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이론적 배경 17
1) 사회부과 완벽주의 17
2) 자기위로 20
3) 사회불안 23
4) 정서조절곤란 30
3. 연구문제 36
4. 연구모형 37
II. 연구방법 38
1. 연구대상 38
2. 측정도구 38
1) 사회부과완벽주의 척도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MPS) 38
2) 사회공포증 척도 (Social Phobia Scale: SPS) 39
3) 정서조절곤란 척도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DERS) 40
4) 자기위로 척도 (Self Report Measure of Soothing Receptivity: SRMSR) 41
3. 자료 분석방법 43
III. 연구결과 44
1. 빈도분석 44
2. 기술통계 46
3. 상관관계 분석 47
4. 매개효과 분석 48
1)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48
2)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50
5. 이중매개효과 52
6. 연구가설의 검증결과 56
IV. 논의 57
1. 결론 57
2. 연구의 의의 60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2
참고문헌 63
부록 11
부록 1. 연구 설문지 78
부록 2. 사회부과완벽주의 척도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 HMPS) 79
부록 3. 자기위로척도 (Self Report Measure of Sootuhing Receptivity : SRMRS) 80
부록 4. 사회 공포증 (Social Phobia Scale : SPS) 83
부록 5. 정서조절곤란 척도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 DERS) 85
부록 6. 인구통계학적 질문지 87
ABSTRACT 88
〈표 1〉 사회부과 완벽주의척도 문항 구성 및 신뢰도 39
〈표 2〉 사회불안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40
〈표 3〉 정서조절곤란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41
〈표 4〉 자기위로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42
〈표 5〉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5
〈표 6〉 주요 연구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 및 첨도 46
〈표 7〉 연구 변인의 상관분석 47
〈표 8〉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49
〈표 9〉 사회불안의 간접효과 49
〈표 10〉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51
〈표 11〉 정서조절곤란의 간접효과 51
〈표 12〉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의 이중매개효과 1 52
〈표 13〉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의 이중매개효과 2 53
〈표 14〉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의 이중매개효과 3 53
〈표 15〉 직접효과 및 총효과 부트스트래핑 분석결과 54
〈표 16〉 간접효과 부트스트래핑 분석결과 55
〈그림 1〉 연구모형 37
〈그림 2〉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49
〈그림 3〉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51
〈그림 4〉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간의 관계의 사회불안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