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11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3
제2절 연구 문제 18
제3절 용어의 정의 18
1. 발달장애인 18
2. 사회적응 19
3. 발달장애 어머니 19
제2장 이론적 배경 20
제1절 발달장애인의 사회적응 20
1. 발달장애의 개념 및 현황 20
2. 발달장애인의 특징 23
3.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적응 요인 24
제2절 발달장애 성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험 세계 28
1. 발달장애 성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이해 28
2. 발달장애 어머니의 경험 35
제3절 경험학습 38
1. 경험학습의 이해 38
2. 경험학습의 모형 41
3. 어머니의 경험학습 관점으로 본 선행연구 50
제3장 연구 방법 54
제1절 현상학적 연구 방법 54
1. 연구자의 주관성 드러내기 55
제2절 연구 참여자 56
1. 연구 참여자 선정 방법 56
2. 연구 참여자 57
제3절 자료수집 및 분석 62
1. 심층 면담 62
제4절 자료 분석 방법 64
1. 연구 자료 검토 65
2. 의미 있는 진술 추출 66
3. 의미형성과 주제 묶음 66
제5절 연구 윤리와 진실성 확보 67
1. 연구 윤리 67
2.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68
제4장 연구 결과 71
제1절 자녀의 사회적응을 위한 적극적인 정보수집 76
1-1. 자녀의 사회 부적응 76
1-2. 스스로 발로 뛰며 얻는 정보 78
1-3. 같은 부모에게서 정보 얻음 80
1-4. 교사와 치료기관에서 얻는 정보 81
제2절 현실의 벽에 부딪히는 한계 82
2-1. 자녀의 사회적응을 위한 엄마의 몸부림 82
2-2. 오롯이 가족이 감당해야 하는 노력 84
2-3. 현실의 벽 85
2-4. 경제적 부담 86
2-5. 어머니의 노화에 따른 자녀의 자립이 걱정됨 88
2-6. 지쳐가는 엄마 89
2-7. 엄마의 노력이 자녀에게 부담을 줌 90
제3절 학습경험을 통한 어머니의 자기성찰 91
3-1. 자녀를 위한 어머니의 자기주도 학습 91
3-2. 다양한 기관에서 부모교육을 받음 93
3-3. 자녀를 위해 정규 학과 과정으로 사회복지를 공부함 94
3-4. 자녀 덕분에 신기한 학습경험을 함 95
3-5. 자녀의 사회적응에 꼭 맞는 기관을 찾음 97
제4절 학습경험이 만들어 준 긍정의 변화 99
4-1. 학습이 어머니에게 스며들며 변화되어 감 99
4-2. 자녀의 변화 100
4-3. 어머니의 변화로 주변이 변함 101
4-4. 내 자녀를 넘어 발달장애인의 권리를 위한 활동을 함 103
4-5. 따뜻하고 겸손한 변화 104
제5절 성장을 향한 따로 또 같이 가는 삶 105
5-1. 학습경험으로 어머니와 자녀가 동반 성장하게 됨 106
5-2. 자녀의 존재 자체가 감사함 107
5-3. 따로 또 같이 가기 108
제6절 발달장애 성인 자녀의 사회적응을 위한 어머니의 학습경험 의미탐구에 관한 구조적 기술 109
제5장 논의 및 결론 113
제1절 논의 113
제2절 결론 및 제언 118
1. 결론 118
2. 제언 120
참고문헌 123
부록 141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141
〈부록 2〉 반구조화 질문지 142
Abstract 144
〈표 2-1〉 ICD-11과 DSM-V에서 사용되는 발달장애의 개념 21
〈표 2-2〉 학자들의 경험학습 이론 특징 49
〈표 3-1〉 연구 참여자 현황 58
〈표 3-2〉 반 구조화 질문 면담 예시 64
〈표 3-3〉 전문가 명단과 정보 70
〈표 4-1〉 도출된 구성의미, 주제, 주제군 71
〈표 4-2〉 참여자들이 경험한 학습경험 95
〈표 4-3〉 참여자 박선영의 학습경험 원인 97
[그림 2-1] 장애수용과정과 개입요인 36
[그림 2-2] Dewey의 경험학습모형 42
[그림 2-3] Jarvis 경험학습모형 43
[그림 2-4] Kolb의 경험학습모형 47
[그림 3-1] 인터뷰의 구조 62
[그림 4-1] 발달장애 성인 자녀의 사회적응을 위한 어머니의 학습경험 의미탐구에 관한 구조적 관계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