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Ⅰ. 정세 개관 5
한반도 주변정세와 동북아 안보환경 / 박병광;이성훈 6
북한 정세와 남북관계 / 이상근 10
신안보 정세 / 김경숙 14
Ⅱ. 대외 정세 18
국제정치 경제 :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과 세계경제의 불안정성 심화 / 윤정현 19
미국 : 중간선거 위기 신호 속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 출구전략 모색 / 성기영 23
중국 : 안정의 토대를 다지며 20차 당대회 성공적 개최에 주력 / 양갑용 28
일본 : 참의원 선거 승리를 위한 보수 결집 노력과 방위력 증강 / 김태주 32
러시아 : 우크라이나 침공을 통한 국제질서 변화 시도 / 장세호 35
유럽 : 안보위기 속 경합하는 해법: 자강론과 동맹론 / 조은정 38
Ⅲ. 북한 정세와 남북관계 41
북한 정치 : 노동당 회의체 활성화와 당의 역할 증대 / 이기동 42
북한 경제 : 내연하는 위기, 반전의 계기를 찾지 못하는 경제 / 이지선; 임수호 45
북한 군사 : 핵무력 중심 국방력 강화 정책의 지속 / 김보미 49
북한 보건 : 코로나19 통제 성과 속 재확산 가능성 상존 / 김호홍 54
남북관계 : 경색국면 장기화와 위기관리의 중요성 증대 / 최용환 58
북한 대외관계 : 미국과의 대립, 중러와의 밀착 지속 / 김종원; 성기영; 양갑용; 장세호 62
Ⅳ. 신안보 정세 67
보건 : 방역과 일상회복 노력의 병존 / 김경숙 68
기후 : '기후정의' 부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갈등 가능성 / 김호홍 72
테러 및 국제범죄 : ISIS와 알카에다의 세력 재건 시도와 테러의 경제전화 / 박보라 76
사이버 : 단순 협력을 넘어동맹 역할을 요구받는 시대의 도래 / 김소정 83
신기술 : 핵심ㆍ신흥기술 이슈 부각에 따른 미중 전략경쟁 심화 / 윤정현 87
판권기 90
〈표 1〉 2022년 북한 주요 미사일 발사 일지 50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