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소양을 기르기 위한 내용체계 개발 = Development of the content framework for elementary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education / 정영식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2

2. 이론적 배경 2

2.1. 국내 AI 교육의 내용체계 2

2.2. 국외 AI 교육의 내용체계 3

3. 연구 방법 및 절차 3

4. 연구결과 4

4.1. 내용 영역의 적절성 4

4.2. 성취기준의 적절성 5

4. 결론 및 제언 8

참고문헌 9

저자소개 10

초록보기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인공지능 교육이 초등교육에서 필수화됨에 따라 초등학생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인공지능 소양을 기르기 위한 내용체계표를 개발하였다. 인공지능 교육 영역을 크게 인공지능 이해와 인공지능 개발로 구분하였고, 세부 영역을 인공지능 활용, 인공지능 영향, 인공지능 윤리, 인공지능 인식, 데이터 탐색, 데이터 표현, 인공지능 예측 등 8가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영역별로 주제 요소와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그것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하였다. 인공지능 교육 내용체계표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후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향후 인공지능 교육이 초등학교에서 확대되려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공지능 교육 내용체계에 따라 교재와 교구를 개발하고, 그것을 학교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업 시수를 확보해야 하며, 학교 현장에 적용하면서 발생된 문제점을 수정․보완하는 등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융합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알고리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lgorithm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convergent thinking skills 박해영, 전우천 p. 295-305

보기
예비 초등교사의 확장현실 교육 및 현장 적용 사례 연구 = Case study of extended reality education and field applic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조정희, 홍갑주 p. 307-315

보기
2015 개정 교육과정 실과교과서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 삽화 분석 = Analysis of illustration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actical textbook 'software education' 이재호, 전상일 p. 317-325

보기
대학 SW 교양수업의 놀이학습 적용방안 탐색 :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playful learning in SW liberal education to enhance learning motivation : focusing on non-CS students / 학습동기 제고를 위한 비전공자 수업을 중심으로 곽소아, 백재순, 유수진 p. 327-340

보기
초등학생의 디지털·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 교수·학습 전략 개발 = Development of digital and AI teaching-learning strategie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for enhancing digital literacy and AI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홍지연, 김영식 p. 341-352

보기
인공지능 스토리텔링 교육 프로그램이 학습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torytelling education program on the learning flow 김진관, 한규정 p. 353-360

보기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의 가능성 분석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block-based programming courses for visual impairments 양은봉, 김자미, 이원규 p. 361-374

보기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소양을 기르기 위한 내용체계 개발 = Development of the content framework for elementary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education 정영식 p. 375-384

보기
국가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 탐색 및 시사점 분석 = Implication analysis through exploring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by country 이영호 p. 385-396

보기
키워드 분석을 활용한 인공지능 교육 정책의 시사점 연구 = A study on implications of AI education policy using keyword analysis 이재호, 정홍원 p. 397-406

보기
초등 환경교육에서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활용 방법 = Methods to use AI program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이용배 p. 407-416

보기
데이터 과학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ata science education instructional model 김봉철, 김봄솔, 김종훈 p. 417-425

보기
초등 교사의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인식 :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digital textbooks through analysis of perception of digital competence and experience in using digital textbooks /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과 디지털 교과서 활용 경험을 중심으로 서수현, 정혜승, 노들 p. 427-437

보기
LDA기반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공공데이터 기반의 교육용 데이터마이닝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data mining for public data portal through topic modeling method wit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신승기 p. 439-448

보기
AI교육을 위한 초등 디지털 문화 교육과정 개발 = Development of K-12 digital culture curriculum for AI edcuation 신수범, 한정혜 p. 449-455

보기
2022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시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 A critical analysis of the draft proposal of 2022 revised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정영식 p. 457-465

보기
주제어 토픽모델링을 통한 IT 인문학 개념의 정립 = Conceptualization of IT humanities through keyword topic modeling 최영미, 박남제 p. 467-48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