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이론적 배경 19
1) 자기개념 명확성(Self-Concept Clarity) 19
2)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Intolerance of Uncertainty) 21
3) 자기반추의 하위요인인 자책 및 숙고 23
4) 취업 불안(Job-seeking Anxiety) 26
5) 각 변인들 간의 관계 28
3. 연구 문제 및 가설 42
1) 연구 문제 및 가설 42
4. 연구모형 43
II. 연구방법 44
1. 연구대상 44
2. 측정도구 45
1)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 (SCCS; Self-Concept Clarity Scale) 45
2) 취업 불안 척도 (Job-seeking anxiety) 46
3) 한국판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 척도 (K-IUS-14; Korean-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47
4) 한국판 반추적 반응양식 척도 (K-RRS; Korean-Ruminative Response Scale) 48
3. 연구절차 49
4. 자료분석 50
III. 연구결과 51
1.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 51
2. 신뢰도 분석 52
3. 모형 검증을 위한 상관 분석 53
4. 연구가설 검증 54
1) 자기개념 명확성이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에 미치는 영향 54
2) 자기개념 명확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이 자책에 미치는 영향 55
3) 자기개념 명확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이 숙고에 미치는 영향 55
4) 자기개념 명확성 및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 자책, 숙고가 취업 불안에 미치는 영향 56
5) 자기개념 명확성이 취업 불안에 미치는 영향 57
5. 매개효과의 유의성 60
6. 주요 연구가설검증 결과 61
IV. 논의 및 제언 63
참고문헌 73
부록 99
ABSTRACT 106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45
〈표 2〉 자기개념명확성 척도의 문항구성과 신뢰도 계수 46
〈표 3〉 취업 불안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 계수 47
〈표 4〉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 계수 48
〈표 5〉 자기반추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 계수 49
〈표 6〉 기술통계분석 51
〈표 7〉 신뢰도 분석 52
〈표 8〉 주요 변인들의 상관계수 결과 53
〈표 9〉 자기개념 명확성이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에 미치는 영향 54
〈표 10〉 자기개념 명확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이 자책에 미치는 영향 55
〈표 11〉 자기개념 명확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이 숙고에 미치는 영향 56
〈표 12〉 자기개념 명확성 및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 자책, 숙고가 취업 불안에 미치는 영향 57
〈표 13〉 자기개념 명확성이 취업 불안에 미치는 영향 57
〈표 14〉 주요 변인 간의 관계 59
〈표 15〉 부트스트랩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 61
〈그림 1〉 연구모형1 43
〈그림 2〉 연구모형2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