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발간사 / 송석구
2010년 사회통합위원회 주요활동
목차
요약 18
제1부 사회통합위원회 출범 34
제1장 설립배경 36
제1절 사회통합위원회의 출범배경 36
제2절 사회통합의 국제적 추세 39
제3절 사회통합위원회의 설립과정 41
제2장 위원회 구성과 기능 43
제1절 사회통합위원회의 구성 43
제2절 사회통합위원회의 기능 45
제2부 사회통합의 실태진단 48
제1장 사회통합의 환경변화 50
제1절 사회통합의 의의 50
제2절 사회통합이란 무엇인가 51
제3절 사회통합의 환경 52
제2장 공공갈등의 실태와 사회적 비용 57
제1절 한국사회의 공공갈등과 사회적 비용 57
제2절 공공갈등의 발생 실태와 특징 58
제3절 갈등의 예방과 해결 시스템 구축에 대한 시사점 63
제3장 사회통합의 실태와 추이 66
제1절 객관적 지표를 통해 본 사회통합의 실태 66
제2절 국민의식 조사를 통해 본 사회통합의 실태 79
제4장 사회통합의 국제비교 90
제1절 사회통합의 조건들 90
제2절 사회통합의 상태 96
제3부 사회통합의 과제와 전략 104
제1장 사회통합의 새로운 패러다임 106
제1절 한국의 사회갈등과 사회통합 모델 106
제2절 내용으로서의 사회통합 110
제3절 방법으로서의 사회통합 122
제4절 제도로서의 사회 통합 130
제5절 문화로서의 사회통합 141
제2장 사회통합의 정책과제 154
제1절 도시재정비 제도개선 154
제2절 대학시간강사대책 166
제3절 근로빈곤층 대책 177
제4절 지도층 제몫하기 프로젝트 191
제5절 '이제는 문화다!' 프로젝트 205
제6절 지역주의 해소를 위한 국회의원선거제도 개선 219
제7절 지역주의와 부정·부패방지를 위한 지방선거제도 개선 234
제8절 세대 일자리 공존 프로젝트 250
제9절 가족친화일터 만들기 프로젝트 273
제10절 외국인·결혼이민자 동행 프로젝트 285
제11절 북한이탈주민 성공 프로젝트 294
제4부 사회통합 컨센서스 2010 298
제1장 보수·진보가 함께하는 공동 프로젝트 300
제2장 보수와 진보는 무엇을 합의하였는가 303
제1절 한국사회 이념논쟁, 무엇이 문제인가 304
제2절 경제, 자유시장경제인가, 제3의 길인가 308
제3절 한국 민주주의를 보는 시각: 문제와 대안 313
제4절 한국 보수와 진보의 대외정책과 대북정책, 합의점은 없는가 317
제5절 균형발전정책과 지방분권 322
제6절 교육, 경쟁력인가, 형평성인가 326
제7절 사회복지, 미국 모델인가, 유럽 모델인가 330
제8절 세계화, 어떤 개방을 이룰 것인가 333
제9절 고용위기(고융위기), 해법은 없는가 336
제3장 사회통합 컨센서스 2010: 보수와 진보가 함께 가는 미래 한국 340
제1절 보수와 진보가 함께 가는 미래 한국을 위하여 341
제2절 대한민국이 서 있는 곳과 가야할 길 342
제3절 보수와 진보가 합의한 의제 60 353
제5부 사회통합 및 갈등관리의 제도화 362
제1장 공공갈등의 예방과 해결에 관한 법률 364
제1절 법률안 마련 배경과 추진 경과 364
제2절 선진외국의 갈등 예방과 해결 노력 366
제3절 한국사회 갈등관리의 문제점 367
제4절 법안의 주요내용 369
제2장 사회갈등 영향평가를 위한 모형개발 382
제1절 사회갈등영향평가의 추진 배경과 추진 382
제2절 갈등관리를 위한 현행 국내·외 평가제도와 시사점 384
제3절 사회갈등영향평가의 체계와 모형 397
참고문헌 404
부록 412
부록1. 위원회 연혁 414
부록2. 위원회 및 위원 구성 416
부록3. 주요활동 419
부록4. 사회통합위원회 규정 424
판권기 428
[그림 1-2-1] 사회통합위원회 및 사회통합지원단 기구도 44
[그림 2-2-1] 공공갈등의 발생빈도와 누적빈도 59
[그림 2-3-1] 빈곤율 및 소득격차비율 변화 추이 67
[그림 2-3-2] 불평등 변화추이 68
[그림 2-3-3] 중산층의 비율 변화 69
[그림 2-3-4] 주요 고용지표의 변화 72
[그림 2-3-5] 비정규직 근로자의 규모 및 비중 변화 72
[그림 2-3-6]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임금격차 73
[그림 2-3-7] 노사쟁의 건수 및 참가인원 74
[그림 2-3-8] 인구고령화 변동 추이 75
[그림 2-3-9] 실업률과 청년실업률 변화 추이 76
[그림 2-3-10] 60세 이상 가구와 60세 미만 가구의 소득격차 확대 77
[그림 2-3-11] 다문화가족 현황 78
[그림 2-3-12] 광역별 일인당 GDP의 차이(전국평균=100) 79
[그림 2-3-13] 사회갈등이 사회통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의 정도 81
[그림 2-3-14] 주요 사회갈등에 대한 연령집단별 인식 82
[그림 2-3-15] 사회통합성을 강화하기 위한 전제조건(정책방향) 85
[그림 2-3-16] 주요 공공사회기관에 대한 신뢰도 86
[그림 2-3-17] 국민으로서의 자부심 87
[그림 2-3-18] 국민으로서 자부심의 집단별 차이 87
[그림 2-3-19] 경제사회적 기획균등 여부에 대한 인식 88
[그림 2-4-1] OECD 국가의 빈곤율과 빈곤격차비율(2005년) 91
[그림 2-4-2] 주요 OECD 국가의 빈곤율 변화 92
[그림 2-4-3] OECD국가들의 소득불평등 92
[그림 2-4-4] OECD국가들의 소득불평등 변화 94
[그림 2-4-5] OECD국가들의 고용률과 실업률(2007년) 95
[그림 2-4-6] 주요 OECD국가들의 인구집단별 고용률 비교(2007년) 96
[그림 2-4-7] 주요 OECD국가들의 주관적 생활만족도(2006년) 97
[그림 2-4-8] 주요 OECD국가들의 주관적 직업만족도 97
[그림 2-4-9] 국민으로서 느끼는 귀속감 비교 99
[그림 2-4-10] 국가가 자랑스럽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 비교 100
[그림 2-4-11] 타인에 대한 신뢰도의 비교 101
[그림 3-1-1]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 구조 108
[그림 3-1-2] 부산시 북항 재개발 공론조사 일정과 절차 136
[그림 3-1-3] 대형 국책 사업에 대한 공론조사의 흐름 138
[그림 3-2-1] '사회갈등예방을 위한 도시재정비 제도개선 공개 토론회('10.11.3)' 전경 155
[그림 3-2-2] 사회통합위원회 정책과제 브리핑('10.10.25) 175
[그림 3-2-3] '공정사회를 위한 근로빈곤층의 현안과 과제 공개 토론회('10.10.24) 전경 178
[그림 3-2-4]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의 구조('09년) 185
[그림 3-2-5] 맞춤형 공공부조제도체계 모형 186
[그림 3-2-6] GDP 대비 개인기부금 비중('06년) 191
[그림 3-2-7] 나눔 원스톱 서비스 센터의 조직 구조 195
[그림 3-2-8] 지역주의 극복을 위한 국회의원선거제도 개선 토론회(11.8) 전경 220
[그림 3-2-9] '지방선거제도 이대로 좋은가' 제1차 토론회(7.20) 전경 236
[그림 3-2-10] '지방선거제도 이대로 좋은가' 제2차 토론회(8.17) 전경 237
[그림 3-2-11] '지방선거제도 이대로 좋은가' 제3차 토론회(9.1) 전경 237
[그림 3-2-12] 세대 일자리 공존 모델 - 함께 오래 일하는 사회 255
[그림 3-2-13] 생애생산성과 생애 임금 256
[그림 3-2-14] 합리적 정년연장모형 258
[그림 3-2-15] 현재 55세 근로자 259
[그림 3-2-16] 현재 45세 근로자 260
[그림 3-2-17] 정년연장과 새로운 임금체계 261
[그림 3-2-18] 시니어 멘토제 운영모델 268
[그림 3-2-19] 고령숙련근로자 활용을 통한 청년인턴제 실효성 제고 모형 270
[그림 3-2-20] 여성의 연령대별 경제활동참가율(2000년, 2009년) 273
[그림 3-2-21] 가족친화 일터 만들기 공개토론회(12.2) 전경 277
[그림 3-2-22] 국제다솜학교 설립관련 업무 추진 293
[그림 3-2-23] 북한이탈주민 증가 추이 294
[그림 4-2-1] 추진체계 301
[그림 4-2-2] 「21세기 국가전략과 사회통합」 제1차 토론회 전경('10.3.31) 304
[그림 4-2-3] 「21세기 국가전략과 사회통합」 제2차 토론회 전경('10.4.26) 308
[그림 4-2-4] 「21세기 국가전략과 사회통합」 제3차 토론회 전경('10.5.25) 313
[그림 4-2-5] 「21세기 국가전략과 사회통합」 제4차 토론회 전경('10.6.29) 317
[그림 4-2-6] 「21세기 국가전략과 사회통합」 제5차 토론회 전경('10.7.27) 322
[그림 4-2-7] 「21세기 국가전략과 사회통합」 제6차 토론회 전경('10.8.31) 326
[그림 4-2-8] 「21세기 국가전략과 사회통합」 제7차 토론회 전경('10.9.28) 330
[그림 4-2-9] 「21세기 국가전략과 사회통합」 제8차 토론회 전경('10.10.26) 333
[그림 4-2-10] 「21세기 국가전략과 사회통합」 제9차 토론회 전경('10.11.30) 336
[그림 4-3-1] 사회통합위원회 연석회의('10.12.3) 전경 340
[그림 5-1-1] 갈등조정협의회 안 370
[그림 5-1-2] 갈등해결 지원조직과 업무 안 371
[그림 5-2-1] 부처 갈등관리 실태평가의 세부 평가 지표 40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663070 | R 303 ㅅ193ㅅ | 2010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