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석우(2015). 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학지사 2판. | 미소장 |
2 | 김성숙, 박은아, 서민희(2014). 고등학교 성취평가에서의 고정분할점수와 수준설정방법 적용 결과의비교 분석. 교육평가연구, 27(1), 1-22. | 미소장 |
3 | 김성숙, 박찬호, 김미경, 김창환(2018). 문항구성 모의실험을 통한 온라인 학업성취도 평가 시스템 분할점수 자동설정 방안 탐색. 교육평가연구, 31(3), 631-651. | 미소장 |
4 | 김희진, 서종진, 표용수(2011). 대학 입학예정자를 위한 기초수학 수준별 학습지도 방안.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343-358. | 미소장 |
5 | 정미강, 양유정(2016). 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 참여자의 인식과 요구. 교육문화연구, 22(2), 101-126. | 미소장 |
6 | 이상우, 박기범(2019). 대학생의 특성과 학업 중도 탈락의 상관성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1), 1185-1210. | 미소장 |
7 | 이선경, 지은림(2017). Rasch 방법과 Extended-Angoff 방법을 적용한 인성검사 준거설정 비교 연구. 교육평가연구, 30(4), 761-789. | 미소장 |
8 | 이종승(2016). 현대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6판. | 미소장 |
9 | 임이랑, 오인수(2016).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학습역량, 환경/지지 요인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17(4), 285-309. | 미소장 |
10 | 임의진, 전희성, 이용원(2019). 유럽 언어 공통기준 연계를 통한 영어 독해 시험의 수준설정: 수정된앙고프 방법과 북마크 방법 비교. 교육평가연구, 32(3), 523-548. | 미소장 |
11 | 장윤선, 성태제(2009). 문항반응이론에 기초한 준거설정 방법 비교. 교육평가연구, 22(3), 659-680. | 미소장 |
12 | 황정규 외(2017). 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학지사 2판. | 미소장 |
13 | Cizek, G.J., & Bunch, M.B. (2006) Standard setting: A guide to establishing and evaluating performance standards on test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c. | 미소장 |
14 | Hambleton, R. K., Swaminnthan, H., Jane Rogers, H. (1991). Fundamentals of item response theory.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c.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