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충북 민주지산 물들메나무 분포 및 군락구조 특성 = Characteristics of Fraxinus chiisanensis dist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Mt. Minjuji on Chungcheongbuk-do / 최동석 ; 안지영 ; 오충현 1
요약 1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1. 연구대상지 3
2. 조사 및 분석 방법 4
결과 및 고찰 4
1. 조사지 개황 4
2. 상대우점치 분석 5
3. 흉고직경급별 분석 6
4. 종다양도 분석 9
5. 연륜 및 생장량 분석 10
6. 유사도 분석 10
7. 연구결과 종합 11
REFERENCES 11
본 연구는 충청북도 민주지산의 물들메나무 분포 및 식물군락구조 특성을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민주지산 내 8개의 조사구(단위면적 400㎡)를 설치하여 물들메나무 우점군락을 조사하였다. 상대우점치는 8개 군락 모두 물들메나무 (35.19%; 26.07~42.74%)가 우점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흉고직경급별 분석 결과 물들메 나무는 2~43㎝까지 비교적 다양한 직경급으로 생육하고 있으며, 개체수가 많아 교란이나 급격한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 지 않는다면 지속적으로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종다양도(H’)는 0.8498~1.0261, 균재도(J’)는 0.8160~0.9256, 우점도(D)는 0.0789~0.1840, 최대종다양도(H’max)는 1.0414~1.2041로 분석되었다. 물들메나무의 연륜 및 생장량 분석 결과 평균 29.1년(22~58년)의 수령을 보였으며, 연평균 생장량은 군락 G가 5.84㎜로 가장 높았으며, 군락 B가 2.80㎜로 가장 낮았다. 유사도 분석 결과 군락 B와 E, 군락 C와 F, H 간의 유사도지수가 69.0%로 가장 높았으며, 군락 E와 F 간의 유사도지수가 29.6%로 가장 낮았다. 연구대상인 물들메나무군락지는 분포지가 매우 협소하고, 개체군 크기가 작아 산림유전자원보호지역으로 보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Fraxinus chiisanensis in Mt.Minjuji of Chungcheongbuk-do by setting up and surveying 8 plots (400 m² each). Mean Importance Value (MIV) of Fraxinus chiisanensis in 8 plots was 35.19% in average (ranging from 26.07~42.74%). Since it is the dominant species in all plots, it is expected to maintain the present vegetation structure. The analysis of the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showed that the diameter of Fraxinus chiisanensis in Mt.Minjuji ranges from 2 to 43㎝. The majority of Fraxinus chiisanensis is expected to maintain current state unless disturbance or rapid environmental change occurs. The Species Diversity (H’) was 0.8498~1.0261, Evenness (J’) was 0.8160~0.9256, Dominance Index (D) was 0.0789~0.1840, Maximum Diversity (H’max) was 1.0414~1.2041. The analysis of annual ring and radial growth showed that the average age of Fraxinus chiisanensis in Mt.Minjuji was 29.1years(ranging from 22~58years). The average annual radial growth of Fraxinus chiisanensis was the highest in community G with 5.84㎜ and the lowest in community B with 2.80㎜. The similarity index analysis revealed that the similarity index between community B and E, C and F, H was the highest with 69.0%, and the similarity index between community E and F was the lowest with 29.6%. Both the area of Fraxinus chiisanensis community of Mt.Minjuji and its population size are very small. Therefore, this area needs to be designated as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