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고는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란 무엇인지, 또 어떠한 조건 하에서 이와 같은 노동운동이 구체화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로 불리는 개념은 1970년~80년대에 논의되었던 ‘신사회운동론’에 대한 일종의 반명제로 규정할 수 있다. ‘신사회운동론’의 입장에 의하면, ‘낡은 사회운동’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온 노동운동은―적어도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선진제국에 있어서는―노사관계 제도 및 정치체제 안으로 편입되어 체제내화됨으로써 사회운동 주체로서의 존재감도 약했을 뿐만 아니라 그 기능도 발휘하지 못했다. 반면에 1960년대 후반 이후, 환경, 젠더, 소수민족, 커뮤니티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신사회운동’이 새로운 중간계급(new middle class)을 지지 기반으로 하여 활성화되면서 사회운동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에 이르렀다.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는 이와 같은 ‘신사회운동’의 흐름에 대한 저항으로서 오히려 노동조합의 ‘재사회운동화’를 의미한다. 즉 노동조합은 지금까지의 경제적 영역을 중심으로 하는 활동 범위의 한계에 직면했기 때문에, 스스로의 조직을 재활성화하기 위해 사회적 영역으로까지 그 활동 범위를 확대하고자 하는 운동으로 환언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social movement unionism’ is and under what conditions such a labor movement can be materialized. The concept called 'social movement unionism' can be defined as a kind of counter-proposition to the 'new social movement theory' discussed in the 1970s and 1980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New Social Movement', the labor movement, which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old social movement' - at least in the advanced countries after World War II - was incorporated into the industrial relations system and political system and internalized the system. As a result, it not only weakened its presence as a social movement subject, but also failed to exert its func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ate 1960s, the 'New Social Movement', which aims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environment, gender, ethnic minority, and community, was activated based on the support of the new middle class, and became the center of the social movement. came to play a role. ‘Social movement trade unionism’ refers to the ‘resocial movement’ of trade unions as resistance to the flow of such a ‘new social movement’. In other words, since the union has faced the limit of the scope of its activities centered on the economic sphere so far, it can be translated into a movement to expand its scope of activity to the social sphere in order to revitalize its own organiz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불확실한 수요와 사회후생 = Uncertain demand and social welfare 김승렬 p. 1-7

(A) study on PBL-based innovative healthcare data science specialized education Park, Hwa-Gyoo p. 8-20

K-POP 챌린지 쇼트 클립 영상 속성이 시청자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K-POP challenge short clip video attributes on viewe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다이이원, 장유진, 임성준 p. 21-44

제주 산업 생태계의 디지털 전환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Jeju Island industrial ecosystem 강언비, 황혜원, 김아름, 전정환 p. 45-56

SWOT-AHP 분석을 이용한 강원도 전통음식점의 발전전략 = Development strategies of traditional restaurants in Gangwon-do using SWOT-AHP analysis 정은숙, 김동수 p. 57-66

커피전문점 스마트오더의 서비스품질이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coffee shop smart order on user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태호, 이명철, 김성수 p. 67-77

여행사 서비스교육 성과의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ffected variables service education performance in travel agency 김미정, 이연우 p. 78-91

팀 양면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eam ambidexterity on team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s of team-member exchange / 팀 교환관계의 조절효과 이희옥, 정동섭 p. 92-100

기업의 ESG 경영이 소비자의 사회적 가치, 만족 및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SG activities on social value, satisfaction, and recommend intention : focus on Jeju Samdasoo / 제주삼다수를 중심으로 배두환, 이은경, 이상묵 p. 101-111

피부미용업의 서비스 품질과 전환 장벽 및 고객충성도 간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transition barriers and customer loyalty in the skin care industry 김설아, 김민수 p. 112-123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로 본 포용성 전략으로서의 지역 내 노동운동과 사회운동 간의 전략적 통섭 = The intra-regional strategic consilience between labor and social movements as an inclusive strategy from 'the social movement unionism' 양준호 p. 124-134

혁신도시 연계 지역생태계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activation plan of regional ecosystem for inno-city association : focused on Busan·Ulsan·Gyeongnam inno-city / 부산·울산·경남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김태영, 오승환, 이정숙, 윤용일, 전정환 p. 135-150

RMR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레스토랑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RMR selection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staurant visit intention 신영송, 김동수 p. 151-161

신환경 패러다임을 적용한 지역주민의 생태환경인식(NEP)이 관광지의 지지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new environmental paradigm (NEP) of local residents applying the new environment paradigm on support and visit intention of tourist destinations : focusing on residents of Sichuan Province, China / 중국 쓰촨성 주민을 중심으로 이흔우, 이상묵 p. 162-171

헬스장 서비스 품질이 운동 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o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in fitness center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exercise purpose / 운동 목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주형, 배금광 p. 172-185

기업 미래 예측(Corporate Foresight)의 성공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corporate foresight : based on the case of Korea material companies / 국내 소재 기업 사례를 바탕으로 권은주, 박영일 p. 186-192

편의점 PB 간편식 상품의 선택속성이 브랜드 애착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s of convenience store private brands HMR product 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김현영 p. 193-203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공배달앱 인식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ublic delivery app using big data analysis : focused on text-mining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중심으로 박병현, 남장현, 김영국 p. 204-217

레스토랑의 비대면 서비스 사용성이 브랜드 만족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non-face-to-face service usability in restaurants on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 focusing on senior consumers / 시니어 소비자를 중심으로 임한웅, 배인호 p. 218-228

배달 앱의 소비자 특성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of delivery apps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rice benefits / 가격 혜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성수, 이명철, 최태호 p. 229-239

레스토랑 메뉴 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restaurant menu performance analysis 김광지, 전재균 p. 240-254

중소기업 생태계의 역동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점 : Policy suggestions to enhance the SME ecosystem : focusing on the entry stage / 진입과 퇴출을 중심으로 권재현 p. 255-268

외식기업의 키오스크 특성이 고객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s of kiosk characteristic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of food service companies 고미애, 이동근 p. 269-281

편의점 HMR 제품 선택속성이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nvenience store HMR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are related to brand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이동근, 장우연 p. 282-293

MZ 세대 여성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SNS 정보 품질이 레스토랑 이미지와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NS information quality on restaurant image, and visit intention : focus on women consumers of MZ generation 이정탁, 오명진 p. 294-305

패밀리레스토랑의 체험마케팅이 즐거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family restaurant on pleasure and revisit intention : based on S-O-R model / S-O-R 모델을 기반으로 오명진, 이정탁 p. 306-317

디저트카페의 선택속성 중요도에 따른 경험가치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experiential value on customer loyalty based on selection attributes importance of dessert cafe 장상준 p. 318-329

유튜브 맛집 리뷰 영상 속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YouTube Majib review video attributes on behavioral intention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para-social interaction of YouTube influencer /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의사인간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성진, 양동휘 p. 330-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