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한국에서 주민들의 빈곤 및 복지 인식이 사회적경제 참여 여부 및 참여빈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한다 .한국의 지역주민 1,900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빈곤과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경제 참여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빈곤이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구조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사회적경제에 참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국의 사회적경제 참여자는 돌봄, 보육, 건강보험 등의 영역에서는 보편적 복지정책을 지지하지만,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복지정책보다는 필요한 취약계층에 대한 선별적 지원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형성하는 지역주민의 빈곤 및 복지 책임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는 것은 미래 복지정책의 올바른 역할 분담을 위한 중요한 연구주제이며, 향후 사회적경제 확대를 통한 복지공급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지닌다.

Under what values and purposes do citizens participate in the social economy? This study analyzed how perceptions of poverty and welfare policies influence participation in the social economy in Korea. This study was based on tsurvey data conducted on 1,900 respondents in Korea. First,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people who believe poverty is a result of social structure, rather than an individual’s actions, participate in the social economy. Second, it confirmed that participants in the Korean social economy generally support universal welfare policies in areas such as childcare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but only advocate the selective provision of welfare for the vulnerable rather than for the entire population. Understanding citizens' perception on poverty and welfare allocation is an important research task for developing a fair system of providing future welfare programs and forming a healthy social economy ecosyste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double bottom line in a government-led system : 정부 주도 체제의 사회적경제 생태계와 사회·경제적 성과(DBL)에 대한 연구 : 한국의 사회적경제 조직을 사례로 / the South Korean social economy Alan Brown, Shin, Woo-Jin, Kim, Ju-Jin p. 1-28

빈곤 및 복지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경제 참여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erception towards poverty and welfare policies on social economy participation 한상일, 조인영 p. 1-29

사회정책의 경제적 가치 추정 : Economic value estimation for social policies : a case study of homicide prevention policy / 살인범죄 예방정책 사례연구 김용주 p. 1-26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실현을 위한 거버넌스에 대한 탐색적 연구 = Exploring governance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the time of COVID-19 우창빈 p. 1-32

지역사회 통합돌봄에서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 Medical social cooperatives in community care : the case of Seongbuk-gu / 성북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남춘호, 김정석 p. 1-33

새마을운동 관련 사회적 이슈 탐색과 의미에 관한 연구 : Exploration of the social issues related to Saemaul undong, and the meaning : focusing on LDA topic analysis of news big data / 뉴스 빅데이터의 LDA기반 토픽분석을 중심으로 김선영 p. 1-28
인구 노령화 시대 노후 생활의 만족도와 중요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old life in the age of population aging : focusing on Anhui Province, China / 중국 안후이성을 중심으로 Xu Mengxing p. 1-35
새마을운동과 농민의 전략적 선택 = Saemaul Undong and the strategic choice of farmers 안지민 p. 1-26
시니어의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관한 구조적 영향 관계 분석 :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seniors' Internet service use : focused on online shopping and financial transactions / 온라인쇼핑, 금융거래를 중심으로 최순화 p. 1-22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병욱, 이준우. (2020). 현대사회적경제의 기원에 대한 시론: Karl Polanyi의경제사상으로부터. 「사회적가치와 기업연구」. 13(2): 151-171. 미소장
2 김기태.(2018). 지역단위 사회적경제 거버넌스의 의미와 추진방향 . 「협동조합네트워크」. 75: 215-228. 미소장
3 김신양.(2016). 제 1장 사회적경제의 의미와 관점. 김신양,신명호,김기섭,김정원, 황덕순, 박승옥, 노대명. (2016). 「한국 사회적경제의 역사 : 이론의 모색과 경험의 성찰」.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4 김영한.(1986). John Bellers와 그의 유토피아 . 「역사학보」. 109: 175-202. 미소장
5 김정원, 남궁명희.(2021). 한국의 돌봄사회서비스와 사회적경제 공급장의 : 성격과 사회적경제의 대응을 중심으로 한 고찰 . 「경제와사회」 . 131:279-316. 미소장
6 김주환.(2016). 한국에서 사회적기업과 신자유주의 통치 사회적인 : 것의 통치메커니즘을 중심으로 . 「경제와 사회」 . 110: 164-200. 미소장
7 신유정.(2020). 사회적경제기업에서의 ’주인되기 (ownership)’ 실천과 참여의 이데올로기 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 오너파트너십 사례 연구. 「경제와 사회 」. 127: 170-202. 미소장
8 엄한진, 권종희.(2014). 대안운동으로서의강원지역 사회적경제 연대의 : ‘ 경제’론을 중심으로 . 「경제와 사회 」. 104: 358-392. 미소장
9 안상훈, 조영민.(2022). 사회계층이 사회적경제 지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12(1): 31-57. 미소장
10 유현종, 정무권.(2020). 한국사회적경제 거버넌스와 지역발전 . 「지역발전연구」. 27(2): 33-82. 미소장
11 이보경.(2021). 사회적 경제조직 참여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신뢰와 : 참여의 인과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2 이은선, 이현지.(2017). 사회적경제의 개념과 발전, 제도화 : 폴라니의 이중적운동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8(1): 109-138. 미소장
13 장원봉 .(2006). ’ 사회적경제의 의미와 발전과제 ’ . 「도시와 빈곤」. 80: 92-115. 미소장
14 전지훈, 강현철 .(2015). 지역기반 사회적경제를 위한 이론적 기반의 탐색적 연구 공동체주의 : (Communitarian) 사상을 중심으로 . 「지역과 세계」. 39(1): 201-238. 미소장
15 정무권.(2020). 복지국가의 미래와 사회적경제의 새로운 역할 지역공동체 : 복지레짐의 형성 . 「지역발전연구」. 29(3): 191-249. 미소장
16 조극래, 김동영 .(2003). 19세기 유토피아 사상가들의 이상적 거뮤니티 이론에관한 연구 .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14(6): 105-114. 미소장
17 최예나.(2019).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경제조직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민주주의 : 인식도와 제도적 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9(2): 1-32. 미소장
18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2020). 2020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구축 지원사업공통조사 종합보고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 . 미소장
19 한상일, 권소일.(2019). 사회적 기업 인지도와 사회적 자본의 사회적기업 신뢰에 대한 효과분석 .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9(2): 22-55. 미소장
20 한상일, 박주희, 유한나.(2021). 자원봉사와 사회적경제조직 참여에 대한 실증적 분석 공동체 : 의식의 매개효과 .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11(4). 미소장
21 한정혜 .(1970). 오웬의 사상이 영국초기 협동조합에 미친 영향 . 「사회학연구」. 8: 53-64. 미소장
22 홍미나, 김태은, 전선영.(2022). 사회적경제 소비경험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생협과 로컬푸드마켓 이용여부를 중심으로 .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12(1): 95-120 미소장
23 Bellers, J.(1696). Proposals for Raising a College of Industry. London: T. Sowle. 미소장
24 Castillo, J., & Becerra, D.(2012). The Perception of Poverty and Social Welfare Policies amo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Social Work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22: 375-391. 미소장
25 Jeantet, T. (2019). 「프랑스의 사회적경제 효율성에 : 도전하는 연대」. ( 편혜원 옮김). (재) 아이쿱 협동조합 연구소 . (원서출판 2016). 미소장
26 Mill, J. S. (1848).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with Some of their Applications to Social Philosophy. London: Longmans. 미소장
27 Moulaert, F., & MacCallum, D.(2019). Advanced Introduction to Social Innovation. Cheltenham, UK: Edward Elgar Publishing. 미소장
28 Mulgan, G.(2019). Social Innovation: How Societies Find the Power to Change. Bristol: Policy Press. 미소장
29 Osborne, S. P.(2010). The New Public Governance? Emerging Perspectives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Public Governance. New York: Routledge. 미소장
30 Pestoff, V.(2008). A Democratic Architecture for the Welfare State, London & New York: Routledg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