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5

요약 6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8

제2장 코호트 분석의 이론적 검토 10

제1절 코호트 분석의 개념 10

제2절 코호트 분석의 접근 방식 11

제3절 본 연구에서의 코호트 개요 및 분석 자료 15

제3장 생애과정 이행 분석: 교육ㆍ취업 21

제1절 교육 21

제2절 취업 28

제3절 자립 43

제4장 결론 46

참고문헌 49

Abstract 50

판권기 52

〈표 2-1〉 문혜진(2010) 연구에서의 코호트 접근 방식 12

〈표 2-2〉 문혜진(2013) 연구에서의 코호트 접근 방식 13

〈표 2-3〉 계봉오와 황선재(2016) 연구에서의 코호트 접근 방식 15

〈표 2-4〉 인구주택총조사 내용 18

〈표 2-5〉 경제활동인구조사 내용 18

〈표 2-6〉 사회조사 내용 19

〈표 2-7〉 국내인구이동통계 내용 19

〈그림 2-1〉 김미경 외(2014) 연구에서의 코호트 접근 방식 14

〈그림 2-2〉 본 분석의 코호트별 전체 인구수 17

〈그림 3-1〉 코호트별 대학 졸업 이상 학력자 비율 22

〈그림 3-2〉 코호트별 및 성별 대학 졸업 이상 학력자 비율 22

〈그림 3-3〉 코호트별 대학 졸업자 중 대학원 진학 이상 비율 23

〈그림 3-4〉 코호트별 및 성별 대학 졸업자 중 대학원 진학 이상 비율 24

〈그림 3-5〉 코호트별 교육 기회 충족 비율 25

〈그림 3-6〉 코호트별 및 성별 교육 기회 충족 비율 25

〈그림 3-7〉 코호트별 전공과 직업의 일치 비율 27

〈그림 3-8〉 코호트별 및 성별 전공과 직업의 일치 비율 27

〈그림 3-9〉 코호트별 고용률 29

〈그림 3-10〉 코호트별 및 성별 고용률 29

〈그림 3-11〉 코호트별 일하지 않고 교육ㆍ훈련도 받지 않는 청년 비율 31

〈그림 3-12〉 코호트별 및 성별 일하지 않고 교육ㆍ훈련도 받지 않는 청년 비율 32

〈그림 3-13〉 코호트별 첫 취업 전 소요 기간 33

〈그림 3-14〉 코호트별 및 성별 첫 취업 전 소요 기간 34

〈그림 3-15〉 코호트별 첫 일자리 취업 연령 35

〈그림 3-16〉 코호트별 및 성별 첫 일자리 취업 연령(25~29세 기준) 36

〈그림 3-17〉 코호트별 비정규직 비율 37

〈그림 3-18〉 코호트별 및 성별 비정규직 비율 38

〈그림 3-19〉 코호트별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비율 39

〈그림 3-20〉 코호트별 및 성별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비율 40

〈그림 3-21〉 코호트별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이동률 41

〈그림 3-22〉 코호트별 및 성별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이동률 42

〈그림 3-23〉 부모 동거 미혼 청년 자녀 비율 44

〈그림 3-24〉 부모 동거 미혼 청년 자녀의 경제활동 비율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