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 초록
목차
1. 서론 17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7
1.2. 선행 연구 고찰 22
1.3. 연구 방법과 내용 28
2. 화행 자료 수집 도구 분석의 이론적 배경 32
2.1. 제2 언어 습득에서의 화행 이론 32
2.1.1. 화행 이론과 거절 화행 32
2.1.2. 의사소통 능력과 화용 능력 평가 35
2.2. 화행 자료 수집 도구로서의 DCT 43
2.2.1. 화행 자료 수집 도구의 유형 45
2.2.2. DCT의 구성과 설계 55
3. DCT 분석의 대상·방법·절차 68
3.1. DCT 분석의 대상 68
3.1.1. 선정 절차 68
3.1.2. 기초적 검토 71
3.2. DCT 분석의 기준 및 방법 74
3.2.1. 거시적 기준과 분석 방법 75
3.2.2. 미시적 기준과 분석 방법 99
4. DCT 분석의 결과 131
4.1. DCT 등급화에 따른 계량적 분석 131
4.1.1. DCT 등급화 절차 131
4.1.2. DCT 등급 판정 135
4.2. DCT 등급화에 따른 질적 분석 142
4.2.1. DCT 등급 분류 결과의 양상 142
4.2.2. DCT 개선의 방향 146
5. 분석 결과의 논의와 활용 방법 158
5.1. DCT 개발 및 적합성을 위한 적용 방안 158
5.1.1. DCT 문항 개발 절차 158
5.1.2. DCT 문항 개발 세부 계획서 작성 167
5.2. DCT 문항 개발 지침 176
5.2.1. DCT 분석 기준에 따른 점검 176
5.2.2. DCT 개발 표준화 논의 181
6. 결론 186
참고 문헌 189
ABSTRACT 192
부록 196
〈부록 1〉 분석 논문 목록 196
〈부록 2〉 DCT 등급화 목록표 199
〈표 2.1〉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의 특징 35
〈표 2.2〉 행위적 능력의 구성 요소 39
〈표 2.3〉 DCT 효용성에 대한 견해 43
〈표 2.4〉 선다형 담화 완성형의 예 52
〈표 2.5〉 듣기형 담화 완성형의 예 53
〈표 2.6〉 평가 방식에 따른 범주 55
〈표 2.7〉 담화 완성형 과제 유형 57
〈표 2.8〉 거시적 설계 요소 60
〈표 2.9〉 사회적 변수 조합과 DCT 상황 65
〈표 3.1〉 DCT 기반 거절 화행 연구 학위 논문 69
〈표 3.2〉 약속과 모임 상황(음주 거부) 88
〈표 3.3〉 거절 화행 DCT 등장인물 유형 101
〈표 3.4〉 상황 구성에 대한 모국어 화자의 동의율(예) 104
〈표 3.5〉 사회적 변수의 명칭과 풀이 105
〈표 4.1〉 DCT 분석 등급화 목록표 132
〈표 4.2〉 DCT 분석 등급 척도 134
〈표 4.3〉 상황 번호별 등급 분류 결과 135
〈표 4.4〉 문제점 1개의 B등급 DCT 139
〈표 4.5〉 분석 기준별 문제점 140
〈표 4.6〉 상황에 대한 부담의 정도 143
〈표 4.7〉 DCT 제시문 장면 유형 147
〈표 4.8〉 DCT 유발 화행의 분포 149
〈표 4.9〉 등장인물 출현 빈도 152
〈표 5.1〉 DCT 연구 집단 159
〈표 5.2〉 거절 화행의 전반적 시험 기술자 168
〈표 5.3〉 평가 구성 요소 169
〈표 5.4〉 개괄적 기술 예시 170
〈표 5.5〉 DCT 지시사항 172
〈표 5.6〉 국부 종속성 상황의 예 173
〈표 5.7〉 DCT 외적 정보 확인 목록표 177
〈표 5.8〉 DCT 내적 정보 확인 목록표 178
〈표 5.9〉 평가 목록표 179
〈표 5.10〉 표준형 DCT의 구성 184
〈그림 2.1〉 의사소통 능력 개념의 변천 37
〈그림 2.2〉 수정된 의사소통 능력 모형 38
〈그림 2.3〉 L2 화용 평가의 세대 구분 41
〈그림 2.4〉 언어 사용의 양상과 통제의 정도에 관련된 자료 수집 방법 46
〈그림 2.5〉 한국어 화행 관련 연구의 자료 수집 방법별-주제별 동향 47
〈그림 2.6〉 사회적 변수와 상황 구성 66
〈그림 2.7〉 상황 인지도 조사 문항 67
〈그림 3.1〉 상황(11-3) 77
〈그림 3.2〉 상황(24-13) 78
〈그림 3.3〉 상황(19-7-2) 79
〈그림 3.4〉 상황(13-1) 79
〈그림 3.5〉 상황(13-1) 80
〈그림 3.6〉 상황(21-5) 81
〈그림 3.7〉 상황(4-20) 82
〈그림 3.8〉 상황(26-15) 83
〈그림 3.9〉 상황(11-4) 83
〈그림 3.10〉 상황(24-1) 84
〈그림 3.11〉 상황(38-4) 85
〈그림 3.12〉 상황(22-15) 86
〈그림 3.13〉 상황(28-29) 86
〈그림 3.14〉 상황(3-결12) 87
〈그림 3.15〉 상황(14-1) 87
〈그림 3.16〉 상황(33-3) 88
〈그림 3.17〉 상황(22-12) 89
〈그림 3.18〉 상황(27-5) 90
〈그림 3.19〉 상황(34-7) 90
〈그림 3.20〉 상황(32-6) 91
〈그림 3.21〉 상황(5-1) 94
〈그림 3.22〉 상황(1-19) 94
〈그림 3.23〉 상황(22-9) 95
〈그림 3.24〉 상황(28-26) 96
〈그림 3.25〉 상황(3-결2) 명시적인 장소 제시(1) 97
〈그림 3.26〉 상황(40-3) 명시적인 장소 제시(2) 98
〈그림 3.27〉 상황(20-6) 장소 정보 제시 없음 99
〈그림 3.28〉 상황(2-12) 부정확한 대인관계 표현 107
〈그림 3.29〉 상황(4-20) 108
〈그림 3.30〉 상황(5-5) 109
〈그림 3.31〉 상황(22-18) 111
〈그림 3.32〉 상황(22-6) 112
〈그림 3.33〉 상황(1-9) 113
〈그림 3.34〉 상황(2-8) 114
〈그림 3.35〉 상황(8-1) 115
〈그림 3.36〉 상황(19-2-3) 116
〈그림 3.37〉 상황(31-43) 116
〈그림 3.38〉 상황(8-2) 118
〈그림 3.39〉 상황(4-21) 119
〈그림 3.40〉 상황(4-22) 119
〈그림 3.41〉 상황(1-15) 120
〈그림 3.42〉 상황(26-4) 상황 수용 가능성이 낮은 장면 121
〈그림 3.43〉 상황(1-18) 123
〈그림 3.44〉 상황(25-상하3) 124
〈그림 3.45〉 상황(24-13) 124
〈그림 3.46〉 상황(5-3) 126
〈그림 3.47〉 상황(17-10) 127
〈그림 3.48〉 상황(37-11) 128
〈그림 3.49〉 상황(23-A7가) 다수의 제3자 개입 128
〈그림 3.50〉 상황(2-12) 129
〈그림 3.51〉 상황(27-1) 130
〈그림 4.1〉 상황(28-31) 145
〈그림 4.2〉 상황(9-18) 146
〈그림 4.3〉 친소 관계 표현 153
〈그림 4.4〉 상황(22-18) 155
〈그림 4.5〉 상황(2-12) 156
〈그림 5.1〉 요구 분석 전개 과정 162
〈그림 5.2〉 사전 조사에 따른 대화 상대자 및 장소 순위 163
〈그림 5.3〉 상황(9-6) 164
〈그림 5.4〉 상황(6-22) 164
〈그림 5.5〉 도식 조직자를 활용한 DCT 165
〈그림 5.6〉 DCT 개발 순환과 내용 175
〈그림 5.7〉 DCT 상황 비교 평가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