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 유아의 실행기능을 통한 어머니 놀이참여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relation between a mother's attitude toward a child's expressiveness and a child's emotional regulation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 child's executive functioning and a mother's play participation / 오지현 ; 홍혜미 1

ABSTRACT 1

I. 서론 2

II. 연구방법 6

1. 연구대상 6

2. 측정도구 6

3. 연구절차 7

4. 자료분석 7

III. 결과 및 해석 8

1. 기술통계 및 변인 간 상관관계 8

2. 단순매개효과 검증 8

3. 조절효과 검증 9

4.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11

IV. 논의 및 결론 12

Reference 15

[요약] 23

초록보기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실행기능을 매개로 하여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간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절된 매개모형을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만 4, 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41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의 모델 4, 1, 7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관계에서 유아의 실행기능의 매개효과와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 유아의 실행기능 간 관계에서 어머니 놀이참여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표현수용태도는 유아의 실행기능 수준이 높아지고 정서조절 능력 또한 향상되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며 이러한 간접효과를 어머니의 놀이참여도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적극적인 놀이참여가 유아의 실행기능과 정서조절능력과 연관성이 높은 환경적 요인임을 시사하는 바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슈퍼비전 스타일과 상담자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군집별 슈퍼비전 만족도의 차이 =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based on supervisory styles and counselor self-efficacy 신경원, 이영애 p. 271-293

보기
놀이치료자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성향, 놀이성이 치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lay therapist’s empathetic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ies, and playability o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황세영, 노남숙 p. 295-312

보기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공격성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ggress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이진주, 김리진 p. 313-333

보기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 The relation between a mother’s attitude toward a child’s expressiveness and a child’s emotional regulation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 child’s executive functioning and a mother’s play participation / 유아의 실행기능을 통한 어머니 놀이참여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오지현, 홍혜미 p. 335-357

보기
애착문제 유아의 놀이치료 과정에서의 놀이주제 분석 = An analysis of play theme in the play therapy process of preschool child with attachment problems 유민화 p. 359-377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