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0

1. 서론 12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1.2. 연구 내용 및 방법 14

2. 증강현실과 안전 공공디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17

2.1. 증강현실의 이해 17

2.1.1. 증강현실의 개념 및 특성 17

2.1.2.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육사례 22

2.2. 공공디자인의 이해 33

2.2.1. 공공디자인의 정의 및 특징 33

2.2.2. 안전 공공디자인의 종류 및 특징 38

3.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52

3.1. 증강현실에 관한 교과서 내용 분석 52

3.2. 안전 공공디자인에 관한 교과서 분석 65

4.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안전 공공디자인 수업설계 79

4.1. 단원설정 이유 및 교육목표 79

4.2. 전체차시 계획 및 차시별 학습지도안 81

4.3.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100

4.4. 지도상 유의점 102

5. 결론 103

참고문헌 106

ABSTRACT 110

표목차

〈표 1〉 안전사고 분야별 분류체계 39

〈표 2〉 증강현실에 관한 교과서 내용 53

〈표 3〉 안전 공공디자인에 관한 교과서 내용 65

〈표 4〉 학습단원과 교육목표 80

〈표 5〉 차시별 지도계획 81

〈표 6〉 1차시 학습모형 83

〈표 7〉 1차시 수업 참고자료 86

〈표 8〉 2차시 학습모형 87

〈표 9〉 2차시 수업 참고자료 89

〈표 10〉 활동지 1 90

〈표 11〉 활동지 2 91

〈표 12〉 활동지 3 92

〈표 13〉 3차시 학습모형 93

〈표 14〉 3차시 수업 참고자료 95

〈표 15〉 4차시 학습모형 96

〈표 16〉 4차시 수업 참고자료 98

〈표 17〉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99

〈표 18〉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100

〈표 19〉 평가 기준 100

그림목차

〈그림 1〉 아트피디아 애플리케이션 23

〈그림 2〉 창덕 ARirang 애플리케이션 24

〈그림 3〉 Medisim 애플리케이션 25

〈그림 4〉 Landscape AR 애플리케이션 26

〈그림 5〉 Live Texturing 애플리케이션 27

〈그림 6〉 Magic Book 애플리케이션 28

〈그림 7〉 Doll Play Books 애플리케이션 29

〈그림 8〉 StarWalk 애플리케이션 30

〈그림 9〉 'Night Sky' 애플리케이션 31

〈그림 10〉 서울 서초구 신중초등학교 후문 42

〈그림 11〉 비상벨함 43

〈그림 12〉 모둠지기 44

〈그림 13〉 옐로카펫 45

〈그림 14〉 자동차 전용도로 터널 구간 안전디자인 46

〈그림 15〉 안전·안심 디자인, 랜드마크 소화기 존 47

〈그림 16〉 청계천 수문 48

〈그림 17〉 스윙 게이트 49

〈그림 18〉 폴사인 49

〈그림 19〉 안전디자인 사인 50

〈그림 20〉 교학도서 교과서, p.56 54

〈그림 21〉 미래엔 교과서, p.76 55

〈그림 22〉 비상교육 교과서, p.31 56

〈그림 23〉 비상교육 교과서, p.63 57

〈그림 24〉 와이비엠 교과서, p.63 58

〈그림 25〉 지학사 교과서, p.13 59

〈그림 26〉 지학사 교과서, p.81 60

〈그림 27〉 천재교육 교과서, p.89 61

〈그림 28〉 해냄에듀 교과서, p.17 62

〈그림 29〉 (주)금성출판사 교과서, p.24 67

〈그림 30〉 미래엔 교과서, p.14 68

〈그림 31〉 비상교육 교과서, p.28 69

〈그림 32〉 비상교육 교과서, p.29 70

〈그림 33〉 씨마즈 교과서, p.22 71

〈그림 34〉 지학사 교과서, p.30 72

〈그림 35〉 천재교육 교과서, p.12 73

〈그림 36〉 천재교육 교과서, p.18 74

〈그림 37〉 천재교육 교과서, p.19 74

〈그림 38〉 해냄에듀 교과서. p.75 75

〈그림 39〉 해냄에듀 교과서, p.77 76

초록보기

본 논문은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안전 공공디자인을 위한 고등학교 미술 교육 교수 학습지도안에 관한 연구이다.

증강현실은 실제 환경 위에 가상 3D 객체의 정보가 보이는 것으로, 가상 이미지를 실제에 결합하는 기술이다.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의 영상에 컴퓨터로 만든 그래픽, 소리, 관련 정보, 사용자의 움직임 등 3차원의 입체적 객체를 통해 실시간으로 현실감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증강현실은 가상의 학습정보와 실제 세계를 자연스럽게 이해하도록 적용할 수 있어 새로운 학습 매체로 주목받고 있다. 학습자의 흥미 유발이나 자발적인 학습을 유도하기 위한 증강현실 수업은 증강현실 관련 자료를 보며 개념을 이해하는 기존 학습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수업 개발이 필요하다.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안전 공공디자인 지도안의 차시별 계획은 4차시로 구성되었다. 1차시 지도안은 PPT를 이용하여 학습자들에게 증강현실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이해시킨다. 그 다음 안전사고 예방 공공디자인에 대한 활용의 예를 제시한다. 2차시 지도안은 '어셈블러(Assemblr)' 애플리케이션을 체험하게 하고 조작 방법을 숙지시킨다. 활동지를 통해 안전 공공디자인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스케치를 하도록 지도한 다. 3차시 지도안은 스케치를 바탕으로 안전 공공디자인을 제작하도록 한다.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하여 완성된 작품을 준비하도록 한다. 4차시 지도안은 완성된 서로의 작품을 감상, 발표, 토론, 평가하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한 안전 공공디자인 지도안 연구는 다음과 같은 미술 교육적 의의가 있다. 첫째, 미술 교육에서 증강현실은 안전하며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여 직접 제작하기 어려운 작품을 증강현실로 제작함으로써 시간 단축이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둘째, 증강현실은 학습자들에게 흥미를 유발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상승시켜 새롭고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증강현실을 통하여 개념을 정확히 추상화하지 못하는 학습자들에게 사물의 형태나 미술 개념들을 제시하여 미술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넷째, 증강 현실을 활용하는 것은 기존의 그리는 활동의 고정관념을 깰 수 있어서 미술 시간에 대해 자신감을 높이고, 그림 그리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교육방식을 적용하여 미술 교과뿐만 아니라 안전교육에 대한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학습자들이 스스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며 안전에 주의를 기울이게 하고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창의·융합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학습자는 사회문제와 관련된 안전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게 될 것이며,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도 키울 수 있다.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미술 교육은 체험영역뿐 아니라 표현, 감상 영역 모두에 적용하여 활성화될 가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 교육에서 증강현실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과 더많은 발전을 가져올 것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