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3
연구요약 10
제1장 서론 19
1. 연구 배경 19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9
3. 선행 연구 30
제2장 현황 분석 및 문제점 33
1. 국내외 ODA 동향 33
가. 국제사회 동향 33
나. 국내 동향 37
2. 외국인 근로자 도입 관련 사업 현황 및 문제점 45
가. 개요 45
나. 기술인력 48
다. 고용허가제 56
라. 계절근로자 59
3. 우리나라 현지 인재양성 ODA 사업 현황 및 문제점 63
가. 주요 기관 현황 63
나. 주요 사업 사례 75
다. 개선 방안 92
제3장 주요 국가 사례 분석 94
1. 독일 94
가. 기본 현황 94
나. 인력양성 및 활용 사례 98
2. 호주 101
가. 기본 현황 101
나. 인력양성 및 사례 104
3. 일본 108
가. 기본 현황 108
나. 일본의 ODA를 통한 해외 인력 양성 및 사례 115
4. 기타 국가 122
5. 시사점 128
제4장 해외인재 양성 및 활용 제도 개선 방안 131
1. 기본 방향 131
2. 세부 개선 방안 132
가. 해외인재 유치 정책의 제도 개선 방안 132
나. 해외인재 양성 및 활용을 위한 단계별 추진 방안 138
다. 해외인재 양성을 위한 ODA 사업 추진 방안 141
제5장 결론 및 제언 146
1. 결론 146
2. 제언 147
참고문헌 149
[별첨 1] KOICA 교육 분야 ODA 리스트(2023년 기준) 155
[별첨 2] KOICA 인재양성 ODA 리스트(2024~2025년 수행 사업 기준) 157
[별첨 3] KOICA 발굴/기획 중인 인재양성 ODA 리스트(2025년 하반기 이후 수행) 161
〈그림 1〉 국제송금, 해외직접투자, ODA 흐름 비교(중국제외, 2000~2024) 19
〈그림 2〉 1990~2020년 아시아를 오가는 이민자들 22
〈그림 3〉 인구변화 추이 23
〈그림 4〉 연도별(2024~2028) 부족 인원 전망 24
〈그림 5〉 2024~2028년 부족 인원 전망: 직업별 25
〈그림 6〉 체류자격별 외국인 근로자 제도 현황 26
〈그림 7〉 글로벌 ODA 추이 33
〈그림 8〉 세계 교육 원조 동향 35
〈그림 9〉 최근 5개년 교육 ODA 추이(2019~2023) 39
〈그림 10〉 교육 ODA 분야별 비중 39
〈그림 11〉 OECD DAC 공여국의 교육 ODA 금액 40
〈그림 12〉 OECD DAC 공여국의 교육 ODA 비중 40
〈그림 13〉 교육 분야 양자 ODA 분야별 금액 41
〈그림 14〉 교육 분야 ODA 발전 수준별 맞춤형 지원 방안 42
〈그림 15〉 국내 인프라를 활용한 인재양성 ODA 추진 방안 44
〈그림 16〉 외국인ㆍ다문화 정책위원회 일원화 방안 47
〈그림 17〉 기술교육 강의 만족도 조사 결과 80
〈그림 18〉 취업에 도움 정도 만족도 조사 결과 80
〈그림 19〉 글로벌투게더-캄코모터 기술교육 세부 프로그램 사진 82
〈그림 20〉 KOICA 조선용접 숙련인재 양성사업 교육 모습 85
〈그림 21〉 KOICA 조선용접 숙련인재 양성사업 1기 수료생 단체사진 87
〈그림 22〉 독일의 이주 인력 지원 체계 95
〈그림 23〉 독일의 'Triple-Win' 개념과 행위자 간 협력구조 97
〈그림 24〉 독일 듀얼 VET 과정의 구성(현장vs직업학교) 98
〈그림 25〉 해외 이민자 도착 그래프 102
〈그림 26〉 해외 이주민 출국 그래프 102
〈그림 27〉 호주의 PALM 제도 근로자의 출신 국가 106
〈그림 28〉 PALM 제도 산업체별 근로자 참여 비율 106
〈그림 29〉 호주 원조와 라오스 경제 개발(OECD, 2000~2020) 107
〈그림 30〉 국적별 일본 내 외국인 노동자 비중 111
〈그림 31〉 일본의 외국인근로자 수(2023.10) 112
〈그림 32〉 일본 외국기능인력 관련 제도 변화 113
〈그림 33〉 E-9 → E-7 경로 제도 절차 개선 134
〈그림 34〉 ODA-해외인력 도입 연계 삼각협력 구조 14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 전화번호 |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