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6
초록 4
연구요약 12
Ⅰ. 서론 2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4
가. 연구의 필요성 24
나. 연구목적 29
2. 연구내용 및 방법 30
Ⅱ. 지역특화형 비자사업 현황 33
1. 지역특화형 비자사업 개요 33
가. 개요 33
나. 선정지역 40
2. 지역특화형 비자사업 운영 현황 41
가. 비자 발급 현황 41
나. 지방자치단체별 운영 현황 45
Ⅲ. 지역특화형 비자사업 참여자 조사 76
1. 경상북도 시범사업 신청자 수요조사 76
가. 조사개요 76
나. 응답자 특성 77
다. 노동환경 81
라. 가족과 주거 88
마. 경북에서의 삶 91
바. 요약 및 시사점 99
2. 2024년 정규사업 신청자 수요조사 102
가. 조사개요 102
나. 응답자 특성 102
다. 지역특화형 비자사업 신청지역 및 취업 고려 요인 104
라. 동거가족 및 초청계획 109
마. 지속 체류 의향 110
바. 교육 및 서비스 수요 111
Ⅳ. 주요국 지역이민정책 사례 114
1. 창업 관련 사례 : 핀란드 114
가. 핀란드의 이민정책 114
나. 유학생 대상 비자 정책 완화 115
다. 창업 비자 (Startup Permit) 116
라. 대학 내 창업 교육 117
2. 농업 관련 사례: 캐나다 123
가. 캐나다의 지역 이민정책 123
나. 온타리오 125
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132
라. 시사점 135
3. 통합 정책 사례: 영국 스코틀랜드 136
가. 스코틀랜드 맞춤형 이민정책 개요 136
나. 스코틀랜드의 이민통합정책 143
다. 시사점 149
Ⅴ. 결론 151
1. 지역특화형 비자사업의 제도 개선방안 151
가. 비자 및 자격요건 조정 : 광역형과 기초형 구분, 인재유형에 따른 구분 151
나. 소득요건 GNI 기준 완화 또는 차등 적용 필요 159
다. 고용인원 및 국적 비율 제한 162
라. 업종 제한에 대한 유연한 고려 필요 166
2. 지자체 중심의 정착 및 통합 지원 체계 구축 167
가. 지역별 맞춤형 취업 연계 플랫폼 구축 167
나. 가족이민에 대비한 생활 인프라 및 정주 정책 168
3. 지역특화형 비자 추진을 위한 지자체 협력 모델 마련 173
가. 지자체 중심의 지역특화형 비자 추진체계 마련 173
나. 지방대학 및 기업체와의 연계 : 유학생 유형화 전략 필요 175
다. 창업 확대를 위한 체계 구축 177
참고문헌 178
판권기 4
〈그림 Ⅰ-1〉 연구전개도 32
〈그림 Ⅱ-1〉 지역특화형 비자사업 개념도 34
〈그림 Ⅲ-1〉 이직하고 싶은 이유 88
〈그림 Ⅳ-1〉 OINP 고용주 구인 스트림 신청 진행 절차 132
〈그림 Ⅴ-1〉 기초형 체류자격 변경절차(안) 15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 전화번호 |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