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급격한 고령화 추세에 따라 치매 환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치매 환자 가족을 위한 상담의 중요
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화 또는 오프라인 상담 위주인 우리나라의 정책 서비스와 달리 독일은 공식 치매 안내사이트에서 인터넷 게시판을 통한 전문 상담을 적극 운영 중인데, 이러한 상담은 그 매체적⋅전문적 특성으로 인해 특수한 의사소통 형식과 기능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치매 상담 게시판에 게시된 상담 게시글과 답글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인터넷 게시판을 통한 치매 환자 가족 상담의 특징 및 텍스트에 나타난 상담자와 내담자의 전형적인 언어 행위를 살핀다.
기능화용론의 언어행위모형 개념을 활용한 분석은 ‘인터넷 게시판’이라는 매체적 특성으로 인해 구성된 집단상담 형태의 의사소통에서 전문 상담자과 비전문 상담자(내담자 집단)가 해결책 모색을 위해 수행하는 주요 화행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상담자의 지식 유형 및 전문성의 차이에서 비롯된 이러한 화행의 차이는 각각 내담자 간 유대감 형성과 불안감ㆍ죄책감 극복에 기여함으로써 내담자의 자조 과정을 돕는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Wegweiser Demenz 사이트의 ‘Alltag, Pflege und Betreuung’ 포럼 게시글(https://www.wegweiser-demenz.de/wwd/selbsthilfe/foren). | 미소장 |
2 | T1: Wie geht es Euch? Thread IV | 미소장 |
3 | T2: Meine Mutter, 87, möchte unbedingt wieder in ihre Wohnung und lehnt mich und meine Familie ab | 미소장 |
4 | T3: Mutter wird immer schwieriger und akzeptiert keine Hilfe | 미소장 |
5 | T4: Alte Eltern streiten nur noch | 미소장 |
6 | T5: Demenz und Alkohol | 미소장 |
7 | T6: Nu[n] is[t] es soweit | 미소장 |
8 | T7: Zwei pflegebedürftige Menschen | 미소장 |
9 | T8: Neue Situation – Fühle mich überfordert | 미소장 |
10 | T9: Meine Ma zeigt Anzeichen von Demenz | 미소장 |
11 | T10: Gerichtliche Betreuung – Welche Kosten, wer zahlt? | 미소장 |
12 | 김양이(2016):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지원정책. 장기요양연구 4(1), 80-100. | 미소장 |
13 | 이도영(2017): 인터넷 상담 게시글과 댓글 분석. 국내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이윤임(2021): 노인요양기관 이용 가족부양자 부양부담감이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연구. 정서적 소진의 매개효과로, 칼빈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이장호(2005): 상담심리학. 박영사. | 미소장 |
16 | 조국현(2019): 기능화용론의 언어행위모형과 대화 및 텍스트 분석. 독어교육75(75), 141-166. | 미소장 |
17 | 조국현(2007): 인터넷댓글의 유형학적 연구. 텍스트언어학 23, 203-230. | 미소장 |
18 | 조지연/김성봉/고혜인(2022): 치매노인 가족수발자를 위한 로고테라피 상담 사례연구. 문화와 융합 44(7), 573-586. | 미소장 |
19 | 한은주/정한용/이강준(2005): 치매노인가족에 대한 서비스 실태. 노인정신의학 9, 50-56. | 미소장 |
20 | 한재희/김세영/이정인(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대응 심리지원을 위한 한국상담학회 긴급 전화상담의 상담자 참여 경험 연구. 상담학연구 사례및 실제 5(2), 17-40. | 미소장 |
21 | Kallmeyer, Werner(2001): Beraten und Betreuen. Zur gesprachsanalytischen Untersuchung von helfenden Interaktionen. In, Zeitschrift fur Qualitative Bildungs-, Beratungs- und Sozialforschung 2, 227-252. | 미소장 |
22 | Pick, Ina(2017): Zusammenführung der Beiträge: Entwicklung einer Typologie des Handlungstyps Beraten. In: Dies.(Hg.): Beraten in Interaktion. Eine gesprächslinguistische Typologie des Beratens, 427-470. | 미소장 |
23 | Rehbein, Jochen(1977): Komplexes Handeln. Elemente zur Handlungstheorie der Sprache. Metzler, Stuttgart. | 미소장 |
24 | Stommel, Wyke/Hedwig te Molder(2015): Counseling online and over the phone. When preclosing questions fail as closing device. In, Research on Language and Social Interaction 48(3), 281-300. | 미소장 |
25 | Peter, Stücheli-Herlach(2015): Beratungskommunikation in der Kommunikationsberatung. Winterthur: ZHAW Zürcher Hochschule für Angewandte Wissenschaften. (Wor king Papers in Applied Linguistics 8). | 미소장 |
26 | Graf, Eva-Maria/Spranz-Fogasy, Thomas(2018): Helfende Berufe – helefende Interaktionen. In: K. Birkner/N. Janich(Hg.): Handbuch Text und Gespräch, 419-443. | 미소장 |
27 | Brünner, Gisela/Graefen, Gabriele(1994): Einleitung: Zur Konzeption der Funktionalen Pragmatik. In: G. Brünner/G. Graefen(Hg.): Texte und Diskurse. Methoden und Forschungsergebnisse der funktionalen Pragmatik. Opladen, 7-21. | 미소장 |
28 | Warschburger, Petra(2009): Theoretischer Hintergrund. In: Dies.(Hg.): Beratungsps ychologie: Mit 29 Tabellen, 1-12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