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혜승, 이하나, 정주영(2022).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의 질과 수업만족도가 학습몰입을 매개로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3), 87-95. | 미소장 |
2 | 고서연(2021). 코로나19 팬데믹 교육격차에 따른 각국의 기초학력 지원 정책과 서울교육에의 시사점. 서울교육, 243호, https://webzine-serii.re.kr/ | 미소장 |
3 | 계보경, 김혜숙, 이용상, 김상운, 손정은, 백송이(2020). COVID-19에 따른 초·중등학교 원격교육경험 및 인식 분석: 기초 통계 결과를 중심으로.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미소장 |
4 | 권성연(2016).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 하위요인이 지각된 토론효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2(1), 1-29. | 미소장 |
5 | 국민권익위원회(2020.5.14.). ‘온라인 개학’ 학부모 만족도 학년별로 큰 차이. | 미소장 |
6 | 김경근, 심재휘, 임혜정(2022). 코로나19를 전후한 고등학생 수학 성취도 변화: 실태 및 영향요인. 교육과정평가연구, 25(4), 63-88. | 미소장 |
7 | 김동심, 이영선(2018). 대학생과 일반인의 MOOC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시스템품질 및 만족도에대한 차이 분석. 평생학습사회, 14(2), 83-103. | 미소장 |
8 | 김동화, 조영재(2004). 수학 교수·학습태도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수준에 관한 분석: 중학교 1학년중심으로. 교육이론과 실천, 14(1), 115-132. | 미소장 |
9 | 김소희, 한정선(2007).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성격유형, 자기주도성,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2), 79-106 | 미소장 |
10 | 김수연, 신나민(2019). 동영상 강의 중 딴짓과 몰입의 세대 간 비교.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5(2), 273-298. | 미소장 |
11 | 김수진(2022).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실습의 수업내용, 상호작용, 학습환경이 간호대학생의 실습 만족도. 한국웰니스학회, 17(3), 21-27. | 미소장 |
12 | 김영민(2019). 사이버대학의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e-비즈니스연구, 20(1), 199-216. | 미소장 |
13 | 김영민, 박기훈(2018). e-Learning에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습성과의 관계. e-비즈니스연구, 19(3), 99-115. | 미소장 |
14 | 김용석(2020). 수학수업 태도, 분위기, 만족도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34(4), 525–544. | 미소장 |
15 | 김정주(2009). 원격고등교육기관에서의 사회적 실재감 측정도구 개발.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 미소장 |
16 | 김혜나, 손동현(2021). 온라인 협동학습에서 학습자 간 학업적 상호작용과 사회정서적 상호작용이 학습몰입과 협동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52(4), 27-49. | 미소장 |
17 | 김효원, 최현준, 김누리, 신주은, 신유식, 정미선, 백종민(2020). 코로나19가 교사의 수업, 학생의학습 및 가정생활에 미친 영향 : 중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서울: 서울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 연구소. | 미소장 |
18 | 박경원(2021). 비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지하는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12), 175-181. | 미소장 |
19 | 박지혜, 이영선(2018a). 웹기반 이러닝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3), 215-227. | 미소장 |
20 | 박지혜, 이영선(2018b). 이러닝학습에서 실재감,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매개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23(1), 229-238. | 미소장 |
21 | 변소연, 추성경, 윤혜경(2021). 대학 온라인 튜터링 학습환경에서 교수실재감,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11), 814-825. | 미소장 |
22 | 성은모(2011). 초등학생의 시각화 경향성과 교과 학습태도가 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분석. 초등교육연구, 24(3), 27-50. | 미소장 |
23 | 송윤희(2014).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몰입,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와의 관계. 평생학습사회, 10(2), 105-123. | 미소장 |
24 | 송지준(2013).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경기도: 21세기사. | 미소장 |
25 | 원병관(1997). 영어 학습태도와 동기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영어영문학, 16(1), 171-203. | 미소장 |
26 | 오대영(2020). 대학생의 실시간 원격수업 만족도와 지속수강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10(3), 79-107. | 미소장 |
27 | 이신남(2022). 팬데믹 상황에서 온라인 실습의 디지털 활용능력, 태도와 학습몰입, 만족도의 관계 분석: ERP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11), 225-232. | 미소장 |
28 | 이원기, 홍효석(2015).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학습태도 그리고 학습성취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30(1), 257–276. | 미소장 |
29 | 이정민, 전정아(2019). K-MOOC 대학생 수강자의 인식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7(3), 1-11. | 미소장 |
30 | 이해영, 하지혜, 정혜선(2018).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이 실시간 온라인 한국학 강좌 수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문화학, 15(3), 187-210. | 미소장 |
31 | 장유진, 송지훈(2021).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의 상호작용과 만족도 간 관계 지각된 유용성의조절효과 학습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7(4), 833-860. | 미소장 |
32 | 전영미, 조진숙(2019). 대학생의 K-MOOC 만족도 및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19(11), 80-91. | 미소장 |
33 | 조미경, 김미영(2017).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4), 468-477. | 미소장 |
34 | 조아라, 노석준(2013). 원격대학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몰입, 학습태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29권 제4호, 849-879. | 미소장 |
35 | 조인식(2020). 대학의 원격수업 관련 쟁점과 개선과제. NARS 현안분석, 147. | 미소장 |
36 | 주영주, 강아란, 임유진(2016). 국내 사이버대학생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 분석. 평생학습사회, 12(2), 145-170. | 미소장 |
37 | 주영주, 정애경, 최미란(2016). 원격평생교육 학습자의 목표지향성, 교수실재감, 학습접근방식,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16(2), 137-144. | 미소장 |
38 | 한수연(2021).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이 수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5(5), 177-189. | 미소장 |
39 | 허준(2014).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서울: 한나래출판사. | 미소장 |
40 | 히든그레이스 논문통계팀(2018). 한번에 통과하는 논문: AMOS 구조방정식 활용과 SPSS 고급 분석. 서울: 한빛아카데미. | 미소장 |
41 | Bentley, K. J., Secret, M. C., & Cummings, C. R. (2015). The centrality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in social work.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51, 494-504. | 미소장 |
42 | Borovay, L. A., Shore, B. M., Caccese, C., Yang E., & Hua, O. (2019). Flow, achievement level, and inquiry-based learning.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30(1), 74-106. | 미소장 |
43 | Buil, I., Catalan, S., & Martinez, E. (2019). The influence of flow on learning outcomes: An empirical study on the use of clicker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50(1), 428-439. | 미소장 |
44 | Castro, L. F. (2019). Social presence in an online professional conference. TechTrends, 63, 408-419. | 미소장 |
45 | Kerzic, D., Tomazevic, N., Aristovnik, A., & Umek, L. (2019). Exploring critical factors of the perceived usefulness of blended learning for higher education students. PLoS ONE, Nov, 1-18. | 미소장 |
46 | Mohra, A. T., Holtbrugge, D., & Berg, N. (2012). Learning style preferences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of e-learning.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17(3), 309-322. | 미소장 |
47 | Plante, K., & Asselin, M. E. (2014). Best practices for creating social presence and caring behaviors online.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5(4), 219-224. | 미소장 |
48 | 뉴시스(2020.10.5.). 유은혜 "등교확대, 오전·오후 학년제, 오전·오후반 방식…주말 발표"(종합). https://newsis.com/view/?id=NISX20201005_0001186343&cID=10201&pID=10200 | 미소장 |
49 | 동아일보(2022.6.14.). 고2 국어 ‘보통이상’ 77% → 64%… 더 심해진 ‘코로나 학력저하’.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614/113917429/1 | 미소장 |
50 | 세계일보(2022.4.21.). 교내서 마스크 벗을 수 있을까… 5월부터 달라지는 학교생활은?. https://www.segye.com/newsView/20220421500282?OutUrl=naver | 미소장 |
51 | 세계일보(2022.10.25.). 코로나 기간 美 학생 학력수준 크게 저하. https://www.segye.com/newsView/20221025515383?OutUrl=naver | 미소장 |
52 | 연합뉴스(2022.6.13.). 코로나 학력저하 계속됐다…국영수 기초학력 미달 고교생 증가. https://www.yna.co.kr/view/AKR20220613072600530?input=1195m | 미소장 |
53 | 연합뉴스(2022.9.19.). “코로나19로 기초학력 저하 심화…개별 수준 맞춤 교육 필요”. https://www.yna.co.kr/view/AKR20220919133900005?input=1195m | 미소장 |
54 | 한국일보(2020.4.6.). 대학 온라인 강의 만족도 7% 불과, 학생들 “등록금 돌려달라”.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405155407444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