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장 한국의 철비(연대 순) 최초, 最古의 철비에 대한 소론 立碑 조성 주체 철비의 분류(벼슬) 거북받침이 있는 철비 碑에 讚詩(頌詩)의 有/無 鐵碑가 세워지는 연도별 개수 碑首의 모양의 변화 철비를 세웠다는 뜻인 竪, 堅, 立, 建, 樹에 대한 소론 채색이 된 철비 철비의 서체 철비에 새긴 匠人의 이름에 대한 소론 철비를 제작하는 곳 철비의 제작 기간 철비 중 改名이 된 것 철비 조성을 밝힌 문헌 기록/기타 철비를 세운 이유 철비의 수난
강수진 선생께 跋文
이용현황보기
한국의 철비(鐵碑) : 한반도에 남아 있는 철 선정비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35932
951.09 -21-1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35933
951.09 -21-1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한국의 철비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 금속으로 된 선정비를 중심으로 한국의 철비를 연구하다
선정비는 대부분 석비로 되어 있지만 금속으로 된 선정비는 드물었다. ‘철’은 인류 문명에서 큰 역할을 한 금속인데 이를 재료로 선정비로 제작하였다는 것은 그만큼 그 사람의 행적이나 공적이 컸고 길이 남길 만했다는 뜻일 것이다. 포함제철에서 철비에 관한 전시를 한 적도 있고, 논문도 있지만 전국의 철비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었다. 이러한 아쉬움을 해소하기 위해 저자는 전국의 철비를 조사하고 연구하여 책 한 권으로 묶었다.
철비는 다양한 모양이 특징이고, 인명, 벼슬명, 부임 시기, 선정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비에 새겨진 찬시는 대련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보면 어떠한 선정을 하였는지 알 수 있다. 세우는 주체와 시기, 세운 내력들을 통해 역사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희득 저자의 『한국의 철비』에는 전국의 철비가 사진과 함께 수록되어 있으므로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철비의 외관과 자세한 내력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