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itle Page
Contents
Abstract 8
Chapter 1. INTRODUCTION 10
Chapter 2. Methods 13
1. Study design 13
2. Restrictive calcium-replacement protocol 14
3. Data extraction 15
4. Outcome measures 16
5. Subgroup analysis 16
6. Statistical analysis 17
Chapter 3. Results 19
1. Patient baseline characteristics 19
2. Primary and secondary outcomes from hypocalcemia patients vs. non-hypocalcemia patients 22
3. Calcium replacement in the liberal group vs. restrictive group 24
4. Primary and secondary outcomes from liberal vs. restrictive groups 28
5. Subgroup interaction analysis 33
6. Variables associated with 28-day mortality 34
Chapter 4. Discussion 37
Chapter 5. Conclusions 42
References 43
Appendices 50
〈Appendix 1〉 Baseline characteristics for hypocalcemia patients. 50
〈Appendix 2〉 Absolut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before vs. after matching. 52
논문요약 53
Figure 1. Calcium-replacement protocol. 14
Figure 2. Study flowchart. 19
Figure 3. Relationship between iCa level and mortality according to the lowest iCa level. 23
Figure 4. 28-day mortality and in-hospital mortality according to the lowest iCa level (liberal group vs. restrictive group). 29
Figure 5. Kaplan-Meier analysis for 28-day mortality and shock reversal. 33
목적: 저칼슘혈증은 중증 환자에서 흔히 관찰된다. 그러나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칼슘 교정의 임상적 이익은 불분명하다. 본 연구는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저칼슘혈증과 예후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제한적 칼슘 보충과 비제한적 칼슘 보충이 임상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다기관 전·후방 연구이다. 응급실을 통해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 중 제한적 칼슘 보충 지침 시행 전인 2019년 5월부터 2021년 4월까지의 환자를 칼슘 보충 비제한군으로, 2021년 5월부터 2022년 4월까지의 환자들은 칼슘 보충 제한군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ropensity score matching 을 통해 제한적 칼슘 보충 지침 시행 전과 후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였다. 주요 결과 지표는 28일 사망률이고, 이외에도 입원 중 사망률, 쇼크 회복 및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SOFA) 점수 감소를 확인하였다.
결과: 연구에 참여한 644명의 환자 중, 49%의 환자에서 저칼슘혈증이 관찰되었다. 전체 환자에서 28일 사망률은 33.7%이었으며, 저칼슘혈증 환자군과 비저칼슘혈증 환자군 사이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p = 0.10). 칼슘 보충 비제한군과 칼슘 보충 제한군에서 553개의 propensity matched 코호트를 생성하였다. Propensity matched 코호트에서 칼슘 비제한군과 칼슘 제한군은 28일 사망률 (35.3% vs. 32.3%, P = 0.56; Hazard ratio (HR) 0.97, 95% confidential interval (CI) 0.72-1.29; P = 0.81), 쇼크 회복 (81.5% vs. 83.8%, P = 0.54; HR 0.89, 95% CI 0.73-1.09, P = 0.27), 4일 후 SOFA 점수 감소 (평균 2.1 점 vs. 2.6 점, P = 0.2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온화 칼슘의 최저값과 (adjusted odd ratio (aOR) 1.04; 95% CI 0.13-7.89; P = 0.97) 제한적 칼슘 보충은 (aOR 0.87; 95% CI 0.56-1.35; P = 0.54) 28 일 사망률과 관련이 없었다.
결론: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28일 사망률은 저칼슘혈증 환자와 비저칼슘혈증 환자 간 차이가 없었다. 제한적 칼슘 보충은 비제한적 칼슘 보충과 28일 사망률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불필요한 칼슘 보충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