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예술교육자를 위한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툴킷 제안 = A proposal of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ntents toolkit for art educators / 김은희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21.2
청구기호
TM 745.2068 -21-25
형태사항
vii, 81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21000031978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경영전공, 2021.2. 지도교수: 김승인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서론 11

제1장 1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4

본론 17

제2장 현황 연구 17

2.1. 온라인 교육 현황 17

제3장 문헌 연구 21

3.1. 문화예술교육 21

3.2. 구성주의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 27

3.3. 공통점과 유사성을 기준으로 한 유형 구분 31

제4장 사례 조사 38

4.1. 국내 현황 및 사례 조사 40

4.2. 해외 현황 및 사례조사 44

제5장 툴킷 제작을 위한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가이드 개발 53

5.1. 콘텐츠 가이드 개발 배경 53

5.2. 콘텐츠 유형과 유형별 요소 개발 단계 및 결과 55

5.3.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가이드 '하이브온(HiveOn)' 개발 65

제6장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툴킷 제안 67

6.1. 툴킷 제작 배경 67

6.2. 디자인 제안 74

결론 84

제7장 결론 84

7.1. 연구의 결과 84

7.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86

참고문헌 87

Abstract 89

〈표 1〉 비대면 온라인 수업 운영방식 19

〈표 2〉 문화예술교육의 주요 키워드와 세부내용 26

〈표 3〉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미래지향적 교육구성안(2020) 29

〈표 4〉 '문화예술교육'과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미래지향적... 32

〈표 5〉 '문화예술교육'과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미래지향적... 35

〈표 6〉 광주문화재단, 어린이 비대면 예술놀이 '키득키트' 40

〈표 7〉 안은미 무용단, 1분 59초 around the world 41

〈표 8〉 광주 청소년 삶 디자인 센터, 청소년 스스로 비대면 프로그램 운영 42

〈표 9〉 안양문화예술재단, 마인크래프트 게임내 버츄얼 평촌아트홀 43

〈표 10〉 MIT, MIT Stratch 44

〈표 11〉 브루클린 뮤지엄에서 디지털화한 프로그램 목록 및 설명 46

〈표 12〉 브루클린 뮤지엄, 해브어리틀펀 프로그램 세부 설명 47

〈표 13〉 뮤직마트(Music Mark), 세부 프로그램 50

〈표 14〉 도쿄 코네가이 초등학교, 수업 구성표 51

〈표 15〉 참여방식 유형과 세부요소 구분 56

〈표 16〉 창의성을 위한 창의학습요소 유형과 세부요소 구분 58

〈표 17〉 소통방식 유형과 세부요소 구분 59

〈표 18〉 전달방식 유형과 세부요소 구분 61

〈표 19〉 피드백 유형과 세부요소 구분 62

〈표 20〉 플랫폼 유형과 세부요소 구분 64

〈표 21〉 단계별 세부내용과 주요 검토사항 69

〈표 22〉 툴킷 아이디어 전개와 구성 매핑 73

〈그림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그림 2〉 연구 방법 16

〈그림 3〉 예술의 혜택에 대한 이해를 위한 체계, RAND 리포트 23

〈그림 4〉 가이드 개발 모형 54

〈그림 5〉 6개의 유형과 유형별 4가지의 요소 55

〈그림 6〉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가이드 '하이브온(HiveOn)' 66

〈그림 7〉 툴킷의 5단계 순환구조 67

〈그림 8〉 IDEO 메소드 카드(Method Card) 70

〈그림 9〉 SDT 서비스디자인 툴킷 71

〈그림 10〉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 사고 툴킷 71

〈그림 11〉 툴킷 구성 75

〈그림 12〉 툴킷 색상과 심볼 가이드 76

〈그림 13〉 질문 카드 78

〈그림 14〉 프로세스 시트와 패키지 79

〈그림 15〉 카드 케이스와 체크리스트 카드 80

〈그림 16〉 유형별 세부 요소로 구분된 체크리스트 카드 81

〈그림 17〉 워크북 82

〈그림 18〉 IDAS 온라인 졸업 전시 'Play50' 83

초록보기 더보기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등장으로 '삶의 질'과 '과정'을 중심으로 차별 없는 '포용적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사회에 살게 되었다. 소통, 연대, 참여, 공유, 개방이라는 삶의 가치가 중요시됨에 따라 창의성과 타인에 대한 배려, 공감능력 등이 미래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역량은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인 융합적 사고력, 창의적 발상, 타인에 대한 이해와 풍부한 감성 등과 밀접한 관련과 같은 긍정적 효과로 인해 다시 주목 받고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유래 없는 온라인 개학과 비대면 수업이 전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지금까지 대체제 혹은 보완재로 진행해오던 온라인 교육이 독립적인 교육 콘텐츠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온라인 수업은 소통방식을 변화시켰고 기기와 인프라의 부족함에서 오는 공평하지 않은 수업 참여 기회뿐 아니라 저작권 침해, 부정 수강과 상호작용의 어려움 등으로 독립적 콘텐츠로서 소통의 어려움에 따른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특히, 교육자는 자신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가르치는 것에서 협력자(Facilitator)로서의 역할이 변화되었으며 실제로 학습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거나 제공할 수 있는 종합설계자로서의 역량을 요구받고 있다.

온라인 문화예술교육의 핵심은 문화예술교육의 본질을 바탕으로 예술교육자가 설계한 콘텐츠로 대상자들이 예술적 체험을 하고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내면적 성찰과 만족감이 사회적 가치로 이어지면서 상호 순환적 관계로서의 영향력으로 모든 이의 잠재된 창의력을 일깨울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 때, 예술 교육자는 예술적 체험을 돕는 협력자(Facilitator)이자 매개자, 촉매자로서의 역할로 공감과 이해 그리고 상호작용으로 함께 성장해 나갈 때 교육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예술교육자가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설계할 때 기획, 제작, 활용, 공유에서부터 피드백과 평가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는 가이드와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현황연구로 온라인 교육의 방향과 변화의 흐름을 조사하였다. 둘째, 문헌연구에서 문화예술교육과 가장 최근에 발표된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한 구성주의 교육의 철학과 가치를 연구하여 유사성 발견하고 이를 중심으로 3가지 핵심 관점을 도출하였다. 핵심 관점은 교육자, 대상자(학습자), 교육자의 역할 변화이며 이를 기준으로 온라인 교육의 단계별 실행 과정에 따라 참여방식, 전달방식, 창의학습요소, 소통방식, 플랫폼, 피드백의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공통적 특징으로 나타난 성찰적 핵심과 포용적 성장을 필수로 검토하기 위해서 질문하는 단계를 별도로 구성하였다. 셋째, 국내·외 성공적인 사례들을 조사하여 6가지 유형에 따른 유형별 4가지의 세부요소를 구분하였다. 세부요소는 단계별로 발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체계화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6가지 유형과 유형별 4가지 요소, 질문으로 툴킷 제작을 위한 콘텐츠 가이드를 개발하였고 도식화 하였다.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가이드 '하이브온'은 온라인 환경의 다양성에 따른 주요 단계와 고려사항, 서로 연결된 관계들을 구체적으로 확인해볼 수 있는 체크리스트로서 통합적 발상을 도울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이드를 기준으로 예술교육자가 온라인 콘텐츠를 설계할 때 기획, 제작, 활용, 공유에서부터 피드백과 평가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어 콘텐츠의 설계를 돕고 실질적인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는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툴킷' 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로 예술교육자의 의미 있는 콘텐츠 사례들이 소개되어 대상자가 사회와 상호작용하면서 스스로 '행복한 삶'으로 살아 나아갈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