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마을농악의 전통과 현재를 주목하면서 그 가치를 살펴보았다. 한국의 농악 전승에서 무형문화재 농악은 특별한 위상을 갖고 있기에 마을의 농악과 무형문화재 농악을 비교하면서 차이를 설명한 부분도 있다. 본고에서 논의한 의사소통에 기반을 둔 기호체계로서의 마을농악, 제사로서 독자적 세계를 구축해 온 마을농악, 찾아가는 예술과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농악문화, 마을의 전통과 현재를 반영한 농악의 연행문법 등은 마을이라는 하드웨어 속에서 소프트웨어인 농악이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지를 주목한 것이다.
논의내용을 갈무리하면 첫째, 농악의 가락은 음악이면서도 지시적 뜻을 가진 구음형태로 존재함을 주목하였다. 그래서 농악의 가락은 음악이면서도 의사소통의 기호적 성격을 띠고 있고, 음악적으로는 같은 구조라 할지라도 구음에 담긴 뜻이 다르기 때문에 전혀 다른 가락으로 인식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둘째, 마을농악은 제사를 수행하는 의례 그 자체임을 주목하였다. 마을농악은 대개 제의나 노동과 결합되어 연행된다. 그래서 제의적 상황을 주목하여 농악의 가락 구성이 제의절차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농악이 의례의 부수적인 항목이 아니고 의례를 수행하는 행위 자체이자 독립된 형식임을 논의하였다.
셋째, 마을농악은 찾아가는 예술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에 대해 주목하였다. 마을농악이 쇠락한 후 대부분의 농악단체는 공연장을 마련해놓고 관객이 오기를 기대한다. 그런데 마을농악의 전통은 마을신과 가가호호를 방문하는 찾아가는 예술에 있다. 마을농악의 전통은 향유자를 찾아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동체와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게 되고 신명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넷째, 마을농악이 공동체의 상황을 반영해왔음을 주목하였다. 간척지가 새로 조성된 후 해마다 간척지 앞에서 제사농악을 연행하고, 마을신의 위계가 변해감에 따라 농악의 연행내용에 차등을 두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농악이 문화로서 생명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공동체의 삶이 담겨 있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농악은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그것 자체로 공동체가 될 수 없고, 공동체라는 실제적 하드웨어와 상호 견인하는 구도를 형성해야 마을농악의 공동체적 가치가 살아난다. 이번 논의를 통해 ‘상상의 공동체’가 아닌 실체적 공동체와 그 속에서 구동되는 농악의 관계를 주목하는 연구가 확산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has examined the value of village Nongak (farmer’s music) paying attention to its tradi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As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Nongak has a special status in the transmission of Nongak in Korea, some parts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village Nongak and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Nongak by comparing the two kinds of Nongak. Village Nongak as a sign system based on communication; village Nongak which has established an independent world as a memorial service; the Nongak culture as a visiting art and social capital; and the performative grammar of Nongak reflecting the tradi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village discussed in this paper pay attention to the combination of the hardware of the village with the software of Nongak.
To summarize the discussions; firstly, it was noted that the melody of Nongak is a directive oral sound in the form of music. As a result, the melody of Nongak has a character of a sign for communication while it is music. The same musical melody can be recognized as a totally different melody by the different meaning contained in the oral sound.
Secondly, it was noted that village Nongak itself is a ritual performed for a memorial service. Village Nongak is performed in combination with a ritual or labor rather than for entertainment. Thus, its melody composi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procedures of the ritual and Nongak itself is a behavior of ritual performance with an independent format instead of a subsidiary item of the ritual.
Thirdly, it was noted that village Nongak has the characteristic of a visiting art. After the decline of village Nongak, most Nongak troupes erect a stage and expect spectators to come. However, the tradition of the art of village Nongak is visiting the village god and every house in the village. Such a tradition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and the exertion of exhilaration.
Fourthly, it was noted that village Nongak has reflected the general situation of the community. After the formation of a new reclaimed land, Nongak was performed as a memorial service in front of the reclaimed land, and the contents of the performance of Nongak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ing hierarchy of the village gods. It was discussed that Nongak has to contain the situation and the will of the community in order not to be left as stuffed animals.
In conclusion, Nongak cannot be the community by itself because it is software. It should be combined with the actual hardware of the community in order to revive the value of the community by mutual complement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researches which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and Nongak operating in the actual community instead of an ‘imaginary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