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2018년부터 시작된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지방 산업도시 지역의 산업구조에 미치는 정책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지역 쇠퇴지역을 사회․경제․물리적 측면에서 활성화시키는 도시재생 정책이다. 기존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대한 정책 효과 연구는 지역주민 만족도 조사, 사업 주변 지가 분석 등으로 수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 산업도시에서 지역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다양성과 산업 특화성의 이론적 기반을 중심으로 도시재생뉴딜사업이 지방 산업도시의 산업 다양성과 산업 특화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을 지방 산업도시 중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으로 구성하고, 분석 단위를 2015년부터 2020년까지로 제시한다. 또한, 성향점수 매칭을 통해 연구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이중차이분석을 실시하여 사업이 투입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간 정책 효과를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지방 산업도시 지역의 산업 다각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특정 부문 산업 특화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지방 산업도시의 도시재생정책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지역 내 산업구조와 연계한 계획 수립, 민간부문의 사업참여 확대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청년의 정치효능감이 사회신뢰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political efficacy of youth generation on social trust and government trust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fairness : 사회공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상우, 김동욱, 김화연 p. 1-32

조직공정성 인식과 조직 내 반응행동(EVLN)에 대한 세대별·시기별 비교연구 =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on r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and EVLN response before and after COVID-19 : 기성세대와 MZ세대 저연차 공무원을 중심으로 조유선, 유란희 p. 33-67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 집행과 적극적 시민의식의 역할 = The role of active citizenship in local governments' implementation of social enterprise support policies : focusing on the 'priority purchase system of social enterprise products by public organizations' : '사회적기업제품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를 중심으로 조연주, 김현준 p. 69-94
지방 산업도시에서 도시재생 뉴딜사업 정책의 정책효과 연구 = The policy effect of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in local industrial cities : focusing on the industrial crisis response special area :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을 중심으로 류경원, 신은진, 박형준 p. 95-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