분포. 양의 부호는 위성 자료가 과대추정함을 의미함(Kwak et al., 2018) 92
그림 3.9. 계절변화가 제거된, 3개 조위관측소(좌: 묵호, 중: 포항, 우: 울릉도) 해수면 시계열 자료와 격자화된 인공위성 고도계 해수면 시계열 자료 사이의 상관 관계 공간... 93
그림 3.10. 16년(2000~2015년) 기간 동안 동해 연안에서 관측된 여름철 평균 표층 유속과 주요 회귀분석 결과(a, b), (c) 다중회귀 분석 결과로 구성된 유속(분홍색)과 관측된... 93
그림 3.11. 1968~2017년 사이 최근 50년간 2월(상) 및 8월(하)의 표층의 평년수온 편차 변동 경향 94
그림 3.12. 한반도 주변해역 2016년 8월(좌상), 2017년 8월(우상) 및 2018년 8월(하)의 표면수온 평년편차 분포 (해양수산부, 2019) 95
그림 3.13. 한반도 주변해역 2018년 1월(좌)과 2018년 2월(우)의 표면수온 평년편차 분포(관계부처합동, 2019) 95
그림 3.14. 2017년 12월~2018년 2월까지 우리나라 연안 6개 지점(서산, 보령, 신안, 목포, 여수, 남해)의 표층수온과 북극진동지수와의 상호상관함수를 통한 상관계수 및... 95
그림 3.15. 부산에서의 월평균 용승지수의 변동 경향(상) 및 95% 신뢰구간에서의 용승지수의 선형경향과 p-값(하) (Shin et al., 2018) 97
그림 3.16. 5~7월까지 용승지수 합의 시간변동(옅은 푸른색)과 10년 이동평균 변동(짙은 푸른색). 전체 기간에 대한 선형회귀선과 최근 30년간의 회귀선은 각각 붉은 실선과... 97
그림 3.17. 2016년 7월 25일부터 8월 20일까지 표층에서 예측된 저염분수의 거동 양상 (Moon et al., 2019) 97
그림 3.18. 동해 울릉분지에서 극미소플랑크톤의 총기초생산에 대한 기여율 변화 (Joo et al., 2017) 99
그림 3.19. 동아시아 주변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 생체량의 장기변동 (CRS: climate regime shift, Jung et al., 2017) 100
그림 3.20. 클로로필 a 농도와 밍크고래의 출현량 비교 (왼쪽: 클로로필 농도 분포, 오른쪽 : 밍크고래 출현량) (Lee et al., 2017) 100
그림 3.21. 주기정상적 경험직교함수로 추출된 1979년부터 2014까지 북극 지면대기온도의 상승 변동 모드의 계절별 변화와 연변동 시계열 (Kim et al., 2016) 101
그림 3.22. 2015년 11월부터 2016년 2월까지의 북극지역 지면대기온도와 지위고도 편차의 고도별 변화 (Kim et al., 2017) 102
그림 3.23. 2008년 3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Lindsay 섬에서 관측된 지면대기온도의 월평값들의 변화 (Choi et al., 2019) 103
그림 3.24. 북극 온도와 연관된 중위도 지역의 온도 변화 (Kug et al., 2015) 104
그림 3.25. 홀로세 중기 해빙감소와 일사량 강제력에 대한 북반구 지면대기온도의 반응과 북위 45-62도 사이의 지면대기온도의 월변화 (Park et al., 2018) 104
그림 3.26. 척치해 인근에서의 상층 60~80미터 깊이의 (a) 수온, (b) 염분의 시간변화 경향 공간 분포, 깊이별 (c) 수온, (d) 염분 시계열 변화 106
그림 3.27. (a) 여름과, (b) 겨울 아문젠해의 해빙, 온난 중층수와 바람장과의 관계 모식도 (Kim et al., 2017) 106
그림 3.28. (위) 북극 연평균 해빙농도의 1979~2018년 기간의 경향. (아래) 주요 해역별, 계절별 해빙면적 비율편차의 1979~2012년 기간(파란색)과 1979~2018년... 108
그림 3.29. (위) 남극 연평균 해빙농도의 1979~2018년 기간의 경향. (아래) 주요 해역별, 계절별 해빙면적 비율편차의 1979~2012년 기간(파란색)과 1979~2018년... 108
그림 3.30. 1992~2017년간 남극 빙상 질량 변동. 이 기간 동안 약 3조 톤의 얼음이 남극에서 소실되었다(IMBIE, 2018) 110
그림 3.31. 1994~2012년간 인공위성 고도계 자료로 부터 도출된 남극 빙붕 부피 변화. 대부분의 부피 감소는 서남극을 중심으로 발생하였음(Paolo et al., 2015) 110
그림 3.32. 빙붕 형태에 따른 붕괴 양상 차이. (a)형: 일반적인 형태의 빙붕으로, 표면에 생긴 물웅덩이가 점차 확장되고 깊어져 붕괴를 촉진함, (b) 형: 배수로 역할을 하는... 110
그림 3.33. 빙붕에 균열이 생겨 붕괴가 일어나는 과정. (가) 빙붕 앞에서 바라본 모습, (나) 빙붕 위에서 바라본 모습, (다) 빙붕 상부 균열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 110
그림 3.34. 2008~2009년 대비 연평균동토온도 변화추세 (Biskaborn et al., 2019) 111
그림 3.35. 영구동토층 면적변화 및 동토온도변화 (Guo et al., 2017) 112
그림 3.36. 1972~2017년 북반구 봄철 적설면적 추세 (Bormann et al., 2018) 113
그림 3.37. 1980~2014년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 및 신적설합계 변동 (천재호 및 이승호, 2017) 113
그림 4.2.1.1. 동해 울릉분지 KCES-1 시추공에서의 화분산출결과(Chen et al., 2017) 125
그림 4.2.2.1/그림 4.2.1.2. 제주도 하논 마르 고호수 퇴적층의 화분-퇴적물 물리적 특성 비교(Park et al., 2014). H: Heinrich cold event 126
그림 4.2.2.2/그림 4.2.1.3. 동해 울릉분지 시추코어의 화분분석자료기반의 과거 44,000년 전 동안 식생-기후변화의 복원과 기존 다중 프록시 자료와의 비교(Chen et al., 2017).... 126
그림 4.2.2.3/그림 4.2.2.1. 군산 금강 하구 퇴적층에서 산출된 화분 및 다중 프록시 자료와의 비교(Song et al., 2018a) 127
그림 4.2.2.4/그림 4.2.2.2. 지난 7,000년 전 이래 한국 북동부 지역의 식생군락과 기후의 변화(Song et al., 2018b) 127
그림 4.2.2.5/그림 4.2.2.3. 송지호 퇴적물에서 나타난 동아시아 여름 몬순변화와 엘리뇨 변화 상관성(Song et al., 2018b) 128
그림 4.2.2.6/그림 4.2.2.4. 포매호 퇴적층에서의 화분분석 결과(Constantine et al., 2019) 129
그림 4.2.2.7그림 4.2.2.5. 포매호 퇴적층의 다중 프록시 결과 비교(Constantine et al., 2019). AP/T: arboreal/total pollen ratios. 파란색 막대는 한랭-건조 이벤트를 나타냄. 주황색... 129
그림 4.2.2.8/그림 4.2.2.6. 포매호의 화분과 다중 프록시자료 비교(Constantine et al., 2019). 파란색 막대는 한랭-건조 이벤트를 나타냄. TSI: Total solar irradiance. AP/T: arboreal/... 129
그림 4.2.2.9/그림 4.2.2.7. 신안군 비금도 연안퇴적층 화분분석 결과(Park et al., 2018) 130
그림 4.2.2.10/그림 4.2.2.8. 세종시 대평리 범람원 퇴적층에서 산출된 화분 및 식물규산체(Moon et al., 2018) 131
그림 4.2.2.11/그림 4.2.2.9. 화분결과와 그린란드 빙하코어 및 중국 동굴석순의 산소동위원소 비교. 8.2ka cold event가 북반구 전역에 발생했음을 잘 보여줌(Park et al., 2018) 131
그림 4.2.2.12/그림 4.2.2.10. 광주 월정리 유적지 문화층의 화분분석 결과(Park and Kim, 2015) 132
그림 4.2.3.1. 점봉산 퇴적층에서의 다중 프록시 분석을 통한 고산습지 형성과정 복원(좌)과 태양 복사력과 화분온난지수, 유기탄소동위원소 분석 값의 대비를 역사시대... 133
그림 4.2.3.2. 강원도 인제 점봉산 퇴적층의 화분분석 결과(Chae and Park, 2016) 133
그림 4.3.1.1. 플라이스토세 마지막 간빙기(Riss/Wurm)의 자연환경 복원, 제천 점말용굴(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09) 137
그림 4.3.1.2. 플라이스토세 마지막 빙하기(Wurm)의 자연환경 복원, 제천 점말용굴(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09) 137
그림 4.3.1.3. 플라이스토세 Wurm기 LGM 이후의 자연환경 복원, 단양 수양개 유적 (이융조 책임편집, 2006) 137
그림 4.3.2.1.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홀로세의 동물들 (조태섭, 2019b) 138
그림 4.3.2.2. 다양한 고래의 모습 (이상목, 2004) 139
그림 4.4.1.1. 연륜연대기 및 세포내강면적연대기와 상관관계가 높은 기후요소와의 시계열 그래프 비교(WP: 전년도 11월~당년 1월 강수량, RW: 연륜폭으로 작성된 연대기... 141
그림 4.4.2.1. 지난 50년(1966~2015)간 동일 임목 상호간 산소동위원소연대기 일치도(TC: 주목, QM: 신갈나무, PK: 잣나무, AK: 구상나무) 142
그림 4.4.3.1/그림 4.4.2.2. 구상나무(Abies koreana), 잣나무(Pinus koraiensis), 주목(Taxus cuspidata) 산소동위원소연대기와 전년도 4월부터 당년 9월까지 월평균 기온 및... 143
그림 4.4.3.2/그림 4.4.3.3. 주목 산소동위원소연대기와 6~7월 온도 및 5~7월 강수량과의 상관분석 결과 143
그림 4.5.2.1.1. 지난 239년간(1777~2015년) 서울의 장마철 강수량 경년변화: (a) 장마철 전체(6월 하순~9월 초순), (b) 여름장마기(6월 하순~7월 중순), (c) 장마휴지기(7월 하순... 147
그림 4.5.2.1.2. 동아시아 영역의 1990년 기준 전(1958~1989년; P1) 후(1990~2015년; P2) 시기 간 500hPa 지오포텐셜 고도(실선)와 오메가(색으로 된 격자들), 850hPa 바람벡터... 147
그림 4.5.3.1.1/그림 4.5.3.2.1. 고종일기(1864~1906) 음력월별 강설 추이(김일권, 2015) 149
그림 4.5.3.2.1/그림 4.5.3.2. 조선시대 고문헌에 나오는 년도별 황사 기록 횟수 분포(전준혁, 2018) 149
그림 5.1. 김제 논(GRK), 철원 논(CRK), 해남 논(HPK)에서 에디공분산법으로 관측된 메탄 플럭스의 계절변동. 관측지명 옆의 숫자는 관측한 해, 아래 숫자는 연적산... 162
그림 5.2. 원격탐사기반 산출물 간의 전지구 연간 광합성 및 SiF의 시계열 (Ryu et al., 2019) 167
그림 5.3. 원격탐사기반 산출물 간의 전지구 연간 GPP 아노말리 (Jaing and Ryu, 2016) 168
그림 5.4. 광릉 활엽수림을 모사한 모형(모수화 개선 전후)-관측 간 (a) 엽면적지수, (b) 총일차생산량, (c) 생태계호흡량의 비교 (Gim et al., 2017) 168
그림 5.5. 데이터 주도적 접근법으로 얻어진 아시아 지역의 2000-2015년 평균 연적산 총일차생산량(a)과 순생태계교환량(b) (Ichii et al., 2017) 168
그림 5.6. 2010년 농림어업총조사의 전수자료에 기반한 전국시군 논 단위면적 당 메탄 방출량 (최성원 등, 2018) 169
그림 5.7. 2001년부터 2009년까지 각 이산화탄소 몰농도 관측지의 평균 분석민감도 분포. 관측 위치가 같거나 가까워서 겹치는 관측지는 원의 크기를 다르게 해서 표현함... 170
그림 5.8. 연평균 생권 플럭스(Pg C yr-¹). Prior 플럭스(녹색), JR 자료를 동화하지 않은 실험의 플럭스(파란색), JR 자료를 동화한 실험의 플럭스(붉은색): (a) 유라시아 북부한대... 170
그림 5.9. CONTRAIL 항공 관측 자료의 분포(회색), 공항 위치(파란색), 자료동화를 하기 위해 관측 자료를 평균하는 격자는 네모로 표기(검은색은 비행모드, 붉은색은 이착륙... 171
그림 5.10. CONTRAIL 항공 관측자료를 자료동화하는 시스템 모식도(김현정 등, 2018) 171
그림 5.11. 지상 관측자료, CONTRAIL 항공 관측자료, GOSAT 위성 관측 자료를 함께 동화하도록 개발된 탄소추적시스템의 자료동화 모식도(김현미 등, 2018) 171
그림 5.12. 2010~2011년의 연간 지표 탄소 플럭스(CNTL: 지상관측자료만 동화한 실험, GOSAT: 지상과 GOSAT 관측자료를 동화한 실험, CONTRAIL: 지상과 항공 관측자료를... 172
그림 5.13. (좌)탄소추적시스템의 1°x1° 순 생물군계 생산량(net biome productivity, NBP)와 (우)SVR 기반의 기계 학습 방법으로 도출된 0.25°x0.25° 순 생태계 교환량 NEE... 172
그림 5.14. 대기중 오존과 미세먼지를 생성하는 기본 광화학 반응 174
그림 6.1. 2008년 10월 26일과 28일에 관측된 구름에서 주로 나타난 혼합 유형(Yum et al., 2015) 188
그림 6.2. CPI로 관측한 frozen dropet과 frozen droplet aggregates(Um et al., 2018) 189
그림 6.3. (a) 에어로졸 크기분포, CCN 장기 관측 지점을 나타내는 지도와 (b) 계절 평균 0.2% 과포화도에서의 CCN 수농도의 중간값과 interquartile ranges. (Schmale et al., 2018) 193
그림 6.4. 중간값과 interquartile range 의 계절변화: (a) 0.2% 과포화도 CCN 수농도 (b) 에어로졸의 기하평균직경 (Dg) (c) 0.2% 과포화도에서의 임계직경 (Dcrit). (Schmale et al., 2018) 194
그림 6.5. 동아시아 MODIS AOD 연간 변화(2004-2014; Nam et al., 2018) 195
그림 6.6. 아시아 9개 국가의 검댕 및 유기탄소의 소비기반 배출량 (consumption based emission) 비교 결과 197
그림 6.7. 에어로졸-몬순 기후시스템의 주요 요소들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모식도 (Li et al., 2016) 201
그림 6.8. 아시아의 인위적 에어로졸 배출에 따른 동아시아 여름 몬순과 강수의 변화 기작을 설명하는 모식도 (Dong et al., 2019) 201
그림 6.9. 에어로졸-복사-구름-경계층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간략 모식도(Ding et al., 2016). 노란색 밴드는 태양복사전달과정, 갈색 실선과 파선은 각각 대기오염에피소드와... 204
그림 6.10. 2006~2012 동안 동아시아의 3, 4, 5월(MAM) 및 6, 7, 8월(JJA) 기간 황사(dust) 및 매연(smoke)에 의한 복사강제력(SCF: 지표, ATM: 대기, TOA: 대기 상한) (Bhawar et al., 2016) 205
그림 7.1. 기간별(좌측) 인위적, 자연적 그리고 총 복사강제력의 선형적 변화 경향(IPCC, 2013) 220
그림 7.2. 1980~2011년 기간의 자연적ㆍ인위적 요인에 의한 기후변화의 복사강제력(RF)과 에어로졸-구름 상호작용(ERFaci)에 기인한 유효복사강제력(ERF)과 에어로졸-복사... 221
그림 7.3. 2000년부터 2015년까지 5년마다 중국 각 지역별 SO₂, NOx 배출량 변화율(우정헌 등, 2018) 223
그림 7.4. 1980년부터 2017년까지 중국(붉은색), 일본(자주색), 유럽(오렌지색), 그리고 미국(푸른색)의 도시 지표면의 AOT40 장기 변화. 중국(베이징, 붉은색 점선)과 미국... 223
그림 7.5. 주요 대도시의 2017년 월평균 O₃ 농도(국립환경과학원, 2018) 224
그림 7.6. NO2와 O3의 2017년 기준 연평균 농도 분포. 대기오염측정망을 붉은 점으로 표기함 (국립환경과학원, 2018) 225
그림 7.7. 주요 도시의 연평균 O₃ 농도 추이(국립환경과학원, 2018) 226
그림 7.8. 1990년부터 2016년까지 여름철 8시간 최고 오존농도 변화 추이. 긴 실선은 관측된 오존 증가나타내며 짧은 실선은 기상의 영향을 제거한증가 추세를 나타냄... 226
그림 7.9.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여름철 8시간 최고 오존농도(MDA8) 변화에 인위적 오염물질이 끼친 효과 분석 (Li et al., 2019) 227
그림 7.10. 대기 상한에서 MODIS 위성 관측 값을 이용하여 추정된 청천단파 직접복사강제력(DREA)의 계절 평균값 분포(Lee et al., 2014) 230
그림 7.11. 2003~2010년 기간 MODIS 위성 관측 값을 이용하여 계산한 대기 상한에서의 청천단파 직접복사강제력(DREA)의 계절별 평균값 전구 분포: (a) 12-1-2월, (b) 3-4-5월,... 231
그림 7.12. WRF-Chem 모델을 이용한 동아시아 인위적 배출 에어로졸에 의한 총 대기 복사강제력(all-sky net radiative forcing)의 2008년 계절별 평균 분포 특성. TOA는 대기... 232
그림 7.13. 위성 측기로부터 관측한 태양복사량의 총량 (TSI)의 측기별 시계열 (Zacharias, 2014) 234
그림 7.14. 1850년 이후 최근까지의 6개월 이동평균을 통해 나타낸 TSI의 시계열 235
그림 7.15. 태양복사의 분광 조도의 시계열(Yeo et al., 2014) 236
그림 7.16. (상) 화산활동 강도에 대한 정의 및 (하) 1750년 이후 2010년까지 화산의 발생 강도 및 빈도 분포 (Hao et al., 2014) 237
그림 7.17. 화산활동에 의한 기후변화 효과 이해를 위한 VolMIP의 개념도(Zanchettin et al., 2015) 238
그림 7.18. Eyjafjallajökull 화산활동에 의한 복사강제력의 일변화. 화산재 및 황산염입자 등에 대한 고려를 구분하여 산출 (Flanner et al., 2014) 238
그림 7.19. 여러 기후변화 원인물질의 계절별, 지역별 GTP20의 값의 비교. 유럽(EUR), 동아시아(EAS), 선박(SHP), 전구(GLB)의 값에 대해 북반구 기준 여름(5-10월)과 겨울... 240
그림 7.20. N₂O, CH₄, CO₂의 생태계 대기 간의 제거와 교환이 고려된 대기 섭동 모델의 단순화된 구조(Neubauer and Megonigal, 2015) 242
그림 8.1. CMIP3와 CMIP5의 평년 이상 강수(Ptot) 및 상위 5%(P95)에 대한 PDF skill score. (Koutroulis et al., 2016, Fig. 3) 252
그림 8.2. CMIP3와 CMIP5의 전체 기온 (Ttot), 상위 5%(T95) 및 하위 5%(T5)에 대한 PDF skill score. (Koutroulis et al., 2016, Fig. 4) 253
그림 8.3. EOF를 구해 나타낸 해수면 온도 장기 변동성. (Lyu et al., 2016, Fig. 1) 254
그림 8.4. CMIP5와 CMIP3에 대한 강수 RMSE (mm d-¹) 비교. (Kusunoki and Arakawa, 2015, Fig. 6) 255
그림 8.5. CMIP5와 CMIP3 강수의 지역별 RMSE (mm d-¹) 비교. (Kusunoki and Arakawa, 2015, Fig. 8) 255
그림 8.6. 위도-시간 5일 강수 아노말리 (mm d-¹). (권상훈 등, 2017, Fig. 3) 256
그림 8.7. 일별 평균 기온에 대한 확률밀도함수. 굵은 붉은 선이 관측을 의미하며 얇은 선들은 개별 모델 결과를 의미한다. (Sun et al., 2015, Fig. 3) 257
그림 8.8. 일별 강수에 대한 확률밀도함수. 굵은 붉은 선이 관측을 의미하며 얇은 선들은 개별 모델 결과를 의미한다. (Sun et al., 2015, Fig. 12) 258
그림 8.9. 다음 각각에 대한 동아시아 여름 (JJA) 강수의 기후 값 (a) AHPRODITE, (b) WRF (Whole domain), (c) WRF (Far East Asia), (d) ERA-INT 및 APHRODITE에 대한 편의 (e) WRF... 260
그림 8.10. 그림 8.9와 동일한 자료의 겨울 (DJF) 강수의 기후 값 (안중배 등, 2018, Fig. 3) 260
그림 8.11. 동아시아지역에 대해 GCM (HadGEM2-AO) 및 관측값 (APHRODITE)의 1979부터 2005년까지의 여름철 (JJA) 기간 동안 평균한 지면면대기온도 및 관측값에 대한 RCM... 261
그림 8.12. 그림 8.11과 동일한 자료의 겨울철 (DJF) 값 (Kim et al., 2016, Fig. 3, 4) 261
그림 8.13. 1989~2008 기간동안의 평균 태풍 발생 밀도에 대한 a 관측값(RSMC) 및 b-h 지역기후모델 결과. 각 그림 좌측상단의 값은 평균 생성 빈도, 공간 상관 및 표준편차를... 262
그림 8.14. 관측자료 및 8가지 실험 구성을 바탕으로 상세화과정을 통해 모의된 (a) 열대저기압과 (b) 태풍의 1989-2008 기간 동안의 경년변동 (Shen et al., 2017, Fig. 7) 263
그림 8.15. RSM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된 RCP 2.6 및 8.5 시나리오에서의 동아시아 지역의 여름철 (좌측패널) 및 겨울철 (우측 패널)의 현재기후 대비 강수량의 변화. N은... 264
그림 8.16. 연평균된 (a) 강수량, (b) 강수강도, (c)강우빈도 의 시계열도. 검은색은 남한지역 60개 지점의 관측값이며 초록색은 1981~2010 기간에 대한 실험, 파란색과... 265
그림 8.17. HadGEM2-AO모델의 RCP 4.5 시나리오를 이용한 서로 다른 다섯가지 지역기후모델의 역학적 상세화 결과. 2021부터 2090년 기간 동안의 (위) 평균 연강수량,... 267
그림 8.18. 아시아 몬순의 온셋의 분포도. (a) 관측, (b) 결합모델의 펜타드로 구성. 아시아 몬순 피크의 공간패턴 (c) 관측, (d) 결합모델의 펜타드로 구성. 결과는 개별 모델... 268
그림 8.19. 관측, 대기모델(UNCPL), 결합모델(CPL)로부터의 1987년 7월 평균 해수면온도, 순열속, 그리고 두 모델간의 차이. 우측하단에 나타낸 숫자는 공간상관계수 및... 269
그림 8.20. CTL 실험에서 오차가 큰 7년 기간에 대해 평균된 동아시아 여름철 강수 관측 및 모의 결과 (Cha et al., 2016, Fig. 2) 271
그림 8.21. (a, b) 관측된 지면 부근 온도의 기후값, (c, d) HadGEM2-AO를 상세화 한 지역 모델 앙상블 결과의 관측 편차 (HIST), (e, f) ERA-Interim을 상세화 한 지역 모델 앙상블... 273
그림 8.22. 일별 강수에 대한 결과. 세부사항은 그림 8.21과 동일하다. (Park et al., 2016, Fig. 2) 274
그림 8.23. 가뭄 빈도 비율. 유효 격자에 대한 SPEI-12 값이 -1 보다 낮은 격자수의 비율. 각 그림은 1-8 지역으로 정의된 지역에서의 결과이다. 한반도는 지역 6에 포함되어... 275
그림 9.1. 인간활동이 있을 때(ALL, 녹색)와 없을 때(NAT, 파랑)의 기후모델 실험에서 산출된 남한 평균 여름철 이상고온지수(연최고 일최저기온, TNx) 아노말리의... 280
그림 9.2. 동아시아 평균(100-157°E, 20-50°N) 연최고 일최저기온(TNx, GEV 분포에 근사하여 정규화한 %값) 아노말리 시계열(1951~2015년): HadEX3 관측(OBS), CMIP6 모든... 282
그림 9.3. 엘니뇨 발달기 9월 및 절정기 11-12월 한반도 영향 모식도 287
그림 9.4. 한반도 여름철 강수와 전지구 해수면 온도(음영) 및 강수(점)와의 상관관계 288
그림 9.5. 동아시아 겨울 몬순의 주요한 4개 변동 모드와 해수면 온도 및 대륙 지표기온 변동과의 상관관계. 왼쪽은 1960~1979년 기간, 오른쪽은 1979~2012년까지 기간에... 291
그림 9.6. 1950-2018년 동안 1~3월 평균 북극진동지수 (붉은선) 및 5년 평균이동(검은선) 시계열. 292
그림 9.7. 유라시아 겨울철 기온 변동성의 (a) 첫번째 WACE 모드 및 (b) 두번째 북극진동 모드. ERA-Interim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각 모드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임 293
그림 9.8. (a) 1973~2017년 기간 한반도 (남북한 평균) 일평균(검정), 일최고(빨강), 일최저(파랑) 기온 시계열과 (b) 동기간 5~9월 폭염 (빨강) 및 열대야 (파랑) 발생 빈도) 296
그림 9.9. (a) 상층 250-hPa 지위고도장과 (b) 한반도 7~8월 일 최고기온과의 결합모드 298
그림 9.10. 1951~2012 기간 남한지역(CRUTS3 2개 지점 - 36.25N, 126.25E; 36.25N, 128.75E)에서 평균한 월평균 팔머가뭄지수 편차 시계열 300
그림 9.11. (b) 파동열 유형, (c) 저지 유형, (d) 혼합 유형한파의 300 hPa 지위고도 아노말리(300 m²s² 간격의 선; 95% 신뢰수준에서의 유의 값은 굵은선)와 850 hPa... 301
그림 9.12. 관측(APHRODITE)에 나타난 동아시아 지역 1981~2005년 평균 여름철 일강수량 및 20년 재현기간의 일극한강수량 분포 302
그림 9.13. 기상청 ASOS 지점과 국토해양부 산하 우량계 설치지점의 1973~2005년간 일강수량 50 mm 이상인 날의 변화경향 303
그림 9.14. 인도 및 북서태평양 여름철 계절안 몬순 진동이 활발할 때, 우리나라 90 퍼센타일 이상의 극한강수 (R90p)가 발생한 경우로 전구 대류활동, 하층 바람장... 304
그림 9.15. 열대 북대서양(90°W-15oE, 0°-25°N) 봄철 해수면온도 아노말리(빨간색)와 태풍 활동 기간(6월~10월)의 북서태평양 태풍 발생 빈도(흰색) 시계열. 두 시계열 모두... 305
그림 9.16. P2(1984~2004년)과 P1(1965~1983년) 사이의 태풍진로밀도의 변화. 실선과 점선은 P2와 P1 기간의 5860 gpm 등고선을 나타냄 306
그림 9.17. 강도별 태풍 발생 빈도의 변화 306
그림 10.1. RCP 4.5와 8.5기반 현재기후(1981~2010) 대비 21세기 중반(2026~2050)의 여름철(6~8월) 및 겨울철(12~2월) 평균 기온변화의 공간분포. 모든 변화는 t 검정 1%... 327
그림 10.2. RCP 4.5와 8.5 시나리오 및 과거기후 모의에 의한 다중모델앙상블과 관측 기온 및 강수량의 정규분포도 (김가영 등, 2018) 327
그림 10.3. 시나리오별 21세기 전반기, 중반기, 후반기의 한반도의 연강수량 편차비(1981~2010년 모델 기후값 대비) 전망 (기상청, 2018) 328
그림 10.4. RCP 4.5와 8.5기반 현재기후(1981~2010) 대비 21세기 중반(2026~2050)의 여름철(6~8월) 및 겨울철(12~2월) 평균 강수량 변화의 공간분포. 검정, 파랑, 빨강 점은... 328
그림 10.5. 한반도 폭염일수 편차(1981~2010년 모델 기후값 대비) 변화 전망(일) (기상청, 2018) 329
그림 10.6. RCP 4.5와 RCP 8.5 시나리오에서 나타나는 지역기후모델을 이용한 동아시아 지상기온의 21세기 후반(2076~2100년) 전망 및 지역기후모델 간 차이(Suh et al., 2016) 331
그림 10.7. 21세기 후반 RCP 8.5시나리오에 따른 CMIP5 모델 평균 강수량 전망(IPCC, 2014) 332
그림 10.8. RCP 4.5와 RCP 8.5 시나리오에서 나타나는 지역기후모델을 이용한 동아시아 강수량의 21세기 후반(2076~2100년) 전망 및 지역기후모델 간 차이(Oh et al., 2016) 333
그림 10.9. 미래 폭염 지수 (a),(d) HWF (연중 열파일수의 합), (b),(e) HWD (가장 긴 연중 이벤트의 일수), (c),(f) HWA (연중 가장 더운 이벤트의 가장 더운 일) for MME and BMME... 334
그림 10.10. CORDEX-East Asia RCP 8.5 시나리오에서 나타나는 여름철 대류강수와 비대류강수의 현재기후 대비 변화율(Kim et al., 2018) 335
그림 10.11. CORDEX-East Asia의 RCP 전망에서 나타난 최대가능강수(Lee and Kim, 2018) 335
그림 10.12.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1989~2017년 기간 동안 평균해수면 상승률 (국립해양조사원 보도자료, 2018) 337
그림 10.13. 관측 및 RCP 8.5 시나리오로 예측된 전 지구 평균(좌) 및 우리나라 주변 해역(우) 해수면 상승률. 1992~2005년 CSIRO 관측(빨강선)에 이어 CMIP5 21개 기후모델... 338
그림 10.14. 1986~2005년 대비 2081~2100년 RCP 시나리오별 우리나라 주변해역 미래 해수면 상승폭 (허태경 등, 2018) 339
그림 10.15. 관측 및 RCP 시나리오로 예측된 북반구 해빙 면적(좌) 및 시나리오별 빙권요소(북극해빙, 전 지구 빙하, 영구동토층) 미래 변화경향 (IPCC 5차보고서 요약) 341
그림 10.16. HAPPI 시나리오(Plus15-Hist, Plus20 - Hist) 그리고 0.5 증가 영향(Plus20 - Plus15)에서의 동아시아(한반도) 연평균 지표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의 미래... 341
그림 10.17. 동아시아(좌) 및 한반도(우)의 현재기후(검정), 1.5(파랑), 2.0도(빨강) 지구온난화 실험에 대한 연평균 지표기온과 강수량의 확률분포함수. r²은 실제 값과... 34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