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창세기에 등장하는 다양한 언어 개념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표가 의미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질문 때문이다: a. 20세기 초, 언어연구의 과학화를 시도했던 소쉬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성경연구를 일반언어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분석한 권위 있는 연구는 별로 없지 않는가? b. 성경에서 ‘말씀’ 또는 ‘언어’라는 것은 현대언어학적으로 분석하면 도대체 어떤 외연을 가지고 있는가? 또는 인간이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대해 성경은 어떻게 기록하고 있는가? c. 성경에서의 Logos는 하나님의 언어일 텐데, 혹시 그렇다면 하나님의 언어와 인간의 언어 사이에서 가교역할을 하는 것이 언어학 아닐까? 이를 위해서 주제화되었던 장들은 다음과 같다: 제2장 “언어기원의 문제”, 제3장 “하나님의 ‘창조언어’”, 제4장 “남자와 여자 그리고 남자에게 당부하는 하나님의 언어”, 제5장 “입법자로서의 아담의 언어”, 제6장 “남자(아담)와 여자(하와)의 언어”, 제7장 “노아 자손들의 언어”, 제8장 “바벨의 언어”. 본고는 성경이 절대적인 하나님의 말씀이며 따라서 오류가 없다는 것에 대한 옳고 그름을 따지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성경에 등장하는 언어 관련 이야기에서 어떤 결론을 내리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이고, 성경을 과학적인 방식으로 분석한다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성경에서 언어학적으로 문제 되는 부분을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고, 언어학을 이용하여 성경을 풍성하게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창세기에서의 언어 = Sprache in der Genesis : Fokus auf sprachwissenschaftliche Analyse : 언어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이재원 p. 1-27

치매 환자 가족의 인터넷 상담에 나타난 언어행위모형 분석 = Sprachhandlungsmuster in der Online-Beratung für Angehörige von Demenz-Patienten : am Beispiel von Problem- und Antworttexten in Wegweiser-Demenz : 독일 치매 전문사이트의 상담 게시글과 답글을 중심으로 김근혜 p. 29-49

프로젝트 기반 학습 Project Based Learning을 통한 4C 역량 배양 = Die 4C-Schlüsselkompetenzförderung beim Projektbasierten Lernen im Unterricht : H 대학교 독일어 교재연구 및 지도법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정혜륜 p. 51-77

한국과 독일⋅오스트리아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현황과 국내 독어학 전공교과 적용가능성 고찰 = Aktueller Stand des Studiengangs „Digital Humanities“ und Anwendungsfälle im Germanistikunterricht 류수린 p. 79-104

슈니츨러의 『초록 앵무새』에 나타나는 절대적 연극의 붕괴 = Aufhebung der Absolutheit des Theaters in A. Schnitzlers Der grüne Kakadu 홍진호 p. 105-123

이슬람 테러와 종교, "종교는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 „Wofür soll die Religion existieren?“ : Islamischer Terrorismus und Religion in Christoph Peters’ Ein Zimmer im Haus des Krieges : 크리스토프 페터스의 『전쟁의 집, 방 한 칸』을 중심으로 송희영 p. 125-146

디지털 시대 글쓰기의 도구적 전환 = Die instrumentale Transformation des Schreibens im digitalen Zeitalter : In Bezug auf Kehlmanns Romanschreiben mit künstlicher Intelligenz : 켈만의 인공지능 소설 쓰기를 중심으로 김요한, 김겸섭 p. 147-168

이혼 후 방임된 아이의 정서적 문제 = Die emotionale Problem bei Kindern durch die Scheidung der Eltern : Am Beispiel von Zoë Jennys Das Blütenstaubzimmer : 조에 예니의 『꽃가루방』을 중심으로 도기숙 p. 169-189

참고문헌 (3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ugustine, S. (1992): Confessions. Oxford. 미소장
2 Bach, A. (1965): Geschichte der deutschen Sprache. Heidelberg. 미소장
3 Benjamin, W. (1977): Walter Benjamin. Gesammelte Schriften. Band II.1. Hrsg. v, R. Riedermann und H. Schweppenhäuser. Frankfurt am Main. 미소장
4 Black, D. A. (1988): Linguistics for Studies Students of New Testment Greek. Grand Rapids. Michigan. 미소장
5 Cassirer, E. (1977): Philosophie der symbolischen Formen, erster Teil: Die Sprache. Darmstadt. 미소장
6 Essick, R. (1989): Coleridge and the Language of Adam. In: Coleridge’s Biographia Literaria: Text and Meaning. ed., F. Burwick. Columbus. 미소장
7 Foucault, M. (1973): The Order of Things: An Archaeology of the Human Science. New York. 미소장
8 Fraser, R. (1977): The Language of Adam: On the Limits and System of Discourse. New York. 미소장
9 Hamann, J. G. (1949-1957): Sämtliche Werke. Hist.-kritische Ausgabe von Josef Nadler. Bd. 1-6. Wien. 미소장
10 Herausgegeben im Auftrag des Bischöfe Deutschlands, Österreichs, der Schweiz, des Bischofs von Luxemburg, des Bischofs von Lüttich, des Bischofs von Bozen:Brixen. Für das Neue Testament und die Psalmen auch im Auftrag des Rates der Evagelischen Kirsche in Deutschland und des Evangelischen Bibelwerks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1980): Die Bibel. Einheitsübersetzung der Heiligen Schrift Altes und Neues Testment. Aschaffenburg. 미소장
11 Humboldt, W. v. (1968): Gesammelte Schriften in 17 Bänden, Bd. 1-8, Hrsg. von A. Letzmann. Berlin. 미소장
12 Leroy, M. (1968): Etymologie et linguistique chez Platon. In: Bulletin de la Class des Letters et des Sciences Morales et Politiques (Académie Royale de Belgique), 5. Serie, 54, 121-152. 미소장
13 Ohmann, H. M. (1986): Het Oude Testament en de natuurwetenschap. In: A. P. Wisse (ed.) In het licht van Genesis Christelijke wetenschappers over schepping en evolutie. Barneveld: Uitgeverij De Vuurbaak. 미소장
14 Platon (1973): Platon. Phaidon, Das Gastmahl, Kratylos. Bearbeitet von Dietrich Kruz. Griechischer Text von LÉON ROBIN und LOUIS MÉRIDIER. Deutsche Übersetzung von Friedrich Schleiermacher. Darmstadt. 미소장
15 Porzig, W. (1975): Das Wunder der Sprache. Probleme, Methoden und Ergebnisse der Sprachwissenschaft. München. 미소장
16 Rendsberg, G. A. (1986): The Redaction of Genesis. Winona Lake. 미소장
17 Robinson, R. (1969): Essays in Greek philosophy. Oxford. 미소장
18 Saussure, F. de (1967): Grundfragen der Allgemeinen Sprachwissenschaft. Berlin. (Übers. v. H. Lommel). 미소장
19 Schmidt, W. H. (1964): Die Schöpfungsgeschichte der Priesterschrift. Neukirchen-Vluyn. 미소장
20 Verbeke, G. (1998): Logos. In: Begriffe in der antiken Philosophie. J. Ritter(Hrsg.),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Bd. 5. Basel, 491-499. 미소장
21 Westermann, C. (1999): Genesis BK I/1. Teil 2. Neukirschen-Vluyn. 미소장
22 Wittgenstein, L.(1958): 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Zweite Auflage. Oxford. 미소장
23 구본철 (2003): 아담의 언어: 잃어버린 기호를 찾아서. 신영어영문학 24, 1-14. 미소장
24 김도형 (2020): 창세기 원역사(1:1-11:9)의 내러티브 재구성. 생명과말씀 28-3, 11-48. 미소장
25 김두석(2002): 창세기 1장 1절과 2, 3절과의 관계 연구. 칼빈논단2002, 133-156. 미소장
26 김인호 (2006): 언어로 해방을 꿈꾸는 두 가지 방식: 최인훈과 이청준의 경우. 본질과 현상 4, 72-87. 미소장
27 대한성서공회(1993): 성경전서. 표준새번역. 서울.` 미소장
28 루소 (2008): 언어기원에 관한 시론. 책세상. (주경복/고경민옮김). 미소장
29 슈밋터 (2003): 페터 슈밋터의 언어기호론.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신형욱/이재원/조국현 옮김). 미소장
30 신형욱/이재원 (2012): 크라튈로스에 나타난 언어기호에 대한 발상과 그에 대한비판적 해석. 독일어문학 57, 21:46. 미소장
31 에코(2009): 언어와 광기. 열린책들. 미소장
32 이미경 (2013): 성서적 관점(창1-3장)에서 본 신의 창조적 언어, 아담의 언어, 타락의 언어에 관한 연구. 기독교언어문화논집16, 119-150. 미소장
33 이재원 (2005): 플라톤의 크라틸로스 해설. 독일문학 95, 270:290. 미소장
34 이재원 (2019): 언어는 ‘정말’ 도구 orgaum인가? - 플라톤/뷜러, 하만, 훔볼트, 소쉬르, 벤야민을 중심으로. 독어교육74, 139-163. 미소장
35 전정례(2005): 언어변화이론. 박이정. 미소장
36 함영용 (2000): 성경, 언어 그리고 언어학. 학생생활연구 4, 91-115. 미소장
37 홍승우 (2006): Johann Georg Hamann의 로고스 사상. 언어와 언어학 38, 255-275. 미소장
38 홍승우 (2007): 성서에 나타난 세 언어 모티프에 대하여. 언어와 언어학 40, 175-19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