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민하·박종민·장규관, 2016, “TWINSPAN과 CCA Ordination에 의한 서해안 곰솔림과 토양환경과의 상관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 19, No. 1, pp.45~59. | 미소장 |
2 | 김재은, 2014, “전남 신안군의 토지이용에 따른 생태계서비스 가치와 지소가능한 활용방안”, 생태와 환경, Vol. 47, No. 3, pp.202-213. | 미소장 |
3 | 김재은·홍선기, 2007, “도서의 경관생태학적 이해 – 섬생물지리학의 이론과 적용”, 도서문화, Vol. 30, No. 2, pp.39~54. | 미소장 |
4 | 김한수·오충현, 2011, “경관지수를 활용한 농촌마을 유형분류: 경관생태학적 접근”, 농촌계획, Vol. 17, No. 3, pp.1~13. | 미소장 |
5 | 박성현, 2018, “섬 정주여건 저해요인 구조분석을 통한 섬재생산업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 신안 자은도를 사례로” 한국도서연구, Vol. 30, No. 3, pp.21~40. | 미소장 |
6 | 박성현, 2021, “변화하는 섬의 길과 섬 부동산시장의 변화– 신안군 천사대교를 사례로”, 한국도서연구, Vol. 33, No. 2, pp.57~76. | 미소장 |
7 | 박진경·김선기, 2013, “섬지역활성화지원센터 설립·운영방안” 지방행정연구원 | 미소장 |
8 | 송민경·장훈, 2010,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도권 도시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Vol. 18. No. 1, pp.83~88. | 미소장 |
9 | 임영재, 2018, 집적경제와 인구지표가 편의점 매출에 미치는 영향분석 – 서울시를 대상으로,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p.88. | 미소장 |
10 | 정근식·김준, 2001, “해조류 양식과 마을 운영체제의 변화-금당면 가학리의 사례”, 도서문화, Vol. 17, pp.127-160. | 미소장 |
11 | 홍선기, 2015, “섬과 다리의 양면성 – 일본 세토내해 섬을중심으로”, 해양담론, Vol. 2, pp.118~149. | 미소장 |
12 | Baldacchino, G., 2007a. “Fixed links and the engagement of islandness: reviewing the impact of the Confederation Bridge” The Canadian Geotrapher, Vol, 51, No. 3, pp.323~336. | 미소장 |
13 | Baldacchino, G., 2007b. “The bridge effect: a tentative score sheet for Prince Edward island in Bridging Islands”, In Bridges &Islands: A strained relationship, Acorn Press, Charlottetown, PEI, pp.49~68. | 미소장 |
14 | Dahdouh-Guebas, F., Jayatissa, L.P., Nitto, D.Di., Bosire, J.O., Seen, D.Lo and Koedam, N., 2005, “How effective were mangroves as a defense against the recent tsunami?”Current Biology, Vol. 15, No. 12, pp.R443~R447. | 미소장 |
15 | Foley, J.A., Defries, R., Asner, G.P., Barford, C., Bonan, G., Carpenter, S.R., Chapin, F.S., Coe, M.T., Daily, G.C., Gibbs, H.K., Helkowski, J.H., Holloway, T., Howard, E.A., Kucharik, C.J., Monfreda, C., Patz, J.A., Prentice, I.C., Ramakutty, N. and Snyder, P.K., 2005, “Global consequences of land use” Science, Vol. 309, No. 5734, pp.570~574. | 미소장 |
16 | Hong, S.-K. and Grydehøj, A., 2022, “Sustainable island communities and fishing villages in South Korea: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Sustainability, Vol. 14. No. 16657. | 미소장 |
17 | Hong, S.-K., Kim, J.-E. and Hong, S.-J., 2022, “Changes and chaos in islands and seascapes: In perspective of climate, ecosystem and islandness”, Journal of Marine and Island Cultures, Vol. 11, No, 1, pp.1~11. | 미소장 |
18 | Hong, S.-K., Song, I.J., and Wu, J., 2007. “Fengshui theory in urgan landscape planning”, Urban Ecosystems, Vol. 10, pp.221-237. | 미소장 |
19 | Ie Polain de Waroux, Y., Garret, R.D., Chapman, M., Friis, C., Hoelle, J., Hodel, L., Hopping K. and Zaehringer, J.G., 2021, “The role of culture in land system science”, Journal of Land Use Science, Vol. 16, No. 4, pp.450~466. | 미소장 |
20 | Kim, J.-E., 2016, “Land use patterns and landscape structures on the islands in Jeonnam Province’s Shinan County occasioned by the construction of mainland bridges”, Journal of Marine and Island Cultures, Vol. 5, No. 1, pp.53~59. | 미소장 |
21 | Kim, J.-E., Hong, S.-K., and Nakagoshi, N., 2006, “Changes in patch mosaics and vegetation sturcture of rural forested landscapes under shifting human impacts in South Korea”,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Vol. 2, No. 2, pp.177-195. | 미소장 |
22 | Ko, H.-S., Jhun, M. and Jeong, H.C., 2015, “ A comparison study for ordination methods in Ecology”,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ol. 28, No. 1, pp.49~60. | 미소장 |
23 | Lapola, D.M., Martinelli, L.A., Pere, C.A., Ometto, J.P.H.B., Ferreira, M.E., Nobre, C.A., Aguiar, A.P.D., Bustamante, M.M., Cardoso, M.F., Costa, M.H., Joly, C.A., Leite, C.C., Moutinho, P., Sampaio, G., Strassburg, B.B.N. and Vieira, I.C.G., 2014, “Pervasive transition of the Brazilian land-use system”, Nature Climate Change, Vol, 4, pp.27-35. | 미소장 |
24 | MacArthur, R. and Wilson, E.O., 1967,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U.S., p.203. | 미소장 |
25 | Macgarigal, K. and Marks, B.J., 1995. FRAGSTATS: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Gen, Tech, Rep. PNW-GTR-351,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Portland OR, p.122. | 미소장 |
26 | Malingreau, J.-P. and Tucker, C.J., 1998. “Large-scale deforestation in the Southeastern Amazon basin of Brazil”, Ambio, Vol. 17, No. 1, pp.49-55. | 미소장 |
27 | Prak, S.-H., 2022, “Changing island society following the opening of the island bridg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Island Society of Korea”, Journal of Marine and Island Cultures, Vol. 11, No. 1, pp.115~127 | 미소장 |
28 | Tuner, M.G., Gardner, R.H. and O’Neill R.V., 2001, Landscape Ecology in Theory and Practice, Springer, p.401. | 미소장 |
29 | 섬발전촉진법,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 k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