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인경, 김춘경 (2015). 청소년의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교육심리연구, 30(2), 411-428. | 미소장 |
2 | 강영하 (2012). 초등학생의 학교행복감 구성요인 탐색. 초등상담연구, 11(2), 219-235. | 미소장 |
3 | 고영남 (2008). 중학생의 부 애착, 모 애착, 또래 애착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15(2), 111-131. | 미소장 |
4 | 구재선, 서은국 (2016). 주관적 안녕감과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2), 183-202. | 미소장 |
5 | 권재기, 양명희 (2014).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행복감 프로파일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20(3), 201-227. | 미소장 |
6 | 김경호, 최용호 (2021). 고등학교 진학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방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6(8), 173-180. | 미소장 |
7 | 김명소, 임지영 (2003). 대학생의 바람직한 삶 구성요인 중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1), 83-97. | 미소장 |
8 | 김미옥 (2015). 부정적 자동적사고와 발표불안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7(3), 361-373. | 미소장 |
9 | 김성앙, 조규판 (2018). 여고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1), 455-472. | 미소장 |
10 | 김영수, 윤수인, 이홍직 (2019). 건강요인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14(3), 367-378. | 미소장 |
11 | 김은영 (2019).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회복탄력성 및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김종백, 김태은 (2008). 학교행복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2(1), 259-279. | 미소장 |
13 | 김정연, 정현주 (2008). 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리뷰, 13, 171-190. | 미소장 |
14 | 김지영, 이형실 (2010). 청소년의 가족 및 또래요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2(1), 21-32. | 미소장 |
15 | 김진미, 차성현 (2014). 중학생이 느끼는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특성 탐색. 한국교육, 41(4), 103-122. | 미소장 |
16 | 김택호 (2004). 청소년의 탄력성 과정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5(3), 743-772. | 미소장 |
17 | 김호영, 박철웅 (2007). 중소도시 청소년의 진로성숙 및 자아개념이 지각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9(2), 43-58. | 미소장 |
18 | 김희연, 탁하연 (2020). 학교급별 학생의 개인변인, 가정변인, 학교변인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영향. 청소년학연구, 27(7), 23-45. | 미소장 |
19 | 김희정, 송인섭 (2013). 중고등학생의 교사-학생관계, 학습동기변인, 학습몰입간의 관계 모형 검증. 교육심리연구, 27(2), 409-429. | 미소장 |
20 | 김희중 (2007). 긍정심리와 주관적 행복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1 | 모상현, 이중섭 (2012).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탐색: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가족관계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홀리스틱교육연구, 16(3), 23-40. | 미소장 |
22 | 박선향 (2019). 일반고 고등학생의 행복감 구조모형.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박용효, 윤지환 (2013). 초·중·고등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인식 변화의 연도별 추이 및 국가수준영어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영어교육연구, 25, 279-302. | 미소장 |
24 | 박종일, 박찬웅, 서효종, 염유식 (2010).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연구와 국제비교. 한국사회학, 44(2), 121-154. | 미소장 |
25 | 박지영 (2010). 남녀중학생의 스트레스, 분노, 대처행동과 또래괴롭힘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배희분, 서주현, 김효선 (2017). 고3시기 부모의 정서적·물리적 지원이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및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3(6), 229-249. | 미소장 |
27 | 백승원, 윤채영 (2020).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진로성숙도, 학교행복감 간 종단적 관계. 열린교육연구, 28(3), 187-210. | 미소장 |
28 | 서민경, 조현경, 김재철 (2021). 중학생의 학교행복감 변화궤적과 영향요인 탐색. 청소년학연구, 28(1), 391-416. | 미소장 |
29 | 서재욱, 정윤태 (2014). 개인능력, 가족환경, 학교환경 변인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영향력 비교. 청소년학연구, 21(8), 265-292. | 미소장 |
30 | 성은모, 김균희 (2013).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환경특성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 24(4), 177-202. | 미소장 |
31 | 송경오 (2011). 학생 개인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 탐색. 한국교육, 38(4), 39-64. | 미소장 |
32 | 송종화 (2006).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의 입시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낙관성 및 비관성이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3 | 신지은, 최혜원, 서은국, 구재선 (2013). 행복한 청소년은 좋은 시민이 되는가? 긍정정서와 친사회적 가치관 및 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7(3), 1-21. | 미소장 |
34 | 신현균 (2002). 청소년의 학업 부담감, 부정적 정서, 감정표현 불능증 및 지각된 부모양육행동과신체하 증상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1), 171-187. | 미소장 |
35 | 염유식 (2019). 한국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국제비교연구조사결과보고서. 한국방정환재단,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 미소장 |
36 | 이강진, 임정기 (2020). 청소년의 사회자본과 행복감의 발달궤적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65, 75-106. | 미소장 |
37 | 이명곤 (2011). 행복의 개별적·사회적 조건에 관한 역사적 고찰, 철학·사상·문화, 11, 102-126. | 미소장 |
38 | 이보영, 성윤희, 김은영 (2020). 중학교와 고등학교 재학 당시 학교적응, 진로성숙도, 학업성취가고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1(6). 1565-1577. | 미소장 |
39 | 이수연 (2010). 대학생의 행복 척도 개발 및 구인 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7(2), 107-122. | 미소장 |
40 | 이숙영 (2012).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학교적응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정신건강의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9(11), 117-145. | 미소장 |
41 | 이정민, 방현구, 정혜원 (2017).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관계. 열린교육연구, 25(2), 89-112. | 미소장 |
42 | 이재연, 이재창 (2015).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갈등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5), 191-208. | 미소장 |
43 | 이진령, 강승희 (2021).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학교행복감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종단매개 효과. 교육혁신연구, 31(4), 175-195. | 미소장 |
44 | 장희선 (2021).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행복 발달궤적과 시점별 예측효과 검증. 2021 KRIVET 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161-182. | 미소장 |
45 | 전성숙, 조경진 (2019). 학교유형별 비교에 따른 고등학교 남학생의 학교행복감,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10(6), 783-797. | 미소장 |
46 | 정희선, 안도희 (2022).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배려와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1(5), 205-230. | 미소장 |
47 | 조동국 (2014). 고등학생의 학교행복감과 학교적응의 관계.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8 | 조진만, 강정한, 이병규 (2012). 가족구조와 친구연결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논집, 43(1), 47-71. | 미소장 |
49 | 주지선, 이성원 (2019). 고3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학교 및 가정요인을 중심으로. 2019 KRIVET 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 미소장 |
50 | 한혜림, 이지민 (2018).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잠재성장모형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1), 103-117. | 미소장 |
51 | 함경애, 박현주 (2017).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통한 진로성숙도와 행복의 관계에서 성별 차이 분석: 교차-지연 패널모형 중심으로. 교육치료연구, 9(3), 457-476. | 미소장 |
52 | 허승연 (2009).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3 | 허유성, 최지영, 남창우 (2011). 행복한 저성취 학생관련 교실수준 변인에 관한 탐색. 아동교육, 20(4), 109-126. | 미소장 |
54 | 홍성효, 성윤숙 (2021). 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도 결정요인 실증분석. 청소년학연구, 28(7), 29-47. | 미소장 |
55 | 황수영, 윤미선 (2018). 청소년의 공감, 친사회적 행동, 학교행복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학연구, 24(1), 173-197. | 미소장 |
56 | Bandura A. (1977). Self 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 미소장 |
57 | Baumeister, R.F., Campbell, J.D., Krueger, J.I. & Vohs, K.D. (2003). Does high self-esteem cause better performance, interpersonal success, happiness, or healthier lifestyles?.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4(1), 1-44. | 미소장 |
58 |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letin 95, 542-575 | 미소장 |
59 | Diener, E. (1996). Traits can be powerful, but are not enough:Lessons from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0, 389-399 | 미소장 |
60 | Diener, E., & Ryan, K. (2009). Subjective well-being: A general overview. South African Journal of Psychology 39(4), 391-406. | 미소장 |
61 | Donnellan, M.B., Trzesniewski, K.H., & Robins, R.W. (2011). Self-esteem: Enduring issues and controversies, In T. Chamorro-Premuzic, S. von Stumm, & A. Furnham(Eds.). The wiley-blackwell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pp.718-746), Wiley-Blackwell. | 미소장 |
62 | Farruggia, S.P, Chen, C., Greenberger, E., Dmitrieva, J., & Macek, P. (2004). Adolescent self-esteem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Testing measurement equivalence and mediation model.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5(6), 719-733. | 미소장 |
63 | Helliwell, J.F., Richard L., Jeffrey, S., & Jan-Emmanual, D.N, eds (2021). The World Happiness Report 2021. New York: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https://worldhappiness.report/ | 미소장 |
64 | Holder, M.D, & Klassen, A. (2010). Temperament and happiness in children.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1, 419-439. | 미소장 |
65 | Huebner, E.S. (1991).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in children. School Psychology Quarterly 6, 103-111. | 미소장 |
66 | Kline R.B. (2016).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4th ed.)). New York, NY:Guilford Press. | 미소장 |
67 |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6), 803-855. | 미소장 |
68 | Perry, J.C., Liu, X., & Pabian, Y. (2010). School engagement as a mediator of academic performance among urban youth: The role of career preparation, parental career support, and teacher support.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8(2), 269-295. | 미소장 |
69 | Piko, B. F., & Hamvai, C. (2010). Parent, school and peer-related correlates of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s, 32(10), 1479-1482. | 미소장 |
70 | Rogenberg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71 | Swann, W.B.Jr, Chang-Schneider, C,, & Larsen McCarty, K. (2007). Do people’s self-views matter? self-concept and self-esteem in everyday life. American Psychologist 62(2), 84-94. | 미소장 |
72 | Uusitalo-Malmivaara, L. (2014). Happiness decreases during early adolescence-a study on 12-and-15-year-old Finnesh students. Psychology 5, 541-555. | 미소장 |
73 | Veenhoven, R. (1994). Is happiness a trait? Test of the theory that a better society does not make people and happier. Social Indicators Research 32(2), 101-16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