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고등교육 질 보장을 위한 중장기 대학 진단체제 발전 방안 / 연구책임자: 남신동 ; 공동연구자: 임후남, 김지하, 조옥경, 백승주, 유예림, 송효준, 한현석, 심우정, 이재준 인기도
발행사항
진천군 : 한국교육개발원(KEDI), 2020
청구기호
378.1 -21-14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viii, 335 p. : 삽화, 도표, 서식 ; 26 cm
총서사항
연구보고 ; RR 2020-16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6664291
제어번호
MONO12021000018913
주기사항
부록: 1. 정량성과의 주요 지표의 자료 출처 및 산식 ; 2. 고등교육 질 보장을 위한 중장기 대학 진단체제 발전 방안 ; 3. 고등교육 질 보장을 위한 대학진단체제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조사
참고문헌: p. 295-304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5

CHAPTER Ⅰ. 연구의 개요 2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4

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5

나. 연구의 목적 28

2. 연구 내용 28

3. 연구 방법 29

CHAPTER Ⅱ. 이론적 배경 33

1. 주요국 고등교육 질 보장 정책 동향 34

가. 선행연구 현황 34

나. 주요국별 고등교육 질 보장 정책 및 제도 현황 36

다. 요약 및 시사점 42

2. 고등교육 질 보장 패러다임 모색을 위한 이론과 개념 43

가. '고등교육 질' 개념 43

나. 질 보장(Quality Assurance)과 질 제고(Quality Enhancement) 구분 44

다. 고등교육 질 보장 패러다임 관련 제이론 46

3. 고등교육 구조개혁 정책 진단을 위한 분석준거(안) 탐색 51

가. '메타평가' 관점에 의한 정책 현황 및 실태 진단 51

나. 고등교육 구조개혁 정책 진단 및 개선과제 분석을 위한 준거(안) 53

CHAPTER Ⅲ. 고등교육 구조개혁 정책의 사회적 인식 55

1. 한국 특유의 '고등교육 보편화'와 교육개혁의 과제 56

2. 고등교육 구조개혁 정책의 구상과 전개 과정 67

가. 고등교육 구조개혁 정책 추진 개관 69

나. 고등교육 구조개혁 정책수단으로서 '대학진단체제'의 형성과 변화 72

3. 고등교육 구조개혁에 대한 일반사회의 인식과 쟁점 83

가. 분석 자료 83

나. 분석 방법 85

다. 분석 결과 87

라. 분석결과 요약 113

4. 시사점 115

CHAPTER Ⅳ. 고등교육 구조개혁 정책의 성과와 영향력 118

1. '대학교육 체질 개선'의 사회적 요구와 주요 성과 120

가. 분석 목적 120

나. 분석 자료 및 대상 120

다. 주요 분석 방법 122

라. 분석 결과 125

2. 학부교육 운영의 질적 개선 151

가. 정성지표의 체계와 구성 151

나. 정성지표를 통해서 변화와 개선 노력(일반대학) 155

다. 정성지표를 통해서 변화와 개선 노력(전문대) 169

라. 하위 대학 이행 점검을 통한 '상향평준화'의 효과 181

3 시사점 185

가. 분석결과 요약 185

나. 요약 및 논의 187

CHAPTER Ⅴ. 대학의 자체성과관리 구축과 제도 혁신의 노력 191

1. 대학의 자체혁신의 동향 및 사례 대학 선정 192

가. 대학혁신지원사업과 국내 대학의 자체 혁신계획 193

나. 사례 대학의 선정 195

2. 대학별 자체성과관리 구축 및 분야별 개선 사례 196

가. 교육과정 특성화와 자체성과관리 197

나. 대학의 교수학습 혁신과 자체성과관리 209

다. 데이터 기반 대학의 성과와 교육 질 관리 227

3. 시사점: 대학의 자율성장 동력 제고 및 정책지원 233

CHAPTER Ⅵ. '고등교육 구조개혁 정책'의 인식과 개선 요구 236

1. 대학진단체제 개선에 관한 대학관계자 의견 조사 238

가. 조사개요 238

나. 주요 분석결과 240

다. 분석결과 요약 269

2. 정책 개선 방향 및 쟁점에 대한 전문가집단토의(FGD) 270

가. FGD의 개요 271

나. 정책 추진에 대한 진단과 개선과제 272

다. 고등교육 질 보장 정책의 개선과제 279

3. 시사점 289

CHAPTER Ⅶ. 중장기 대학진단체제 발전 방안 291

1. 주요 분석결과 요약: 정책개선 방향 도출 293

가. 연구의 개요 293

나. 주요 분석 결과 294

2. 고등교육 질 보장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대학진단체체 개선 방향 298

가. 미래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현안 과제 298

나. 고등교육 질 보장에 있어서 정부와 대학 간의 역할 재정립 300

다. 중장기 대학진단체제 발전 모형(안) 302

참고문헌 307

Abstract 317

[부록 1] 정량성과의 주요 지표의 자료 출처 및 산식 329

[부록 2] 『고등교육 질 보장을 위한 중장기 대학 진단체제 발전 방안』 331

[부록 3] 고등교육 질 보장을 위한 대학진단체제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조사 335

판권기 346

〈표 Ⅱ-1〉 미국의 대학 평가인증 개혁 방안 요약 37

〈표 Ⅱ-2〉 주요국의 대학평가 체제 및 최근 동향 41

〈표 Ⅱ-3〉 실증주의적 평가 및 구성주의적 평가 패러다임의 비교 47

〈표 Ⅲ-1〉 고교 졸업자 진학률 및 고등교육기관 취학률 57

〈표 Ⅲ-2〉 연도별 고등교육기관 전체 설립유형별 학교수 및 재학생 현황 61

〈표 Ⅲ-3〉 연도별 전문대학 설립유형별 학교수 및 재학생 현황 62

〈표 Ⅲ-4〉 중등후 교육기관의 유형별 설치ㆍ운영 현황 63

〈표 Ⅲ-5〉 한국 학부모의 고등교육 이수 목적에 대한 인식의 연도별 변화 추이 65

〈표 Ⅲ-6〉 한국 학생의 고등교육 이수 목적에 대한 인식의 연도별 변화 추이 66

〈표 Ⅲ-7〉 2000년대 이후 고등교육 구조개혁을 위한 주요 정책 개관 67

〈표 Ⅲ-8〉 2016년 당시 대학구조개혁을 통한 정원감축 전망 78

〈표 Ⅲ-9〉 정책 단계별 언론기사의 수 84

〈표 Ⅲ-10〉 언론보도 자료 내 빈출어 상위 30개(TF 기준): 전체 기간 88

〈표 Ⅲ-11〉 언론보도 자료 내 키워드 상위 30개(정규화된 TF-IDF 기준): 전체 기간 89

〈표 Ⅲ-12〉 언론보도 자료 내 키워드 상위 30개(정규화된 TF-IDF 기준): 정책 단계별 90

〈표 Ⅲ-13〉 언론보도 자료에 대한 토픽 분석 결과: 전체 기간 94

〈표 Ⅲ-14〉 언론보도 자료에 대한 토픽 분석 결과: 정책 수립기 100

〈표 Ⅲ-15〉 언론보도 자료에 대한 토픽 분석 결과: 제도적 구축기 104

〈표 Ⅲ-16〉 언론보도 자료에 대한 토픽 분석 결과: 변화 모색기 110

〈표 Ⅲ-17〉 언론보도 자료에 대한 정책 단계별 분석 결과 비교 114

〈표 Ⅳ-1〉 지표별, 연도별 자료 및 분석 대상 여부 122

〈표 Ⅳ-2〉 분석 대상 대학 수 122

〈표 Ⅳ-3〉 등급변화에 따른 분석 대상 대학 현황 123

〈표 Ⅳ-4〉 각종 대학 진단(평가)에 활용된 정량 지표 124

〈표 Ⅳ-5〉 전임교원확보율의 연도별 평균 변화 126

〈표 Ⅳ-6〉 교육비 환원율의 연도별 평균 변화(전체) 127

〈표 Ⅳ-7〉 교육비 환원율의 연도별 평균 변화(사립대학) 129

〈표 Ⅳ-8〉 장학금 지급률의 연도별 평균 변화 131

〈표 Ⅳ-9〉 법정부담금 부담률(사립대학) 133

〈표 Ⅳ-10〉 등록금 의존율의 연도별 평균 변화 135

〈표 Ⅳ-11〉 시간강사 보수수준의 연도별 평균 변화 137

〈표 Ⅳ-12〉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의 연도별 평균 변화 139

〈표 Ⅳ-13〉 신입생 충원율의 연도별 평균 변화 141

〈표 Ⅳ-14〉 대학유형에 따른 재학생 충원율의 연도별 평균 변화 143

〈표 Ⅳ-15〉 대학유형에 따른 졸업생 취업률의 연도별 평균 변화 145

〈표 Ⅳ-16〉 중도탈락률의 연도별 평균 변화 147

〈표 Ⅳ-17〉 분석 결과 요약(일반대) 149

〈표 Ⅳ-18〉 분석 결과 요약(전문대) 150

〈표 Ⅳ-19〉 2015 대학구조개혁평가와 2018 대학기본역량진단 공통 정성지표 152

〈표 Ⅳ-20〉 분석대상 정성지표의 기본 방향 153

〈표 Ⅳ-21〉 분석대상 정성지표의 하위 체계 154

〈표 Ⅳ-22〉 일반대학 진단지표 기술 통계(2015-2018) 156

〈표 Ⅳ-23〉 일반대학 학생 학습역량 강화 지표의 진단요소 기술통계(2015-2018) 159

〈표 Ⅳ-24〉 일반대학 진로ㆍ심리 상담 지원 지표의 진단요소 기술통계(2015-2018) 160

〈표 Ⅳ-25〉 일반대학의 취ㆍ창업 지원 지표 요소 분석 결과 162

〈표 Ⅳ-26〉 일반대학 교육 수요자 만족도 관리 지표의 진단 요소 기술통계(2015-2018) 164

〈표 Ⅳ-27〉 일반대학 수업관리의 적정성 및 운영성과 지표 요소 분석 결과 165

〈표 Ⅳ-28〉 일반대학 학생평가의 적정성 및 운영성과 지표의 진단요소 기술통계(2015-2018) 167

〈표 Ⅳ-29〉 전문대학 진단지표 기술통계(2015-2018) 169

〈표 Ⅳ-30〉 전문대학 학생 학습역량 지원 지표의 진단요소 기술통계(2015-2018) 171

〈표 Ⅳ-31〉 전문대학 진로ㆍ심리 상담 지원 지표의 진단요소 기술통계(2015-2018) 173

〈표 Ⅳ-32〉 전문대학 취ㆍ창업 지원 지표의 진단요소 기술통계(2015-2018) 175

〈표 Ⅳ-33〉 전문대학 교육 수요자 만족도 관리 지표의 진단요소 기술통계(2015-2018) 176

〈표 Ⅳ-34〉 전문대학 수업관리의 적정성 및 운영성과 지표의 진단요소 기술통계(2015-2018) 178

〈표 Ⅳ-35〉 전문대학 학생평가의 적정성 및 운영성과 지표의 진단요소 기술통계(2015-2018) 180

〈표 Ⅳ-36〉 대학구조개혁평가결과 활용 등 이행 관리 182

〈표 Ⅴ-1〉 유형 및 권역별 대학혁신지원사업 선정 대학 현황(2019년) 193

〈표 Ⅴ-2〉 대학혁신지원사업 계획서에 나타난 학사제도 관련 사업 내용 194

〈표 Ⅴ-3〉 대학혁신지원사업 계획서에 나타난 교수학습 지원 체제 혁신 관련 사업 내용 195

〈표 Ⅴ-4〉 사례 분석을 위해 선정된 대학 현황 196

〈표 Ⅴ-5〉 C대학 교육혁신원 내 교수ㆍ학습 지원 조직 주요업무 및 전담인력 214

〈표 Ⅴ-6〉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 및 환류 절차 215

〈표 Ⅵ-1〉 조사 대상 및 응답률 현황 238

〈표 Ⅵ-2〉 응답자 특성별 현황 239

〈표 Ⅵ-3〉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상대적 개선 정도에 대한 인식 241

〈표 Ⅵ-4〉 대학 특성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상대적 개선 정도에 대한 인식 241

〈표 Ⅵ-5〉 행위 집단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상대적 개선 정도에 대한 인식 244

〈표 Ⅵ-6〉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추진 방향에 대한 인지정도 245

〈표 Ⅵ-7〉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기본계획에 고려된 정도 245

〈표 Ⅵ-8〉 대학 특성별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추진 방향에 대한 인지 정도 246

〈표 Ⅵ-9〉 대학 특성별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기본계획에 고려된 정도 247

〈표 Ⅵ-10〉 행위 집단별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추진 방향에 대한 인지 정도 248

〈표 Ⅵ-11〉 행위 집단별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기본계획에 고려된 정도 248

〈표 Ⅵ-12〉 '대학 기본역량 진단(대학 구조개혁 평가)' 정책의 영향력 249

〈표 Ⅵ-13〉 대학 특성별 '대학 기본역량 진단(대학 구조개혁 평가)' 정책의 영향력 250

〈표 Ⅵ-14〉 행위 집단별 '대학 기본역량 진단(대학 구조개혁 평가)' 정책의 영향력 252

〈표 Ⅵ-15〉 진단지표의 타당성과 유지 필요성(1순위) 253

〈표 Ⅵ-16〉 대학 특성별 진단지표의 타당성 254

〈표 Ⅵ-17〉 고등교육 발전의 주요 과제(1순위) 258

〈표 Ⅵ-18〉 고등교육 질 보장 정책의 추진 방식 259

〈표 Ⅵ-19〉 고등교육 재정지원 형태별 필요성 및 실현 가능성 262

〈표 Ⅵ-20〉 대학 특성 및 고등교육 재정지원 형태별 필요성 262

〈표 Ⅵ-21〉 대학 특성 및 고등교육 재정지원 형태별 실현 가능성 263

〈표 Ⅵ-22〉 대학 차원의 자체 개선 과제(1순위) 264

〈표 Ⅵ-23〉 정부 차원의 정책 수립ㆍ지원 우선순위(1순위) 267

〈표 Ⅵ-24〉 대학별 맞춤형 컨설팅 필요 영역 269

〈표 Ⅵ-25〉 대학 특성별 대학별 맞춤형 컨설팅 필요 영역 269

〈표 Ⅵ-26〉 전문가집단토의(FGD) 연구참여자 선정 현황 271

〈표 Ⅶ-1〉 미래지향적인 고등교육 질 보장의 발전방향 302

〈표 Ⅶ-2〉 중장기 대학진단체제 발전모형 예시(안) 304

〈표 Ⅶ-3〉 중장기 대학진단체제 구축을 위한 단계별 추진과제(안) 306

[그림 Ⅰ-1] 중장기 대학 진단체제 발전 방안 탐색을 위한 연구 수행 절차 32

[그림 Ⅱ-1] OECD 국가들의 국공립 학생 비육과 공교육 투자의 관계 35

[그림 Ⅱ-2] 고등교육 질 보장 수단의 패턴 변화 모형도 49

[그림 Ⅱ-3] 고등교육 평가 메타평가 준거안 53

[그림 Ⅱ-4] 고등교육 질 보장을 위한 고등교육 구조개혁 정책 분석의 준거(안) 54

[그림 Ⅲ-1] 마틴 트로우(Martin Trow)의 고등교육 모델 발전 단계론 개념 요약도 59

[그림 Ⅲ-2] 고교 졸업자의 비진학률 변화 추이(1966-2019) 60

[그림 Ⅲ-3] 2000년대 이후 고등교육 구조개혁 정책 형성과정의 시기 구분(안) 71

[그림 Ⅲ-4] 참여정부의 대학교육의 혁신을 위한 비전과 전략 75

[그림 Ⅲ-5] 이명박 정부의 대학구조개혁 정책방향 76

[그림 Ⅲ-6] 고등교육 단계에서 학령인구 및 입학자원의 감소추이(2000~2024) 77

[그림 Ⅲ-7]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에 따른 정부의 대학 지원 방향 79

[그림 Ⅲ-8]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결과 관련 대학 유형별 결과 활용 개요 80

[그림 Ⅲ-9] 2018년 대비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계획의 주요 변화 81

[그림 Ⅲ-10] 2015년 대학 구조개혁 평가와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주요 특징 비교 82

[그림 Ⅲ-11] 언론기사 보도 건수의 월별 추이(총 17,589건 기준) 85

[그림 Ⅲ-12] 언론보도 자료의 상위 30개 키워드에 대한 워드 클라우드((좌)TF, (우)TF-IDF) 89

[그림 Ⅲ-13] 언론보도 자료의 상위 30개 키워드에 대한 정책 단계별 워드 클라우드 92

[그림 Ⅲ-14] 언론보도 자료 적정 토픽 수 산출 결과(적합도 비교): 전체 기간 93

[그림 Ⅲ-15] 13개 토픽 간 관계에 대한 시각화 결과: 전체 기간 98

[그림 Ⅲ-16] 언론보도 자료 적정 토픽 수 산출 결과(적합도 비교): 정책 수립기 100

[그림 Ⅲ-17] 6개 토픽 간 관계에 대한 시각화 결과: 정책 수립기 102

[그림 Ⅲ-18] 언론보도 자료 적정 토픽 수 산출 결과(적합도 비교): 제도적 구축기 103

[그림 Ⅲ-19] 12개 토픽 간 관계에 대한 시각화 결과: 제도적 구축기 108

[그림 Ⅲ-20] 언론보도 자료 적정 토픽 수 산출 결과(적합도 비교): 변화 모색기 109

[그림 Ⅲ-21] 9개 토픽 간 관계에 대한 시각화 결과: 변화 모색기 112

[그림 Ⅳ-1] 전임교원 확보율의 분위별, 진단 등급별, 등급변화별 변화 127

[그림 Ⅳ-2] 교육비 환원율 연도별ㆍ분위별 평균 변화(전체 대학) 128

[그림 Ⅳ-3] 교육비 환원율의 분위별, 진단 등급별, 등급변화별 변화(사립대학) 130

[그림 Ⅳ-4] 장학금 지급률 분위별, 진단 등급별, 등급변화별 변화 132

[그림 Ⅳ-5] 법정부담금 부담률의 분위별, 진단 등급별, 등급변화별 변화 134

[그림 Ⅳ-6] 등록금 의존율의 분위별, 진단 등급별, 등급변화별 변화 136

[그림 Ⅳ-7] 시간강사 보수수준의 분위별, 진단 등급별, 등급변화별 변화 138

[그림 Ⅳ-8]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의 분위별, 진단 등급별, 등급변화별 변화 140

[그림 Ⅳ-9] 신입생 충원율의 분위별, 진단 등급별, 등급변화별 변화 142

[그림 Ⅳ-10] 재학생 충원율의 분위별, 진단 등급별, 등급변화별 변화 144

[그림 Ⅳ-11] 졸업생 취업률의 분위별, 진단 등급별, 등급변화별 변화 146

[그림 Ⅳ-12] 중도탈락률의 분위별, 진단 등급별, 등급변화별 변화 148

[그림 Ⅳ-13] 일반대학 진단지표 점수 분포 변화 157

[그림 Ⅳ-14] 학생 학습역량 지원 지표의 요소별 점수 분포 분석 결과(일반대) 159

[그림 Ⅳ-15] 진로ㆍ심리상담 지원 지표의 요소별 점수 분포 분석 결과(일반대) 161

[그림 Ⅳ-16] 취ㆍ창업 지원 지표의 요소별 점수 분포 분석 결과(일반대) 163

[그림 Ⅳ-17] 교육 수요자 만족도 관리 지표의 진단요소 점수 분포 변화(일반대) 164

[그림 Ⅳ-18] 수업관리의 적정성 및 운영성과 지표의 요소별 점수 분포 분석 결과(일반대) 166

[그림 Ⅳ-19] 학생평가의 적정성 및 운영성과 지표의 요소별 점수 분포 분석 결과(일반대) 168

[그림 Ⅳ-20] 전문대학 진단지표 점수 분포 변화 170

[그림 Ⅳ-21] 학생 학습역량 지원 지표의 진단요소 점수 분포 변화(전문대) 172

[그림 Ⅳ-22] 진로ㆍ심리 상담 지원 지표의 진단요소 점수 분포 변화(전문대) 174

[그림 Ⅳ-23] 취ㆍ창업 지원 지표의 진단요소 점수 분포 변화(전문대) 175

[그림 Ⅳ-24] 교육 수요자 만족도 관리 지표의 진단요소 점수 분포 변화(전문대) 177

[그림 Ⅳ-25] 수업 관리의 적정성 및 운영성과 지표의 진단요소 점수 분포 변화(전문대) 179

[그림 Ⅳ-26] 학생평가의 적정성 및 운영성과 지표의 진단요소 점수 분포 변화(전문대) 181

[그림 Ⅳ-27] 일반대학 이행점검과 진단지표 점수 변화 183

[그림 Ⅳ-28] 전문대학 이행점검과 진단지표 점수 변화 184

[그림 Ⅴ-1] C대학교 국책사업 기획 및 운영 체제 변화 210

[그림 Ⅴ-2] PDCA별 책임과 역할 223

[그림 Ⅴ-3] E대학교의 성과관리 추진 체계 229

[그림 Ⅴ-4] 교육혁신원 구성 및 역할 230

[그림 Ⅵ-1] 설립 유형 및 세부 항목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상대적 개선 정도에 대한 인식 242

[그림 Ⅵ-2] 진단 결과 및 세부 항목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상대적 개선 정도에 대한 인식 242

[그림 Ⅵ-3] 진단위원 여부 및 세부 항목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상대적 개선 정도에 대한 인식 244

[그림 Ⅵ-4] 대학 내 직위 및 세부 항목별 결과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상대적 개선 정도에 대한 인식 244

[그림 Ⅵ-5] 설립유형 및 세부 항목별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기본계획에 고려된 정도 247

[그림 Ⅵ-6] 진단 결과 및 세부 항목별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기본계획에 고려된 정도 247

[그림 Ⅵ-7] 직위 및 세부 항목별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추진 방향에 대한 인지 정도 249

[그림 Ⅵ-8] 직위 및 세부 항목별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기본계획에 고려된 정도 249

[그림 Ⅵ-9] 설립유형 및 세부 항목별 '대학 기본역량 진단(대학 구조개혁 평가)' 정책의 영향력 251

[그림 Ⅵ-10] 진단 결과 및 세부 항목별 '대학 기본역량 진단(대학 구조개혁 평가)' 정책의 영향력 251

[그림 Ⅵ-11] 진단위원 여부 및 세부 항목별 '대학 기본역량 진단(대학 구조개혁 평가)' 정책의 영향력 252

[그림 Ⅵ-12] 진단 결과 및 세부 항목별 '대학 기본역량 진단(대학 구조개혁 평가)' 정책의 영향력 252

[그림 Ⅵ-13] 설립유형 및 세부 항목별 진단지표의 타당성 254

[그림 Ⅵ-14] 진단 결과 및 세부 항목별 진단지표의 타당성 254

[그림 Ⅵ-15] 기관유형에 따른 진단지표 유지 필요성(1순위) 256

[그림 Ⅵ-16] 설립유형에 따른 진단지표 유지 필요성(1순위) 256

[그림 Ⅵ-17] 소재지에 따른 진단지표 유지 필요성(1순위) 256

[그림 Ⅵ-18] 진단 결과에 따른 진단지표 유지 필요성(1순위) 256

[그림 Ⅵ-19] 기관유형에 따른 고등교육 발전의 주요 과제(1순위) 258

[그림 Ⅵ-20] 설립유형에 따른 고등교육 발전의 주요 과제(1순위) 258

[그림 Ⅵ-21] 소재지에 따른 고등교육 발전의 주요 과제(1순위) 258

[그림 Ⅵ-22] 진단 결과에 따른 고등교육 발전의 주요 과제(1순위) 258

[그림 Ⅵ-23] 기관유형에 따른 고등교육 질 보장 정책의 추진 방식 260

[그림 Ⅵ-24] 설립유형에 따른 고등교육 질 보장 정책의 추진 방식 260

[그림 Ⅵ-25] 소재지에 따른 고등교육 질 보장 정책의 추진 방식 260

[그림 Ⅵ-26] 진단 결과에 따른 고등교육 질 보장 정책의 추진 방식 260

[그림 Ⅵ-27] 진단위원 여부에 따른 고등교육 질 보장 정책의 추진 방식 261

[그림 Ⅵ-28] 직위에 따른 고등교육 질 보장 정책의 추진 방식 261

[그림 Ⅵ-29] 소재지에 따른 고등교육 재정지원 형태별 필요성 262

[그림 Ⅵ-30] 기관유형에 따른 대학 차원의 자체 개선 과제(1순위) 265

[그림 Ⅵ-31] 설립유형에 따른 대학 차원의 자체 개선 과제(1순위) 265

[그림 Ⅵ-32] 소재지에 따른 대학 차원의 자체 개선 과제(1순위) 265

[그림 Ⅵ-33] 진단 결과에 따른 대학 차원의 자체 개선 과제(1순위) 265

[그림 Ⅵ-34] 기관유형에 따른 정부 차원의 정책 수립ㆍ지원 우선순위(1순위) 267

[그림 Ⅵ-35] 설립유형에 따른 정부 차원의 정책 수립ㆍ지원 우선순위(1순위) 267

[그림 Ⅵ-36] 소재지에 따른 정부 차원의 정책 수립ㆍ지원 우선순위(1순위) 268

[그림 Ⅵ-37] 진단 결과에 따른 정부 차원의 정책 수립ㆍ지원 우선순위(1순위) 26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59316 378.1 -21-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59317 378.1 -21-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