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 1 장 서 론 1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3
1.3 연구의 구성체계 14
제 2 장 하이브리드적 공간의 개념과 출현 배경 15
2.1 하이브리드적 공간의 개념 16
2.1.1 하이브리드의 일반적 개념 16
2.1.2 하이브리드(Hybrid)적 공간의 개념과 특징 30
2.2 하이브리드적 공간의 출현 배경 35
2.2.1 공간에 대한 사고(思考) 유형의 변화 36
2.2.2 공간 디자인 접근 방법의 변화 - 기술의 변화 40
제 3 장 하이브리드적 공간의 사례분석 46
3.1 하이브리적 공간에 연관된 패러다임에 관한 고찰 47
3.1.1 디지털 공간 (Digital Space) 47
3.1.2 뉴 미디어 공간 (New Media Space) 50
3.1.3 사이버스페이스(Cyber Space) 52
3.1.4 퓨전 공간 56
3.2 하이브리드적 공간의 유형별 분류 및 사례분석 59
3.2.1 트랜스 포멀 (Trans-Formal)적 공간 61
3.2.2 코 시테이션 (Co-citation)적 공간 66
3.2.3 초 표면(Hypersurface)적 공간 71
3.2.4 애니메이트 (Animate)적 공간 76
3.2.5 리퀴드(Liquid)적 공간 81
제 4 장 하이브리드적 공간의 적용 예시 86
4.1 하이브리드적 공간 분류를 통한 소결 87
4.2 리퀴드적 공간적 요소의 디자인의 과정 적용 예시 88
4.2.1 리퀴드적 공간의 조형언어 추출 89
4.2.2 형태도출을 위한 혼성적 요소 적용 91
4.2.3 적용 결과 95
제 5 장 결론 및 제언 96
참고문헌 99
Abstract 102
[그림2-1] 형태공명의 장의 개념도 18
[그림2-2] 하이브리드카 18
[그림2-3] 하이브리드카 시스템구조 18
[그림2-4] Cross-Over의 대표적 그룹 Evanescence 19
[그림2-5] [인터스텔라5555]의 한 장면 20
[그림2-6] 라우션버그의 bed, 1955 21
[그림2-7] 앤디워홀의 마릴린 먼로, 1962 22
[그림2-8] 다니엘 리의 1994 Year of the OX 23
[그림2-9] 다니엘 리의 1967 Year of the Sheep 23
[그림2-10] 매니멀의 혼성기법이 하이브리드적 공간으로 풀 수 있는 세가지 측면 25
[그림2-11]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빌라 로튼다(일명 가프라), 1550~54년경 27
[그림2-12] 피터 스피츠의 여죄수 감옥소, 1810 27
[그림2-13] 샤를 가르니에의 파리오페라 하우스, 1875 27
[그림2-14] Starrete&Van Vleck의 Downtown Athletic Club ,1937 28
[그림2-15] 한스 홀라인의 Austraian Travel Burea, 1978 28
[그림2-16] 찰스 무어의 Sea Raunch-Condominium, 1965 29
[그림2-17] 로버트 벤추리의 어머니의 집, 1961 29
[그림2-18] SHoP/model의 Museum of Sex 32
[그림2-19] Stephen Perella의 Hypersurface Panel Studies,1997~98 32
[그림2-20] NOX의 V2_Facade, 1998 33
[그림2-21] Ben Van Berkel의 요코하마 국제항 터미널 내부 이미지, 1994 33
[그림2-22] Winka Dubbeldam의 Millbrook Residence, 1999 34
[그림2-23] Kolatan/Mac Donald의 O/K Apartment, 1996 34
[그림2-24] Nox의 Beachness,1997 35
[그림2-25] 마이클 그레이브스의 포틀랜드시청사,1980 37
[그림2-26] 피터아이젠만의 라빌레뜨 공원, 꼴라쥬 이미지, 1982 37
[그림2-27] 프랭크게리의 빌바오 구겐하임 박물관, 1997 38
[그림2-28] 츄미의 라빌레뜨 공원 계획안,1982 39
[그림2-29] 쿱 힘멜 브라우의 비엔나 옥상개조, 1984 40
[그림2-30] O.M.A의 네덜란드 헤이그 국립 무용극장 내부,1980~1987 40
[그림2-31] 키쇼 쿠로가와의 Nakagin Capsule Tower, 1970~72 42
[그림2-32] 노만포스터와 렌조 피아노의 Relieance Controls Electronics Factory, 1967 42
[그림2-33] 아키그램의 Walking City New York,1964 44
[그림2-34] 리처드로저스, 렌조피아노의 퐁피두센터, 197 44
[그림3-1] 모포시스의 New City Park, 1998 49
[그림3-2] 애심토트의 NYSE WEB Environment,2000 49
[그림3-3] 베르나르 츄미의 Glass Video Gallery,1990 51
[그림3-4] 토요 이토의 바람의 탑, 1986 51
[그림3-5]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 표지, 1984 53
[그림3-6] 마르크스 노박의 parasurfSK, 2000 54
[그림3-7] 렌조피아노의 Kanak Cultural Center,1997 57
[그림4-1] 리퀴드적 공간의 도출을 위한 혼성적 요소 적용예시 91
[표2-1] 꼴라쥬와 매니멀의 혼성기법과 결과에 대한 비교 23
[표2-2] 국제적 양식(모더니즘)과 현대건축의 혼성적 표현 양상의 비교 26
[표2-3] 구축공간적 측면에서의 하이브리적 표현 경향의 시대적 특성 30
[표2-4] 각각의 사회적 측면의 하이브리드 양상의 비교 30
[표2-5] 일반 구축 공간과 하이브리드적 공간의 특징 비교 35
[표2-6] 공간에 대한 사고 유형에 따른 하이브리드적 양상 38
[표3-1] 퓨전의 특성 58
[표3-2] 하이브리드적 공간에 관련 패러다임의 비교 58
[표3-3] 하이브리드적 공간의 유형별 분류 및 분류별 특성 60
[표3-4] 트랜스 포멀(Trans-Foramal)적 공간의 대표적 작품 62
[표3-5] Gavernor's Island 분석내용 63
[표3-6] Wall Street Parallel Network Center의 분석내용 64
[표3-7] Millbrook Residence의 분석내용 65
[표3-8] 코 시테이션(Co-Citation)적 공간의 대표적 작품 67
[표3-9] Yokohama Ocean Liner Terminal의 분석 내용 68
[표3-10] O/K Apartment 의 분석내용 69
[표3-11] Raybould House의 분석내용 70
[표3-12] 초표면(Hypersurface)적 공간의 대표적 작품 72
[표3-13] The Institute for Electronic Clothing의 분석내용 73
[표3-14] Hypersurface Pannel Studio의 분석내용 74
[표3-15] Mobius House의 분석내용 75
[표3-16] 애니메이트(Animate)적 공간의 대표적 작품 77
[표3-17] Port Authority Gateway의 분석내용 78
[표3-18] Korean Presbyterian Church의 분석내용 79
[표3-19] Embryo House의 분석내용 80
[표3-20] 리퀴드(Liquid)적 공간의 대표적 작품 82
[표3-21] freshH2OeXPO의 분석내용 83
[표3-22] transPORTs2001의 분석내용 84
[표3-23] Paracube의 분석내용 85
[표4-1] 하이브리적 공간의 유형별 혼성적 요소와 특성 88
[표4-2] 리퀴드적 공간의 조형언어와 특징 90
[표4-3] 형태 도출을 위한 디자인 과정에서의 혼성적 요소의 예시 92
[표4-4] 리퀴드적 공간의 디자인과정에서의 적용예시 93
[표4-5] 형태도출을 위한 과정과 그 결과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