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5
제1절 문제제기 15
제2절 연구목적 및 의의 18
제2장 이론적배경 20
제1절 감정의 개념과 측정 20
1. 감정의 개념 20
2. 감정의 측정: 항목과 구조 24
제2절 소비감정의 개념 33
1. 소비감정의 정의 33
2. 소비감정의 개념적 틀 38
제3절 소비감정의 측정 48
1. 소비감정 척도의 항목 48
2. 소비감정 척도의 구조 58
3. 소비감정 측정에 대한 최근 논의 64
제4절 상황별 소비감정에 관한 연구 67
1. 만족과 소비감정에 관한 연구 67
2. 소비자특성과 소비감정에 관한 연구 69
3. 구매대상과 소비감정에 관한 연구 71
제3장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75
제1절 연구문제 75
제2절 연구방법 77
1. 전반적 연구절차 77
2. 텍스트 마이닝 82
3. 소비자 설문조사 90
제4장 소비감정의 항목과 구조 99
제1절 척도의 항목 구성 99
1. 초기항목 구성을 위한 감정단어 수집 99
2. 소비감정 척도의 초기항목 pool 104
제2절 척도의 최종항목 도출 110
1. 예비조사를 통한 1차 항목 선별 110
2. 본조사를 통한 2차 항목 선별 114
3. 최종항목 도출 119
제3절 척도의 구조 및 평가 121
1. 항목의 군집화 121
2. 항목의 공간분포 127
3. 소비감정 척도의 구조 도출 130
4. 소비감정 척도의 평가 137
제4절 소결 142
1. 소비감정 척도(KCEL)의 항목과 구조 142
2. 기존 소비감정 척도와 KCEL 146
제5장 소비감정의 측정과 상황별 차이 152
제1절 소비감정의 전반적 수준 152
1. 소비감정의 전반적 경향 152
2. 만족-불만족상황에 따른 소비감정 154
제2절 소비감정의 상황별 차이 159
1. 소비자특성별 소비감정 차이 159
2. 제품-서비스별 소비감정 차이 166
제6장 결론 및 제언 175
제1절 요약 및 결론 175
1. 연구의 요약 175
2. 결론 178
제2절 제언 181
1. 이론적·실무적 제언 181
2.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182
참고문헌 185
부록 201
[부록1] 주요 소비감정 척도의 항목 201
[부록2] 본조사 설문지 203
[부록3] 워드임베딩 분석 결과 210
Abstract 212
[표 2-1] 감정의 특성을 통한 유사개념과의 비교 23
[표 2-2] 심리학 분야의 주요 감정 척도 25
[표 2-3] 소비자 연구 논의의 확장 34
[표 2-4] 주요 선행연구에서의 소비감정에 대한 정의 37
[표 2-5] 소비감정의 결과요인(구매후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46
[표 2-6] 선행연구의 논의를 바탕으로 정리한 소비감정의 개념적 틀 47
[표 2-7] 선행연구 척도개발시 감정단어 선별 기준 55
[표 2-8]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주요 소비감정 척도의 항목 56
[표 2-9] 개별적 접근으로 감정을 구조화한 소비감정 척도 63
[표 3-1] 본 연구의 단계별 연구내용 및 방법 81
[표 3-2]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실시한 최종 자료 89
[표 3-3] 예비조사 -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91
[표 3-4] 결과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문항 93
[표 3-5] 본조사 -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98
[표 4-1] 본 연구의 소비감정 단어 선별과정 요약 100
[표 4-2] 구매후기 데이터의 형태소 키워드 빈도분석 (1~50위) 102
[표 4-3] 선별된 소비감정 단어 목록(빈출순, 92개) 104
[표 4-4] 소비감정 척도의 초기항목 pool 92개 (가나다 순) 105
[표 4-5] 새롭게 등장한 소비감정 항목의 워드임베딩 분석 결과 108
[표 4-6] 소비감정 경험에 의한 항목 선별 결과 (92개 → 65개) 113
[표 4-7] 익숙성 평가에 의한 항목 선별 결과 (65개 → 52개) 116
[표 4-8] 경험 강도에 의한 항목 선별 결과 (52개 → 42개) 118
[표 4-9] 소비감정 척도의 항목 (42개, 가나다순) 119
[표 4-10] 감정항목의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 126
[표 4-11] MDS 분석 결과: 감정항목의 차원 및 좌표 128
[표 4-12] 감정항목의 최종 군집 132
[표 4-13] 소비감정 척도의 구조 136
[표 4-14] 신뢰도분석 결과 137
[표 4-15] 예측타당도 검증 결과: 소비감정과 결과변수와의 상관관계 141
[표 4-16] KCEL(Korean Consumption Emotion List)의 항목과 구조 143
[표 4-17] 기존 소비감정 척도들과 KCEL 간 비교 151
[표 5-1] 소비감정의 전반적 수준 153
[표 5-2] 만족-불만족상황에 따른 소비감정 차이 분석 154
[표 5-3] 만족 상황에서 소비감정 수준 (내림차순, 긍정감정 중심으로) 156
[표 5-4] 불만족 상황에서 소비감정 수준 (내림차순, 부정감정 중심으로) 157
[표 5-5] 성별에 따른 소비감정 수준 (내림차순) 160
[표 5-6] 성별에 따른 소비감정 차이 분석 161
[표 5-7] 연령대에 따른 소비감정 수준 (내림차순) 163
[표 5-8] 연령대에 따른 소비감정 차이 분석 164
[표 5-9] 제품-서비스에 따른 소비감정 수준 (내림차순) 167
[표 5-10] 제품-서비스에 따른 소비감정 차이 분석 168
[표 5-11] 제품군별 소비감정 차이 분석 (n=739) 173
[표 5-12] 서비스군별 소비감정 차이 분석 (n=333) 174
[그림 2-1] 자기보고식 감정 측정의 예시 24
[그림 2-2] 이준웅 외(2008)의 연구에서 도출한 감정의 개별구조 30
[그림 2-3] Thomson&Crocker(2013)의 Cluster Dendrogram(왼) & MDS(오) 61
[그림 2-4] 소비자 연구에서의 빅데이터의 활용 64
[그림 3-1] Furr(2011)의 척도 개발 절차 77
[그림 3-2] 본 연구에서의 텍스트 마이닝 분석과정 82
[그림 3-3] 네이버의 쇼핑 카테고리와 구매후기 예시 84
[그림 3-4] 주요 소비감정 단어 워드임베딩 시각화 88
[그림 4-1] 본 연구의 소비감정 단어 선별과정 도식화 100
[그림 4-2] 감정항목의 군집분석 결과(상관계수행렬 기준 히트맵) 122
[그림 4-3] 긍정-부정 감정항목별 군집분석 결과(상관계수행렬 기준 히트맵) 124
[그림 4-4] 감정항목의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 재도식화 126
[그림 4-5] 감정항목의 공간분포 및 구성차원 129
[그림 4-6] 지각도를 통해 살펴본 소비감정의 구조 134
[그림 4-7] 소비감정 척도(KCEL)의 지각도[내용없음] 14
[그림 5-1] 만족-불만족상황에 따른 소비감정 수준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