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3
Ⅰ. 시대적 핵심과제-지속가능발전교육 및 변혁적 역량 함양 4
Ⅱ. 독일 ESD 개발과 BLK-Programm '21' 10
1. 태동-혁신의 단초로서의 환경교육과 ESD를 위한 교육정책 연구 10
2. ESD 개발-교육혁신 과제로서의 BLK-Programm '21'의 개발과 실행 12
가. BLK-Program '21'을 위한 교육학적 토대 13
나. BLK Program '21'의 교육목표 '형성역량'의 습득 18
다. BLK-Program '21' 개발의 중심 주제 및 조직 원칙 20
라. 수업방법과 도구-교과통합 프로젝트수업과 지구적 변화 증후군 개념틀 22
마. 프로그램 개발과 확산을 위한 전략 및 협력체계 24
바. BLK Programm '21'의 성과 25
Ⅲ. 확장-독일 ESD '유엔 10년'(2005~2014)을 통한 전 사회적 확산 26
1. 'Transfer 21'(2004~2008): 'UN-Decade' 전반기(2005~2009)의 성과와 한계 26
2. '유엔 10년' 지속가능성 문화로의 전반적인 변화를 이끌어온 선구자들의 헌신-ESD 우수 프로젝트 시상이 다양한 분야의 개인과 기관의 실질적인 참여 촉진 27
3. '유엔 10년' 3,500개 프로젝트의 발전을 가능하게 한 핵심 요소들 28
가. 전국 ESD 행동의 날(Aktionstage ESD) 28
나. '유엔 10년'의 ESD 연례 주제 28
다. 교육산업 박람회(didacta-Verband) 30
라. '유엔 10년' 예산과 독일 연방환경재단(DBU) 30
마. 'dm' 상점 체인과 기업의 참여 31
4. '유엔 10년'의 성과와 한계 31
Ⅳ. 구조적 정착-국가이행계획(NAP)을 통한 프로젝트의 구조화 - 국제실천프로그램(GAP, 2015~2019)의 독일 국가적 실행 32
1. ESD 국가이행 추진 구조: 확대 강화된 총체적 네트워킹의 강화 32
2. 독일 ESD 구조화를 위한 국가이행계획(NAP, 2017) 35
3. ESD 구조적 정착화 단계에서의 성과와 과제 35
Ⅴ. ESD의 주류화 - ESD 2030(2020~2030)의 이정표 37
1. 2023 '공동의 미래교육' 캠페인- '배우자. 행동하자. 함께 미래를 만들자' 39
2. 청(소)년 참여(youpaN)와 25년 요구사항-미래 형성에의 참여 40
Ⅵ. 시사점 및 연구 제언 43
참고자료 48
판권기 54
[그림 1] BLK-Programm '21' 사례목록 분류 21
[그림 2] 강화된 독일 ESD 국가이행 추진 구조도 3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 전화번호 |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