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이론적 배경 17
1) 사회부과 완벽주의 17
2) 자기위로 20
3) 사회불안 23
4) 정서조절곤란 30
3. 연구문제 36
4. 연구모형 37
II. 연구방법 38
1. 연구대상 38
2. 측정도구 38
1) 사회부과완벽주의 척도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MPS) 38
2) 사회공포증 척도 (Social Phobia Scale: SPS) 39
3) 정서조절곤란 척도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DERS) 40
4) 자기위로 척도 (Self Report Measure of Soothing Receptivity: SRMSR) 41
3. 자료 분석방법 43
III. 연구결과 44
1. 빈도분석 44
2. 기술통계 46
3. 상관관계 분석 47
4. 매개효과 분석 48
1)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48
2)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50
5. 이중매개효과 52
6. 연구가설의 검증결과 56
IV. 논의 57
1. 결론 57
2. 연구의 의의 60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2
참고문헌 63
부록 11
부록 1. 연구 설문지 78
부록 2. 사회부과완벽주의 척도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 HMPS) 79
부록 3. 자기위로척도 (Self Report Measure of Sootuhing Receptivity : SRMRS) 80
부록 4. 사회 공포증 (Social Phobia Scale : SPS) 83
부록 5. 정서조절곤란 척도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 DERS) 85
부록 6. 인구통계학적 질문지 87
ABSTRACT 88
〈그림 1〉 연구모형 37
〈그림 2〉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49
〈그림 3〉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51
〈그림 4〉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간의 관계의 사회불안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55
본 연구는 성인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위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성인기혼자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기혼자 348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 척도(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MPS), 자기위로척도(Self Report Measure of Soothing Receptivity: SRMSR), 사회불안척도(Social Phobia Scale: SPS), 정서조절곤란척도(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DERS)를 이용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5와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변인들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위로, 사회불안, 정서조절곤란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위로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위로, 사회불안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불안은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에 대하여 매개효과를 기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조절곤란은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정서조절 곤란은 이중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성인기혼자의 사회부과적 부담감과 역할에 대한 어려움을 이해하고 사회불안과 정서조절곤란이 자기위로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기혼자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및 정서조절곤란에 대한 이해와 자기 위로를 통한 심리적 소진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기진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