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itle Page
Abstract
Contents
Abbreviation 10
CHAPTER 1. INTRODUCTION 13
1.1. Objectives 17
1.2. Research Questions 17
1.3. Significance of the study 18
1.4. Scope of the study 18
1.5. Thesis Organization 18
CHAPTER 2. LITERATURE REVIEW 20
2.1. Current status of the world climate 20
2.1.1. Current trends of global warming and its causes 20
2.1.2. Climate change and impacts 21
2.2. Greenhouse Gas Estimation in Oil Industry 22
2.2.1.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API) Compendium Methodology 24
2.2.2. IPCC Guideline Estimation Methodology 26
2.2.3. Choice of Emission Factor (EF) 29
2.3. Legislation on hydrocarbons in DR Congo 30
2.3.1. Legal framework for hydrocarbons sector 30
2.3.2. Title II: Upstream Oil and Gas activities 32
CHAPTER 3. RESEARCH METHODS 40
3.1. Study area 40
3.1.1. Geographical background 40
3.2. Choice of method, decision trees and tiers 41
3.3. Data collection/Data availability 42
3.3.1. Muanda's oil drilling map 47
3.4. Data analysis and IPCC Software 48
3.4.1. Data Forecasting with Excel Software 53
CHAPTER 4. RESULTS AND DISCUSSIONS 55
4.1. Estimation of CO₂ and CH₄ emissions from 2005-2022 55
4.1.1. First emission scenario: Analysis of GHG for 2005-2008 57
4.1.2. Second emission scenario: Analysis of GHG for 2009-2017 58
4.1.3. Third emission scenario: Analysis of GHG for 2018-2022 59
4.2. Future projections of GHG from oil production by 2030 60
CHAPTER 5. CONCLUSIONS 62
5.1. Summary 62
5.2. Policy Implications 64
5.2.1. Government 64
5.2.2. The oil industry 64
5.2.3. Civil society 65
5.3. Limitations 65
REFERENCES 66
국문초록 68
Figure 1.1. Trends in the DRC's national GHG emissions by gas 15
Figure 1.2. Contribution of emissions by sector 16
Figure 1.3. Study Flow 19
Figure 2.1. Key segments included in oil system 27
Figure 3.1. Insert of the Study Area in the Nation Geographical Context 41
Figure 3.2. Decision tree for oil and gas systems 42
Figure 3.3. Histogram of annual sum and average of flared gas volumes from 2012-2022 47
Figure 3.4. Offshore and onshore oil wells from Muanda 48
Figure 3.5. basic data relations (IPCC Inventory Software User manual 2.87) 49
Figure 3.6. Basic software modules (IPCC Inventory Software User manual 2.87) 49
Figure 3.7. Summary of the first step in running the IPCC software ((IPCC Inventory Software User manual 2.87) 50
Figure 3.8. User management 51
Figure 3.9. Category subdivision of Fugitive emissions-Oil and Natural Gas 52
Figure 3.10. Forecasting sheet for the forecasting group in the Excel 2016 data tab 54
Figure 4.1. GHG emissions from oil production for 2005-2022 57
Figure 4.2. GHG emissions from first scenario 2005-2008 58
Figure 4.3. GHG emissions from second scenario 2009-2017 59
Figure 4.4. GHG emissions from third scenario 2018-2022 60
Figure 4.5. Future projections of GHG from oil production by 2030 61
콩고민주공화국(DRC)의 해안 유역은 약 40 년 동안 석유 활동이 미미한 반면, 중앙 유역과 동아프리카 균열의 서쪽 분지에는 탄화수소 자원에 대한 막대한 잠재력이 있다. 기후 변화 시기에 콩고민주공화국은 다른 국가들과 함께 모든 관련 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고하기로 약속했다. 2000~2018년에 대한 국가 최초의 인벤토리에는 석유 생산으로 인한 온실가스가 포함되지 않았는데, 이는 주로 이 하위 부문의 데이터 수집 시스템이 복잡하고 국가 배출 계수가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에 대한 IPCC 2019 지침을 사용하여 정부가 발표한 석유 활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안 유역 무안다의 석유 생산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및 메탄 배출량을 추정하는 것에 있다. 플레어 강도와 같은 기타 데이터는 세계은행의 글로벌 가스 플레어 감소(GGFR)에서 가져와 배출량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기본 배출 계수에 연간 총 석유 생산량을 곱하여 해당 배출량을 구하는 IPCC 1 단계 방법론적 접근 방식이 선택되었다. 그 결과 2005~2022 년 동안 무안다 유전의 석유 생산량은 329,278.43Gg CO2 와 4,594,582.74Gg CH4 의 순 배출량을 기록했으며, 이는 두 가스의 총 96,815,515.97 CO2-eq 에 해당된다. 또한 사용된 배출 계수를 통해 메탄이 총 배출량의 주요 원인임을 파악하였다.
2005~2008 년, 2009~2017 년, 2018~2022 년의 세 가지 배출 기간에 대한 세 가지 시나리오를 통해 2005~2017 년 사이에는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2018 년 이후부터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반적인 배출량 감소는 무엇보다도 석유 생산량 감소와 콩고 경제 구조에서 광업 부문이 석유 부문보다 우세하기 때문이며, 기후 변화에 관한 다양한 국제 조약에 대한 콩고의 비준으로 인한 영향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석유 생산 부족은 최근 콩고 정부가 석유 생산을 늘리기 위해 다른 유역의 다른 석유 광구를 경매에 부치기로 결정하면서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선형 예측을 적용한 결과 2030 년까지 총 배출량은 40717456.73 CO2-eq 가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향후 기후 변화 정책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메탄이 생산 부문의 총 배출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므로 완화 조치는 메탄 배출원에 초점을 맞춰야 하며, 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추출 시 관련 천연가스의 플레어링으로 판단되어 진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