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itle Page
Contents
Abstract 11
Chapter 1. Introduction 13
1.1. Background 13
1.2. Research Purpose 17
Chapter 2. Theoretical Background 18
2.1. The definition of NEET and different subgroups of NEET 18
2.1.1. Defining NEET 18
2.1.2. Different subgroups of NEET and the age of young adults 22
2.2. Research trend of NEET youth in Korea 26
2.3. Depression in NEET young adults 28
2.4. Social Network 30
2.4.1. Social network and depression 34
2.5. Social support 36
2.5.1.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38
2.5.2.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39
Chapter 3. Research Methods 41
3.1. Research Design and Hypotheses 41
3.1.1. Research Design 41
3.1.2. Hypotheses 42
3.2. Samples and Procedures 43
3.2.1. Samples 43
3.2.2. Procedures 44
3.3. Measures 45
3.3.1. Independent Variable: Social Network 45
3.3.2. Dependent Variable: Depression 46
3.3.3. Mediating Variable: Social Support 49
3.3.4. Control Variables 51
3.3.5. Data Analysis Plan 53
Chapter 4. Results 55
4.1. Characteristics of the NEET young adults 55
4.2. Analyses of the main variables 57
4.2.1. Social Network 57
4.2.2. Social Support 58
4.2.3. Depression 59
4.2.4. Differences in main variables between NEETs and non-NEETs 60
4.3. Correlation Analysis 62
4.4. Examination of the research model 64
4.4.1. The effect of NEET young adults' social network on depression 64
4.4.2. The effect of NEET young adults' social network on social support 66
4.4.3. The mediating effect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68
4.4.4. Bootstrap Estimates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70
Chapter 5. Conclusion and Discussion 72
5.1. Conclusion 72
5.2. Discussion 77
5.2.1. Practical Implications 77
5.2.2. Policy level Implications 80
5.2.3.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82
Reference 85
국문요약 111
Figure 1. NEET rates across OCED countries (youth in 15 -29 years old). 14
Figure 2. The mediating model of social support. 39
Figure 3. Research Model 41
니트(NEET)는 고용, 교육, 훈련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지칭하며 미취업자 청년 중 구직자와 비경제 활동 청년을 모두 의미한다. 그러나 코로나 불경기 속에서 니트 청년들이 경험하는 제한된 사회적 네트워크와 높은 수준의 우울을 고려하면, 더 세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에서 청년 니트를 탐구하고 이들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우울 사이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청년층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와 Bootstrapping 을 실시하여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니트 청년들의 사회적 네트워크 평균 점수는 6.92(SD = 1.90)인 반면, 사회적 지지 평균 점수는 100 점 만점에 79.26(SD = 13.32)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 평균 경우 100 점 만점에 34.31 점(SD = 10.64)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변수를 니트 청년과 비니트 청년을 비교한 결과, 니트 청년의(M = 34.31, SD = 10.64) 우울이 비니트 청년(M = 32.55, SD = 10.01)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는 니트 청년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경로에서 완전 매개 효과로 나타났다 (β = -.332, p <.001).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중요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실천적 함의로, 사각지대에 놓인 니트 청년을 발굴할 필요가 있으며 니트 청년을 위한 맞춤형 사례관리 사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정책적 함의로는, 정부, 공공, 민간 비영리 섹터 간의 상호협력을 통한 지역사회 기반 사회적 지지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제언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