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In this paper, using an Eye-movement tracking method,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two determining factors on the credibility of the review text: the polarity of text(i.e. positive, negative, or ambivalent) and the type of the alongside image(i.e. interior or exterior photo). The credibility of the text was generally high in ambivalent texts and when the ambivalent text was presented with the exterior photo, the credibility was higher than others. However, if the text was either positive or negative, the interior photo was more proper to improve the credibility. We concluded that the credibility of review text is highly dependent on the polarity of text and the types of the alongside image should be sele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tex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모바일 메신저 대화 언어에 나타난 명사형 어미 '-(으)ㅁ' 종결문의 사용 양상 = Research on Sentences Ending in '-(으)ㅁ' on Mobile Messaging Application Conversations 김가연 pp.57-84

영상텍스트의 텍스트성 = Die Textualität des Filmtextes : eine textlinguistische Analyse eines Trailers zum koreanischen Film 'Amsal[Attentat]' : 영화 예고편 '암살'의 텍스트언어학적 분석을 예로 조국현, 김근혜 pp.221-247

토론대화의 협력성 연구 = Kooperationsprinzipien in der Debatte : '반론-재반론'단계를 중심으로 조용길 pp.249-271

≪독립신문≫ 논설의 텍스트유형론적 연구 = Text typological study on Editorials of ≪Dongnipsinmun≫ 채규현 pp.273-300

추리소설의 메타텍스트 전략 분석 = Analysis of metatextual strategy in Mystery novel-about Ayatsuji Yukito's 'Gwan series' : 아야츠지 유키토 '관 시리즈'를 중심으로 장경현 pp.137-164

한국어 담화 표지로서의 '-자면' = '-jamyeon' as a Korean discourse marker 김정남 pp.85-116

의료 대화에 나타난 완화를 위한 담화 전략 = Discourse Strategies for Mitigation in Medical Communication 고재필 pp.35-55

A Study on academic text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외국인 유학생의 학술 텍스트 쓰기 교육에 관하여 Shin, ji yeon pp.117-136

간호사의 자리매김 행위에 나타난 의사의 정체성 = The identities of physicians in the nurses' positioning act 정연옥, 박용익 pp.165-192

리뷰 텍스트의 신뢰도 관여 요인에 대한 안구운동추적 연구 = An eye-tracking study on factors relating the credibility of the review text 정혜녕, 남윤주 pp.193-219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Effect of women consumers purchase by an attribute of cosmetic Advertising Model 소장
2 김경옥(2017), 온라인 호텔 예약사이트 이용객의 리뷰 평가 점수 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 김기민(2011), 거짓탐지 시 과학적 내용분석(Scientific Content Analysis: SCAN)의 정확성,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김세준, 이세진(2013), “정보원, 메시지의 유형 및 수신자 성향에 따른 구전효과 연구 – 영화에 대한 온라인 비평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96(96), pp. 100-136. 미소장
5 The Influences of Online WOM(word of mouth) Information and Web Site Characteristics to Attitude change of user 소장
6 류현주(2013), 온라인 구전에서 리뷰유형과 방향성, 웹 유형이 구전효과의 특성인 신뢰성과 전달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온라인 구전 정보 방향성이 화장품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장
8 박청희(2013), 현대 국어의 생략 현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9 온라인 구전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문화적 실증연구 소장
10 온라인리뷰의 방향성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호텔리조트를 중심으로 소장
11 The Effects of Information Characteristics(Direction,Consensus) onWord-of-Mouth Performance in Online Apparel Shopping 소장
12 신현정(역)(2003), “시각심리학(Cognition & the visual art”, 시그마프레스. 미소장
13 오영아(2014), 소비자 구매의사결정 과정별 정보확득과 공유채널, KAA 진단 미소장
14 그림의 위치 및 정보에 따른 텍스트처리 양상 소장
15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보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비자 제품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소장
16 The Effects of Business Blog Information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n lectronic Word-of-Mouth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Emphasis on Trust Transference. 소장
17 Received Reliability on the Message Sidedness, Site Credibility and User Characteristics in Online Postscript 소장
18 온라인에서 양면구전이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소장
19 조정주(2010), 온라인 리뷰의 방향성과 광고와의 병행이 소비자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디지털 컨버전스 기기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0 Determinants of Online Review Adoption : Focusing on Online Review Quality and Consensus 소장
21 Beymer D., Orton P.Z., Russell D.M.(2007), “An Eye Tracking Study of How Pictures Influence Online Reading.”, IFIP Conference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4663, pp. 456-460. 미소장
22 Chatterjee, P.(2001), “Online Reviews: Do Consumers Use Them?”,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pp. 129 – 134. 미소장
23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24 Self-generated validity and other effects of measurement o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네이버 미소장
25 Fogg, B. J., Tseng, H.(1999), “The elements of computer credibility”,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80-87. 미소장
26 Hegarty, M., Just, M.A.(2002), “Constructing Mental Models of Machines from Text and Diagram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2(6), pp. 717-742. 미소장
27 Holmqvist, K. et al.(2011), Eye Tracking: A comprehensive guide to methods and measures,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8 Searching for Experience on the Web: An Empirical Examination of Consumer Behavior for Search and Experience Goods 네이버 미소장
29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30 The Influence of Message Framing and Issue Involvement 네이버 미소장
31 Believe It or Not 네이버 미소장
32 The impact of online user reviews on hotel room sale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