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제주도의 서귀포시 상효동과 제주시 오등동의 계곡 주변에서 발견한 쐐기풀과의 몽울풀속에 속하는 미기록 식물, 푸른몽울풀(Elatostema laetevirens Makino)을 채집하여 기재하였다. 푸른몽울풀은 다년초이고 줄기에 개출모가 없는 점과 화서의 자루가 발달하지 않는 특징으로 국내 몽울풀속의 다른 종들과 쉽게 구분이 된다. 잎 표면에 광택이 없으며, 표면의 색이 청록색인 특징을 고려하여 ‘푸른몽울풀’로 명명하였다.

We report an unrecorded plant species, Elatostema laetevirens Makino (Urticaceae), in Korea. This species was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from under the canopy of an evergreen forest in Hyodoncheon, Sanghyo-dong, Soeguipo-si and Tamra valley in Ohdeung-dong, Cheju-si of the Province of Cheju in Korea. E. laetevirens Makino was quite distinct from others of the genus Elatostema in Korea owing to its perennial nature, the absence of trichomes in the stem and the absence of peduncles during the inflorescence period. This species was given the Korean name ‘pu-reun-mong-ul-pul’ based on the absence of luster and the bluish green color on the adaxial surface of its leav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Microsatellite 개발 및 분석법에 대한 소개 윤영은, 유정남, 이병윤, 곽명해 pp.299-314

모데미풀속과 근연속들의 형태 및 분포 비교 (미나리아재비과) 손동찬, 조경진, 고성철 pp.315-323

한국산 흰명아주와 근연종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정영재, 김무열, 이병순 pp.324-328

A reappraisal of the Acer wilsonii complex and related species in China Hyun Joo Eom, Piet C. de Jong, Chin-Sung Chang pp.329-337

ITS와 psbA-trnH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메꽃속(Calystegia R.Br.)의 분류학적 연구 김상준, 박선주 pp.338-344

큰개현삼과 근연분류군의 분류학적 재검토 장현도, 김태훈, 오병운 pp.345-352

엽록체 DNA 및 핵 DNA RNApol2_i23에 근거한 둥굴레복합체(Ruscaceae)의 계통 연구 박정미, 정경숙, 오병운, 장창기 pp.353-360

푸른몽울풀(쐐기풀과) : 국내 미기록 식물 김진석, 정재민, 이웅, 박재홍 pp.361-364

A new hybrid species of PulsatillaRanunculaceae : P. x yanbianensis H.Z. Lv Hui-Zi Lv, Soonku So, Muyeol Kim pp.365-369

무제치늪 식물상의 다양성 박성준, 안보람, 장순영, 박선주 pp.370-382

강원도 남동부 지역(동해시, 삼척시)의 식물상 한준수, 천경식, 김경아, 정희진, 유기억 pp.383-397

소백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장창석, 양선규, 박민수, 김기홍, 서상원, 오병운 pp.398-414

청태산 지역(강원도 평창군)의 식물상 지성진, 정수영, 장진, 장정원, 이철호, 양종철, 박명순, 정규영 pp.415-428

임자도 지역의 식물상 홍행화, 손현덕, 인석영, 임형탁 pp.429-439

참고문헌 (1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hen, J., Q. Lin, I. Friis, C. M. Wilmoy-Dear and A. K. Monro. 2003. Urticaceae In Flora of China, Vol. 5. Wu, Z. Y. and Raven, P. H. (eds.). Science Press, Beijing;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Pp. 76-77. 미소장
2 Duan, L. D. and Q. Lin. 2010. Elatostema cataractum (Urticaceae), A new species from Guizhou province, China. Ann. Bot. Fennici 47: 229-232. 미소장
3 Tateishi, Y. 2006. Elatostema. In Flora of Japan, Vol. IIa: Angiospermae; Dicotyledoneae; Archichlamydeae(a). Iwatsuki, K. et al. (eds.), Kodansha, Tokyo. Pp. 91-97. 미소장
4 Phylogeny of Elatostema (Urticaceae) using chloroplast DNA data 네이버 미소장
5 Lahav-Ginott, S. and Q. C. B. Cronk. 1993. The mating system of Elatostema (Urticaceae) in relation to morphology: A comparative study. Pl. Syst. Evol. 186: 135-145. 미소장
6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201-202. 미소장
7 Lin, Q., I. Friis and C. M. Wilmot-Dear. 2003. Elatostema (Urticaceae). In Flora of China, Vol. 5. Wu, Z. Y. and Raven, P. H. (eds.). Science Press, Beijing;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Pp. 127-162. 미소장
8 Lin, Q., I. Friis and L. D. Duan. 2008. Two new species and a new series of Elatostema (Urticaceae) from China. Bot. J. Linnean Soc. 158: 674-680. 미소장
9 Park, G. R. 2007. Elatostema.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258. 미소장
10 A NEW SPECIES OF ELATOSTEMA (URTICACEAE) FROM GUANGXI PROVINCE, CHINA 네이버 미소장
11 Yahara, T. 1984. Pellionia and Elatostema in Thailand: Taxonomic studies of Urticaceae II. J. Fac. Sci. Univ. Tokyo, Bot. 13: 483-499. 미소장
12 Yang, Y. P., B. L. Shih and H. Y. Liu. 1995. A revision of Elatostema (Urticaceae) of Taiwan. Bot. Bull. Acad. Sin. 36: 259-27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