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한반도 풍혈지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 김진석 ; 윤종학 1

요약 1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

1. 연구대상지 2

2. 조사 및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

1. 풍혈지 식생의 식물군락 구분 3

2. 식물군락과 환경조건과의 관계 9

LITERATURE CITED 11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반도 풍혈지 식생에 대하여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통해 식물군락의 특성을 밝히고 풍혈지의 보전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풍혈지는 지하에 저온층이 존재하는 크고 작은 바위들의 집적지로서, 지표면에 열려진 공극으로부터 자연적인 냉풍이 불어 나와 국소적으로 저온환경이 형성된 지역이다. 63개 식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풍혈지의 식물군락을 구분한 결과, A. 굴참나무-한들고사리군락, B. 신갈나무-박달나무군락, B-1. 졸참나무-가는잎쐐기풀하위군락, B-2. 마가목-인가목조팝나무하위군락, B-3. 털댕강나무-개병풍하위군락, B-4. 전형하위군락의 2개 군락 4개 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DCCA분석 결과, 굴참나무, 쥐똥나무, 느티나무, 분꽃나무 등을 구분종으로 하는 굴참나무-한들고사리군락은 신갈나무, 쉬땅나무, 함박꽃나무, 당단풍나무, 민둥인가목 등을 구분종으로 하는 신갈나무-박달나무군락보다 온량지수와 강수량이 많은 지역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인가목조팝나무, 마가목, 흰인가목, 산앵도나무, 산겨릅나무, 퍼진고사리, 전나무을 구분종으로 하는 마가목-인가목조팝나무하위군락과 구분종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전형하위군락은 다른 하위군락에 비하여 높은 해발과 많은 강수량 지역에 분포하였으며, 당조팝나무, 털댕강나무, 개병풍, 산토끼고사리, 북분취, 일본잎갈나무 등을 구분종으로 하는 털댕강나무-개병풍하위군락은 인간활동에 의하여 일광 노출이 많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and describe the vegetation of algific talus in Korea by methods of the ZM school of Phytosociology. A part of slope or a hollow at the foot of talus in which cool air exhausts from underground through gaps of accumulated rock debris is called algific talus. From the sixty three stands obtained, the following two community and their four subcommunity were recognized: A. Quercus variabilis - Cystopteris fragilis com. B. Quercus mongolica - Betula schmidtii com. B-1. Quercus serrata - Urtica angustifolia subcom. B-2. Sorbus commixta - Spiraea chamaedryfolia subcom. B-3. Zabelia biflora - Astilboides tabularis subcom. B-4. Typical subcom. A. Quercus variabilis - Cystopteris fragilis com.. As a result of DCCA ordination, Quercus variabilis - Cystopteris fragilis com. has Quercus variabilis, Ligustrum var. obtusifolium, Zelkova serrata, Viburnum carlesii etc. as differential species, which showed the higher correlation with area of high Warmth index (WI) and precipitation than Quercus mongolica - Betula schmidtii com. has Quercus mongolica, Sorbaria var. sorbifolia, Magnolia sieboldii, Acer pseudosieboldianum, Rosa acicularis etc. as differential species. Sorbus commixta - Spiraea chamaedryfolia subcom. has Spiraea chamaedryfolia, Sorbus commixta, Rosa koreana, Vaccinium var. hirtum, Acer tegmentosum, Dryopteris expansa, Abies holophylla etc. as differential species. and Typical subcom in Quercus mongolica - Betula schmidtii com. were distributed in higher altitude and precipitation area than others. Zabelia biflora - Astilboides tabularis subcom. has Spiraea chinensis, Zabelia biflora, Astilboides tabularis, Gymnocarpium jessoense, Saussurea mongolica, Larix kaempferi etc. as differential species, which was distributed in area with high amounts of sunlight exposure by human activiti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쇠뿔현호색(Corydalis cornupetala Y.H.Kim et J.H.Jeong) 자생지의 생육환경과 식생구조 성정원, 이명훈, 윤정원, 김기송, 신현탁, 김용식 pp.271-279

보기
길상산(강화도)의 관속식물상 김중현, 김선유 pp.280-304

보기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에서의 큰기러기 월동지 비오톱구조와 행동특성 연구 박병구, 한봉호, 이경재, 곽정인, 임성수 pp.305-315

보기
뉴트리아(Myocastor coypus)의 국내 분포 및 서식 현황에 관한 연구 이도훈, 길지현, 김동언 pp.316-326

보기
왕피천 유역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박영준, 전용락, 김기동, 윤희남, 남상호 pp.327-343

보기
관악산의 식생구조 특성과 변화 연구 장재훈, 한봉호, 이경재, 최진우, 노태환 pp.344-356

보기
한반도 풍혈지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김진석, 윤종학 pp.357-368

보기
용문사 계곡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 및 22년간(1988~2010년) 변화 분석 장재훈, 한봉호, 최태영, 이경재 pp.369-380

보기
경주국립공원 내 암곡습지 유역권 식생분포 특성 연구 김지석, 최송현, 홍석환, 강현미, 배중남 pp.381-395

보기
자연환경 기반형 관광·휴양목적지 시설물에 대한 방문객 공간인지도 분석 : 남이섬 관광지 사례를 중심으로 최영석 pp.396-404

보기
대도시 생활권 숲길 이용자의 방문동기 및 이용만족 : 대구광역시 숲길을 중심으로 권태호, 이덕재 pp.405-412

보기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ndrews, K.M.(2003) A geological and geophysical investigation of ice mountain algific talus, Hampshire county, West Virginal. M. S. thesis. West Virginia University, Morgantown. 77pp. 미소장
2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üge der Vegetationskunde, 3 Aufl. Springer-Verlag. Wien. 865pp. 미소장
3 Higuchi, T.(1971) Vegetation of musci bryopsida on wind-hole in Tohoku region. Miscellanea bryologica et lichenologica 5: 174-177. (in Japanese) 미소장
4 Hill, M.O. and H.G. Gauch(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etatio 43: 47-58. 미소장
5 Inoue, H.(1986) Moss. Field guide for bryophytes. Tokai University, Tokyo. (in Japanese) 194pp. 미소장
6 Iokawa. Y. and S. Ishizawa(2003) Vascular plants of wind-hole areas in Japan (1). J. Phytogeogr. Taxon. 51: 13-26. 미소장
7 IPCC(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USA, 996pp. 미소장
8 Kim, J.S., J.M. Chung, B.C. Lee and J.H. Park(2006) The plant species composition and phytogeographical significance on algific talus slope in Korea. Korean J. Pl. Taxon. 36: 61-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미소장
9 Kira, T.(1948) On the altitudinal arrangement of climatic zones in Japan. Kanti-Nogaku 2: 147-173. (in Japanese) 미소장
10 Koarai, M.(1964a) Ecology of wind-hole plant. Fukusima biology 7: 33-36. (in Japanese) 미소장
11 Koarai, M.(1964b) Plant community of wind-hole in Nakayama, Aizu regeon. Bulletin of Ecological Research Tohoku, Japan, 21: 9-12. (in Japanese) 미소장
12 Kong, W.S., G.H. Yoon, I.T. Kim, Y.M. Lee and S.H. Oh(2012)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ind-hole and governance strategy. Kor. J. Env. Imp. Assessm. 21: 431-4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미소장
13 Kong, W.S., S.G. Lee, G.H. Yoon and H.N. Park(2011)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ind-hole and phytogeographical values. Kor. J. Env. Imp. Assessm. 20: 381-3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미소장
14 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2009) Climatological stand normals of Korea. 미소장
15 Characteristics of Topograph, Climate and Vegetation around Jagaramogara Wind Cave Basin. 네이버 미소장
16 Mueller-Dombois, D. and H. Ellengberg(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547pp. 미소장
17 Paleorefugia and Neorefugia: The Influence of Colonization History on Community Pattern and Process 네이버 미소장
18 PC-ORD(1999)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4.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미소장
19 Eishöhlen, Ein Meteorologisch-Geophysikalisches Phänomen (Untersuchungen an der Rieseneishöhle (R. E. H.) im Dachstein, Oberösterreich) 네이버 미소장
20 Air and soil temperature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plants on a wind-hole site 네이버 미소장
21 Sato, K., G. Kudo and S. Uemura(1993) Cool-spots site vegetation in IZARIIRI-HEIDE, northern Japan. Jpn. J. Ecol. 43: 91-98.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미소장
22 Shiboi, T.(1980) Unusual low temperature site and underground ice in Kitami region. Bulletin of Hokkaigakuen Kitami University 3: 141-152. (in Japanese) 미소장
23 Ice Caves in Northern California 네이버 미소장
24 Tanaka, H.L., M. Yokoi and D. Nohara(2000) Observation study of summertime ice at the Nakayama wind-hole in Shimogo, Fukushima. Science reports, Institute of Geoscience, University of Tsukuba, Scetion-A 1-21. 미소장
25 Vincent, W.B.(1974) Environmental influence of the glacieres of the Pryor Mountains, Montana. The National Speleological Society Bulletin. 36: 13-21. 미소장
26 Yoshioka, K.(1973) Vegetation wind-hole area. Monthly report of ecology lecture 8: 7-8. (in Japanes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