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지적선진화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기존 제시되고 있는 임야지역 등록방법의 문제점을 고찰하여 보았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보다 현실적인 임야지역 등록방법을 제시하고자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직접측량(T/S) 또는 간접측량(항공사진측량 등)에 의한 등록방법이 아닌 기존 임야도면을 이용하여 선진화하는 방안이었다. 본 연구 방법론의 타당성을 제시하기 위해 실험관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결과, 임야지역 일필지 경계점의 오차가 허용범위 이내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임야지역 선진화 방안이 적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examined problems occurred in previous registration procedure of forestry area in order to maintain cadastral reform project. It is also to suggest rather practical plans for registering forestry area in order to save time and cost based on the study result. The suggestion in the study is an advancement registration plan utilizing forestry maps that have existed instead of direct surveying (T/S) or indirect surveying (including aerial photogrammetry). In order to validate the plan suggested in the study, we conducted test observations and analyzed the results in which errors on parcel boundary point appear to be within the acceptable margin of error. Therefore, there is applicability in the advancement plan for forestry area suggested in this stud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탄소저감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모델구상 및 적용방안 연구 노경식, 왕광익, 유선철, 민경주, 이건원, 김세용, 권용우 pp.1-10

지적선진화사업을 위한 임야지역의 효율적 등록 방안 박춘수, 홍성언 pp.11-21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사례분석 연구 : 일본 나오시마와 수원시 행궁동 사례를 중심으로 이재준, 김도영, 박상철 pp.23-35

WorldView-2 위성영상의 방사 해상도와 영상분할에 관한 연구 김민호 pp.37-46

한국의 기상관측소 밀도 분석 김선영, 오완탁, 이승호 pp.47-59

중해상도 ASTER GDEM 데이터의 정확도 및 공간적 특성 분석 최진무 pp.61-69

재건축지역에서의 결합개발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 안산시 재건축 지역을 중심으로 이혜영, 여옥경 pp.71-81

최근 우리나라 여름철 극한강수의 빈도와 규모 변화에 관한 연구 최영은, 이한수, 권재일 pp.83-97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Execution strategy of Cadastral Renovation Projects 소장
2 국토해양부, 2010, 지적선진화 기본계획 수립연구. 미소장
3 국토해양부, 2011, 지적재조사 기반조성 연구(디지털지적구축 시범사업 최종평가 연구를 통한 지적선진화 기본계획 수립). 미소장
4 국토해양부, 2011, 지적재조사 기반조성 연구(지적재조사 비용 절감 방안). 미소장
5 국토해양부, 2011, 지적재조사 기반조성 연구(지적재조사에 따른 지적측량 정확도 기준 연구). 미소장
6 국토해양부, 2011, 지적재조사 기반조성 연구(지적측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최신 측량기술 도입및 실시간 검증체계 적용 방안 연구). 미소장
7 국토해양부, 2011, 지적재조사 기반조성 연구(항공사진을 이용한 지적측량 적용방안). 미소장
8 김태훈, 2000, T/S와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을 활용한지적측량 개선방안, 지적세미나논문집, 대한지적공사. 미소장
9 대한지적공사 지적연구원, 2011, 임야지역의 필지경계 설정에 관한 연구, pp. 92-94. 미소장
10 박춘수, 2010, 지적좌표계의 세계좌표 변환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이권한·서관호·정해철, 2003, “GIS활용을 위한 기타원점 좌표계 지적자료의 좌표변환에 관한연구”, 한국GIS학회지 11(4): 481-491. 미소장
12 이재혁, 2005, 전자평판에 의한 지적측량 방법 연구,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최한영, 2004, 지적불부합지정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지적측량기법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4 최한영, 2009, 지적재조사를 위한 비용분석 및 3차원측량기법에 관한 연구, 지적세미나논문집, 대한지적공사. 미소장
15 An Analysis on the Cadastral Non-coincidence of a Forest Area 소장
16 Study on patterns of cadastral non-coincidence and methods for the arrangement 소장
17 A Study on the Performance Standard of Surveying Equipments for Cadastral Re-survey Project 소장
18 A Study on the Resurvey method for Efficient Cadastral Resurvey 소장
19 Direction for the Practical Use of RTK-GPS in Cadastral Detail Surveying 소장
20 KDI 공공투자관리센터, 2010, 지적재조사사업 2010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