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한국의 철비
철비에 대한 연구

제1장
경남의 철비
거제 현령 최운서 청정애민비
거제 현령 송필중 청정휼민비 (1)
거제 현령 송필중 청정휼민비 (2)
암행어사 조기겸 영세불망비
都 순찰사 이면승 영세불망비
巡相國 홍종영 영세불망비
行 진해 현감 정익행 애민비
行 창원 대도호부사 채학영 영세불망비
김해 부사 통정대부 박동상 선정비
병마절도사 정기택 영세불망비
진주 영장 유흥우 영세불망비
진주 영장 심낙신 영세불망비
관찰사 조인영 영세불망비
都차사원 행 도호부사 조운표 영세불망비
기장 현감 최진일 청덕비
巡相國 홍재철 영세불망비
巡相國 조병현 거사비
기장 현감 함영석 거사비
기장 현감 이기수 거사비
淑夫人 월성이씨 시인 선덕비
거창 부사 박운수 청덕선정비
거창 부사 송계수 애민선정비
거창 부사 박규동 청덕선정비
거창 부사 김계진 비
巡相國 윤자승 영세불망비
무위 도제조 민겸호 영세불망비
숭선전 참봉 김성학 영세기념비

제2장
경북의 철비
경북 철비 목록
문경 현감 홍로영 영세불망비
巡相 정기선 거사비
관찰사 홍우순 청덕 애휼 영세불망비
성주 목사 윤자일 청덕선정비
의성 현령 이용준 영세불망비
울진 현령 심해 유애선정비
봉화 현감 조병익 영세불망비
故 판서 응와 이선생 흥학창선비
경주 영장 류춘호 영세불망비
내성행상 접장 정한조 불망비
내성행상 반수 권재만 불망비
경상도 철비에 대한 소론
경상도 철비 목록

제3장
인천, 경기도의 철비
行 첨절제사 양주성 만세불망비
평택 현감 유영환 청간 애민선정비
양평 현감 김학례 영세불망비
양평 현감 이도식 애민선정비
인천, 경기도 철비에 대한 소론

제4장
강원도의 철비
영월 부사 윤사은 애민비
삼척 부사 이규헌 휼민 청덕 영세불망비
금옥첨원 영세불망비
양양 부사 이광식 영세불망비
가선대부 오위장 정원기 불망비
홍천 현감 원만춘 청백 선정불망비
강원도 철비에 대한 소론

제5장
충청도의 철비
서산 군수 이휘영 만세불망비
청양 정산 읍내 면장 박진표 송덕불망비
어사 정기세 영년불망비
前 비서경 선영홍 시혜비
行 보은 군수 홍우용 모성흥학비
어사 김명진 애민선정비
면장 송영수 청정불망비
진천 현감 이원명 선정거사비
충청도 철비에 대한 소론

제6장
전북의 철비
前 도정 은진하 도세 연보불망비
현감 류봉서 영세불망비
관찰사 서상정 영세불망비
현감 신영균 애민불망비
어사 이돈상 애민불망비
현령 홍재정 애민선정비
현감 이희하 애민선정비
관찰사 이헌구 청간선정비
前 참판 김영곤 선덕불망비
전북 철비에 대한 소론

제7장
전남의 철비
흥양 현감 도거원 비
감목관 정청 애민선정비
兵使 장한상 영세불망비
진도 칠전리 학계 철비
行 절제사 명선욱 영세(불망비)
감목관 조중대 영세불망비
어사 정만석 영세불망비
목사 조사충 영세불망비
절제사 홍대항 청덕선정비
水使 류광로 청덕선정비
行 군수 조동훈 영세불망비
절도사 조문현 청덕선정비
관찰사 김병교 영세불망비
行 군수 김원석 영세불망비
목사 윤치용 청덕휼민영세불망비
현감 정원필 구재휼민불망비
부사 김재헌 영세불망비
관찰사 겸 순찰사 이호준 청덕선정비
行 진주영장 최득수 휼민영세불망비
군수 홍대중 영세유애비
行 군수 신병우 청백휼민선정비
종칠위 선영배 공덕불망비
前 인동부사 김정태 휼궁불망비
세청 면장 양회복 포선불망비
효자 行 감찰 장진호 비
통정대부 前 참봉 위계성 시혜불망비
前 감찰 임필상 송덕불망비
통정대부 황봉 처 정부인 김해김씨 기념비
前 주사 김지홍 창선기념비
면장 안형중 시혜기념비
前 진사 송완면 시덕불망비
전남 철비에 대한 소론

제8장
한국의 철비(연대 순)
최초, 最古의 철비에 대한 소론
立碑 조성 주체
철비의 분류(벼슬)
거북받침이 있는 철비
碑에 讚詩(頌詩)의 有/無
鐵碑가 세워지는 연도별 개수
碑首의 모양의 변화
철비를 세웠다는 뜻인 竪, 堅, 立, 建, 樹에 대한 소론
채색이 된 철비
철비의 서체
철비에 새긴 匠人의 이름에 대한 소론
철비를 제작하는 곳
철비의 제작 기간
철비 중 改名이 된 것
철비 조성을 밝힌 문헌 기록/기타
철비를 세운 이유
철비의 수난

강수진 선생께
跋文

이용현황보기

한국의 철비(鐵碑) : 한반도에 남아 있는 철 선정비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35932 951.09 -21-1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35933 951.09 -21-1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한국의 철비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
금속으로 된 선정비를 중심으로 한국의 철비를 연구하다


선정비는 대부분 석비로 되어 있지만 금속으로 된 선정비는 드물었다. ‘철’은 인류 문명에서 큰 역할을 한 금속인데 이를 재료로 선정비로 제작하였다는 것은 그만큼 그 사람의 행적이나 공적이 컸고 길이 남길 만했다는 뜻일 것이다. 포함제철에서 철비에 관한 전시를 한 적도 있고, 논문도 있지만 전국의 철비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었다. 이러한 아쉬움을 해소하기 위해 저자는 전국의 철비를 조사하고 연구하여 책 한 권으로 묶었다.

철비는 다양한 모양이 특징이고, 인명, 벼슬명, 부임 시기, 선정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비에 새겨진 찬시는 대련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보면 어떠한 선정을 하였는지 알 수 있다. 세우는 주체와 시기, 세운 내력들을 통해 역사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희득 저자의 『한국의 철비』에는 전국의 철비가 사진과 함께 수록되어 있으므로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철비의 외관과 자세한 내력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