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국역본 『천예록』과 『동패락송』의 존재와 번역양상을 통해, 야담의 국문번역본이 갖는 의의와 문학사적 경향을 고찰하였다.
조선의 야담은 상층 남성들 사이에서 향유된 서적물이었기 때문에 여성이나 하층 신분의 사람들에게까지 널리 읽히지 못하였다. 하지만 조선 후기로 갈수록 야담 수용계층도 서서히 변화를 맞았다. 남성들 사이에서 읽히던 야담집 중 재미있는 것들이 여성들 사이로 흘러 들어갔고, 『청구야담』과 같은 야담집은 전 작품이 국역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또 한편에서는 기존 야담집의 이야기를 선별하여 국역하는 흐름도 나타났다. 바로 『천예록』과 『동패락송』의 국역본에서 이같은 사실이 확인된다. 『천예록??의 국문본은 최민열본이 현전하는 유일본이며, 『동패락송』의 국문본에는 나손본 『육신전』의 『동패락송』, 국민대본 『동패락송』, 그리고 천리대본의 국역본이 있다. 여기서 천리대본의 국역본 『동패락송』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지만, 43편의 작품제목 옆의 ‘언문’?‘언’ 등의 기록은 번역본이 존재했다는 분명한 정황에 해당한다.
한문본 야담집의 편찬자들이 이야기의 진위여부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면, 『천예록』과 『동패락송』의 국역본에는 이러한 고민이 제거되어 있다. 또 두 야담집의 국역본은 특별한 개작양상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모두 한문본에 대한 선역본이라는 점, 선별된 작품이 일련의 체계를 갖는다는 점 등에서 야담집이 당대 독자의 요구를 견인하며, 다양한 형태로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천예록』은 여성 독자의 요구가 반영된 측면에서, 『동패락송』은 하나의 읽을거리로서 번역된 특징을 갖는다. 두 야담집의 국문번역본은 번역양상에서는 일정한 차이를 보이지만, 각각 목적에 따라 선집된 점이 같다. 즉, 작품 내 이야기가 선별되고, 그 존재형태도 다양해짐에 따라 야담의 기능도 변모했던 것이다.
이처럼 야담집이 일반적인 독서물로 향유되었다는 사실은 『천예록』과 『동패락송』의 국문번역본의 출현과 궤를 같이 하는 동시에, 야담사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가능성까지 열었다. 한문본의 국문화는 야담만의 특수한 현상이 아니다. 소설이나 연행록, 기행가사 등의 다양한 서사장르 전반에 일어나고 있던 일반적인 추세였다. 그에 따라 야담사 전반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불가피해졌다.This study there is study in great detail at same time the literature lighting up to the meaning that national script translation this have of the unofficial historic story until personal trends through national script translation real intention existence form and translation aspects of 『Cheonyerok』 and 『Dongpaeraksong』 as early unofficial historic stories. Translation of two unofficial historic story collections and the risky times weren't certain, but it was a anthology of similar times, and translation and enjoyment consisted in similar processes. There is the side that the national script translation this remove sharply fact, and I have led an interest, and was translated if Chinese character this of 『Cheonyerok』 and 『Dongpaeraksong』 was described at true delivery dimensions. The reason is as it was performed by the trends that it is towed 『Dongpaeraksong』, and it was translated as one reading to drag feminine desire out that it rose 『Cheonyerok』. That is, regular difference showed, but national script translation these of two two unofficial historic story collections am objective anger does each a anthology, and to have been a collection form on translation. In this way one book was sorted, and function of unofficial historic stories can be various as I existed with various forms.
On the other hand, these trends have the same way of national script anger trend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and these trends have toward a regular meaning. Chinese character real intention national script anger serious trouble was the general trend that was already happening in genres such as a novel or YeonHaengRok, trip words etc. etc. not being the phenomena that there was here. New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history of the unofficial historic stories whole is unavoidable thing according to the above sentences. The national script these reading formed in enlarged of a market commercial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latter period changing societies have the same way of customer(leader) stratum, and demand of class of readers was towed so as regular, and national script regular course translation these were published in various genres, and it is t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