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온라인교육과정 운영 및 확대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학생 과목 선택권 확대를 목적으로 온라인수업을 운영한 미국 고등학교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에 따라 지난 20년 간 현장 사례를 연구한 문헌을 검색하고, 그중에서 온라인수업 운영과 관련된 학교 맥락들이 구체적으로 기술된 문헌 10편을 최종 선정하였다. 정책구현이론에서 제시하는 상황적, 물리적, 외적, 전문적 맥락을 분석 틀로 삼아 코딩과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학교는 농어산촌이라는 지역적 고립성이 야기하는 학생의 과목 선택권 제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주교육부와 지역 교육구뿐 아니라 대학, 전국적인 학교 간 네트워크, 민간 등에서 제공하는 온라인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농어산촌 지역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생들과 대면으로 상호작용하는 현장조력자 배치, 정규 시간 내 수강 지원, 온・오프라인 학습 지원 시간 마련 등의 선제적 조치를 취하고 있었다. 또한 지역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심화과목을 개설하고 학생의 소통과 참여를 돕기 위한 구조적 지원을 지속하였다. 교육구 또는 학교는 온라인수업의 교수 또는 관리를 전담하는 인력을 배치하여 온라인수업의 중요성을 구성원들에게 인지시키고, 전담인력이 전문성 제고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고 있었다. 현장연구 사례에서 그 어떤 맥락보다 온라인수업을 실천하는 정책행위자들이 지닌 전문성과 헌신,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교육자원의 지원이 교육 경험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우리나라 고교 온라인교육과정 운영 및 확대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실온닷(2023). 교실온닷 소개.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2 교육부(2016). 학생의 꿈과 끼를 키우는 고교 맞춤형 교육 활성화 계획. 교육부 보도자료 별첨 자료. 세종:교육부. 미소장
3 교육부(2017). 고교 교육력 제고 지원 사업. 세종: 교육부. 미소장
4 교육부(2021). 교육부 고교학점제 종합추진 계획 (최종본). 세종: 교육부 고교교육혁신과. 미소장
5 교육부(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2022년 12월 22일 고시). 세종: 교육부. 미소장
6 김남희·김동심(2022). 전문교과 교사의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8(2), 445-469. 미소장
7 김도기·장봉석·정성수·한지원·문영빛·문영진·조진영(2016). 일반고 맞춤형 교육 활성화 방안. 세종: 교육부. 미소장
8 김영은·노은희·배화순·백경선·이광상·임윤진·장근주·전호재(2022). 고교학점제 도입·운영 안내서(연구자료 ORM 2022-43). 충북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9 오은정(2022년 10월 17일). 농촌 학교, 고교학점제는 ‘그림의 떡.’ 농민신문. 미소장
10 이은정·이주(2021). 고등학교 교양 심리학 수업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2), 287-304. 미소장
11 이주연·이광우·권점례·백경선·배화순·전호재(2021).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공동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연구보고 RR2021-5). 충북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12 Ball, S. J., Maguire, M., & Braun, A.(2012). How Schools Do Policy: Policy Enactments in Secondary Schools. London: Routledge. 미소장
13 Barker, B. O.(1986). Technological Innovations Impacting Instruction in Rural and Small Schools. Paper presented before the Organization of Rural Oklahoma Schools (Shawnee, OK, October 9, 1986). 미소장
14 Braun, A., Ball, S. J., Maguire, M., & Hoskins, K.(2011). Taking Context Seriously: Towards Explaining Policy Enactments in the Secondary School. Discourse, 32(4), 585-596. 미소장
15 Darling-Aduana, J., Good, A., & Heinrich, C. J.(2019). Mapping the Inequity Implications of Help-Seeking in Online Credit-Recovery Classrooms. Teachers College Record, 121(11), 1-40. 미소장
16 Darling-Aduana, J., & Heinrich, C.(2020). The Potential of Telepresence for Increasing Advanced Course Access in High Schools. Educational Researcher, 49(6), 415-425. 미소장
17 de la Varre, C., Irvin, M. J., Jordan, A. W., Hannum, W. H., & Farmer, T. W.(2014). Reasons for Student Dropout in an Online Course in a Rural K-12 Setting. Distance Education, 35(3), 324-344. 미소장
18 de la Varre, C., Keane, J., Irvin, M. J.(2010). Enhancing Online Distance Education in Small Rural US Schools:A Hybrid, Learner-Centred Model.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6(8), 35–46. 미소장
19 Dunnick, R.D. (2013).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Education in a Small Rural High School: A Phenomenological Study. Dissertation, Liberty University, U.S. 미소장
20 Frazelle, S. (2016). Successful Strategies for Providing Online Credit Recovery in Montana. Portland: Regional Educational Laboratory Northwest. 미소장
21 Gamoran, A.(2009). Tracking and inequality: New Direc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CER Working Paper No. 2009-6).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Wisconsin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미소장
22 Garrison, D. R., & Arbaugh, J. B.(2007). Researching the Community of Inquiry Framework: Review,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0(3), 157-172. 미소장
23 Garthwait, A. (2014). Pilot Program of Online Learning in Three Small High Schools: Considerations of Learning Styles. Electronic Journal of e-Learning, 12, 353-366. 미소장
24 Gemin, B., Smith, B., Vashaw, L., Watson, J., Harrington, C., LeBlanc, E. S.(2018). Digital Learning Strategies for Rural America: A Scan of Policy and Practice in K–12 Education. The Foundation for Blended and Online Learning and Evergreen Education Group. 미소장
25 Harris, R. J. & S.T. Stovall. (2013). Online Dual Credit Mathematics for Rural Schools, PRIMUS, 23(5), 434-440. 미소장
26 Hawkins, A., Graham, C. R., & Barbour, M. K. (2012). “Everybody Is Their Own Island”: Teacher Disconnection in a Virtual School.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13(2), 123–144. 미소장
27 Irvin, M. J., Hannum, W. H., Farmer, T. W., de la Varre, C., & Keane, J.(2009). Supporting Online Learning for Advanced Placement Students in Small Rural Schools: Conceptual Foundations and Intervention Components of the Facilitator Preparation Program. The Rural Educator, 31(1), 29-37. 미소장
28 Kelly, S.(2007). The Contours of Tracking in North Carolina. The High School Journal, 90(4), 15-31. 미소장
29 Kolluri, S.(2019). Reconsidering Organizational Habitus in Schools: One Neighborhood, Two Distinct Approaches to Advanced Placement. Harvard Educational Review, 89(1), 109–131. 미소장
30 Mayer, G., & Lingle, J., & Usselman, M. (2017). Experiences of Advanced High School Students in Synchronous Online Recitation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20(2), 15–26. 미소장
31 National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2022). Digital Nation Data Explorer. Washington, DC: NTIA. https://www.ntia.doc.gov/topics/data-central 미소장
32 Newman, M., & Gough, D.(2020). Systematic Reviews in Educational Research: Methodology, Perspectives and Application. In O. Zawacki-Richter, M. Kerres, S. Bedenlier, M. Bond, & K. Buntins (Eds.), Systematic Reviews in Educational Research: Methodology, Perspectives and Application(pp. 3-22). 미소장
33 Page, M. J., McKenzie, J. E., Bossuyt, P. M., Boutron, I., Hoffmann, T. C., Mulrow, C. D. et al.(2021). The PRISMA 2020 Statement: An Updated Guideline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BMJ, 372(71), 1-9. 미소장
34 Queen, B., and Lewis, L.(2011). Distance Education Courses for Public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2009–10 (NCES 2012-008). U.S. 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미소장
35 Sahni, S. D., Polanin, J. R., Zhang, Q., Michaelson, L. E., Caverly, S., Polese, M. L., & Yang, J.(2021). A What Works Clearinghouse Rapid Evidence Review of Distance Learning Programs(WWC 2021-005REV).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Education. 미소장
36 Siko, J. P.(2014). Testing the Waters: An Analysis of the Student and Parent Experience in a Secondary School’s First Blended Course Off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Learning & Distance Education, 29(2). 미소장
37 Tomkins, S., Ramesh, A., & Getoor, L. (2016). Predicting Post-Test Performance from Online Student Behavior:A High School MOOC Case Study. Proceedings of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al Data Mining.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