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에서는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그 평가결과를 활용한 맞춤형연수를 통해 제도의 성과를 달성하고 있는지를 진단할 목적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를 활용한 연수의 성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를 활용한 ‘맞춤형연수’의 실태 자료를 활용하여, ‘능력향상연수’ 대상자의 연도별 변화에 대한 추이 분석과 ‘재심의’ 비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도별 ‘능력향상연수’ 심의 대상자 및 지명자 수의 감소 추이를 확인하고, ‘능력향상연수’ 대상자의 연수 참여 이후 재심의 대상 선정 비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 및 ‘능력향상연수’의 시행을 계기로 기존에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낮은 성과를 보였던 교사들이 교원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 결과적으로 교사들의 전문성 제고 성과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미래인재양성 방향모색을 위한 교육정책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policy for the future talent development 김은비, 정홍인, 김대영, 변기용, 임철헌, 최지수, 조대연 p. 5-27

자유학기제 진로탐색 이슈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the issues for career exploration activity in free semester system : 교사와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김민채, 김영환 p. 59-77

국내 직업진로체험기관의 이용경험자 만족도 조사 연구 =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domestic career experience institutions : based on the user experience satisfaction survey 김정원, 강현주, 이효섭, 조대연 p. 29-58

교육청 소유 유휴지 관리 실태 및 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plan for idle land of K Office of Education / K교육청을 중심으로 홍섭근, 오수정, 김인엽, 이수정 p. 79-99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활용 '맞춤형교원연수'의 성과 분석 = An analysis of effects of the customized teacher job training system related to the results of the teacher capability development evaluation on teachers' professionalism : '능력향상연수' 대상자의 '재심의' 비율 분석을 중심으로 이수정, 김영식 p. 127-141

CCR 역량 프레임워크 개발 준거를 활용한 OECD 학습 프레임워크 분석의 시사점 탐색 =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analyzing the OECD learning framework using the CCR competency framework development criteria 김정효, 유창완 p. 101-126

비판적 사고 촉진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형 연구 : A study on instructional model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facilitate critical thinking through argumentation / 논증 활동을 중심으로 김가형, 황윤정, 임철일 p. 143-165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잠재프로파일 전이와 부모, 교사 예측요인 검증 = The longitudinal trans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adaptation profiles from 1st to 4th and its predicted effect of parent and teacher factors 장희선 p. 481-506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정보그림책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과 활용 및 요구 = Awareness, utilization, and deman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information picture books :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김정민 p. 531-556
입학전형별 대학생 핵심역량 및 전공역량의 차이 분석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core competency and major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admission : the case of D University / D대학교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최정희, 오진오 p. 167-188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학교 차원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 An action research 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the enhancement of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김선희, 최윤정, 이혜은 p. 307-335
SSI(Socio-Scientific Issues) 글쓰기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의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SI(Socio-Scientific Issues) writing program o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rception for SSI teaching, character and values 강경희 p. 215-231
의학전문대학원 지원자 특성에 근거한 선발인재상의 차별화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ion in the selection of talen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f 4+4 years type medical school 이동현, 심서보, 최재정 p. 189-214
예비교사의 다문화 교사 정체성 발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teacher identity development : a psychoanalytic approach to subjectivity and otherness / 주체성과 타자성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을 중심으로 김은정 p. 707-728
한국어교육을 위한 주체높임 '-(으)시-'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of Korean subject honorific '-(으)시-'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the drama parallel corpus / 드라마 병렬말뭉치를 중심으로 설문영, 김선정 p. 689-706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학습 동기 강화를 위한 유튜브 한국어 교육 연관 검색어 분석에 대한 일고 = A study on the analysis of key word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YouTube to reinforce learning motivation for foreign learners of Korean 김명광, 제갈덕주, 이교일 p. 667-688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 연구 = A study on Korean loanword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단채미, 박덕유 p. 637-665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 교양 교육 과정 운영 현황과 과제 = A review on the operation of Korean liberal arts courses for foreign students 장지영, 조은영 p. 617-636
한국 대학생들과 재외국민 대학생들의 독서 실태 비교 연구 =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overseas university students a comparative study on reading situation 조남현, 이선미 p. 597-616
남북한 어문규범 통합의 지향점과 학교 통일교육 : Guidelines for the integration of North-South Korean language writing norms in the category of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 focusing on spelling and spacing /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중심으로 임상수 p. 577-596
노년층을 위한 박물관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안 = Development suggestion for senior participants in museum education 최고운, 이정은 p. 557-576
유아교사의 인문학적 성장과정 탐색 : Exploring the humanistic growth proc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focused on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y activities /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중심으로 양은정, 손승남 p. 507-529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정서적 지지, 자기조절력,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 The relations among perceived emotional support, upper elementary students' self-regula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박서윤, 장유진 p. 457-480
초등학교 학생의 창의성 발달을 저해하는 환경요인에 대한 성찰 : Reflection on environmental factors that impede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 focused on play culture of home and teaching culture of classroom / 가정의 놀이문화와 교실의 수업문화를 중심으로 서명석 p. 441-455
성별, 학교적응, 학업수행능력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gender,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분석 김시현 p. 423-440
질문형성기법 적용 수업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창의적 인재 역량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the question formulation technique on the creative leader competency of low-grade elementary students 오승연, 문성환 p. 401-422
중등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교육실습의 효과 =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ing practicum on th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박인심 p. 379-400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군집별 진로체험, 부모진로행동 및 교사의사소통의 차이 = Differences in career experiences, parental career behavior, and teachers' communication attitude by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vocational identity status 김윤희, 조항 p. 357-377
Lasso 벌점회귀모형을 적용한 중학생의 학업열의 관련 변수 탐색 = Exploring variables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using lasso regression 김나영, 황혜영 p. 337-355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업무실행 유형 분류 : Classification of types of work performance by high school career teachers : exploration of school and individual factors and verification of differences in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 학교 및 개인요인 탐색 및 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의 차이 검증 노언경 p. 287-306
대학생의 시간관리행동과 진로준비행동, 취업소진의 관계 =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job search burnout 안이경, 김상규, 김우리, 김민규 p. 271-285
온라인 위키기반 협력학습에서 통합 스케폴딩이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integrated scaffold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online wiki-based learning 송홍준 p. 255-270
교사용 일 중요성 척도의 학교급간 측정동등성 검증 및 차이 분석 : Measurement equivalence of the work mattering scale for teachers : focusing on job satisfaction and burn out / 직무만족과 소진을 중심으로 정애경, 함은혜 p. 233-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