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바로(2014): 해외 디지털인문학 동향.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33, 229-254. |
미소장 |
2 |
김용수(2019): 세계문학과 디지털인문학 방법론: 한국 학계의 모레티 연구. 비평과이론 24(3), 59-78. |
미소장 |
3 |
김용수(2021): 사회 연결망 분석과 문학 연구. 비평과 이론 26(2), 55-76. |
미소장 |
4 |
김지선/류인태(2022): 지식의 공유와 표현 그리고 디지털 인문학 - 해외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검토. 인문논총79(2), 391-427. |
미소장 |
5 |
김현(2002): 디지털 정보시대의 인문학 - 인문학의 e-R&D 환경 구축을 위한 제언. 오늘의 동양사상 7: 176-189. |
미소장 |
6 |
김현(2013): 디지털 인문학 -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 구도에 관한 구상.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29, 9-26. |
미소장 |
7 |
김현(2018):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현장.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50, 9-34. |
미소장 |
8 |
김현, 김바로(2014): 미국 인문학재단 (NEH)의 디지털인문학 육성 사업.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34, 29-51. |
미소장 |
9 |
박경우(2022): 인문학 연구에서의 디지털 기술 활용 현황 및 적용 방향 - 디지털 인문학 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0, 137-179. |
미소장 |
10 |
이주영(2019): 디지털-빅데이터의 시대 인문학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고찰.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9-10. |
미소장 |
11 |
장노현/임미진(2022): 디지털인문학의 형성과 문학지식 플랫폼. 한국문화융합학회, 문화와 융합 44(2), 235-250. |
미소장 |
12 |
한국연구재단 공동연구 “네트워크형 디지털 인문학 교육모델 개발” 팀(2023):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현재와 미래. 2023 UNIST-한국연구재단 공동연구 ‘디지털 인문학 워크숍(2023-01-30)’ 자료집. |
미소장 |
13 |
홍정욱(2015): 디지털기술 전환 시대의 인문학 - 디지털인문학 선언문을 통한 고찰.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38, 41-74. |
미소장 |
14 |
Cologne Center for eHumanities (CCeH) an der Universität zu Köln(2011):Digitale Geisteswissenschaften. Erstellt im Rahmen des Projekts DARIAHDE; gefördert vom Bundesministerium für Bildung und Forschung.- 디지털 인문학 연구 예시 |
미소장 |
15 |
강병창(2021): 구글 도서 엔그램 뷰어로 문화 현상 읽기 - 독일어권 문화연구를 위한 디지털 인문학 도구의 한 예. 독일언어문학 93, 1-25. |
미소장 |
16 |
구연정/임석원(2021): 디지털 시대의 문학교육과 매체융합적 수업모델 -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문학텍스트의 재매개와 ‘다시 쓰기’. 독일언어문학 91, 417-438. |
미소장 |
17 |
구영은/홍문표 (2022): 독일어 대화 자동요약을 위한 핵심 발화쌍 추출 연구. 독어학 45, 21-39. |
미소장 |
18 |
권민재(2011): DaF 수업의 코퍼스 언어학적 접근방안에 대한 고찰. 독일언어문학52, 67-92. |
미소장 |
19 |
권민재(2013): 독일어 읽기 텍스트의 난이도 측정 연구 - 통사적 층위의 복잡도를중심으로. 독일언어문학 61, 113-134. |
미소장 |
20 |
권민재(2017): 특수목적 코퍼스의 구축과 활용 - 독일법 품사태그부착 코퍼스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41, 5-32. |
미소장 |
21 |
김경(2019): 독일어 어휘정보시스템 DWDS의 학습사전학적 분석 - 문장용례의 활용을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87, 185-207. |
미소장 |
22 |
김바로/강우규(2021): 한국 대중 서사 기반 감정 데이터 구축과 활용 - 감정 딥러닝모델 구현을 통한 문학 연구의 활용 가능성 탐색을 중심으로. 인공지능인문학연구 12, 41-72. |
미소장 |
23 |
김종혁(2008): 디지털시대 인문학의 새 방법론으로서의 전자문화지도. 국학연구1(12), 263-290. |
미소장 |
24 |
김혜진(2022): 지역학 강의와 디지털 인문학 - 퍼블릭 르네상스 프로젝트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50, 5-25. |
미소장 |
25 |
남윤주/홍우평(2013): 제2언어 형태-통사처리의 인지신경기제 -한국인 학습자의 독일어 주어-동사 일치 처리에 대한 ERP 연구. 독어학 28, 41-68. |
미소장 |
26 |
류수린(2022): 어휘판단과제를 활용한 독일어 어휘능력 평가방법. 독어독문학 161, 209-230. |
미소장 |
27 |
류수린/국지연(2022): Bewertung koreanischer Sprachkenntnisse anhand des C-Tests - C-Testanalyse deutscher Koreanischlerner. 독일어문화권연구 31, 343-370. |
미소장 |
28 |
류수린/국지연/정동규(2021): 독-한 기계번역 정확도 평가의 언어학적 접근 - 구글번역기와 네이버파파고를 중심으로. 독어독문학 159, 119-140. |
미소장 |
29 |
류수린/국지연/정동규/윤홍옥(2019): 이동사건의 경로(path)와 공간관계 인지. 독어학 40, 23-51. |
미소장 |
30 |
박진호(2019): 딥러닝 기반 자연어 처리에서 도메인 지식의 역할. 인공지능인문학연구 4, 134-166. |
미소장 |
31 |
박찬길(2005): 웹을 이용한 문화연구: HCRG의 디지털인문학 과목개발전략. 영미문학교육9(1), 157-184. |
미소장 |
32 |
손옥현/류수린/윤홍옥(2022): LexTALE-Korean의 개발과 타당성 검증: 효율적인한국어 어휘 평가 도구. 언어와정보 26(2), 87-107. |
미소장 |
33 |
신효필(2014): 언어학과 통계 모델 (2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34 |
유덕근(2015): 독일어 서사텍스트의 처리과정에서 나타나는 실시간 감정 추론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언어와 언어학 66, 215-248. |
미소장 |
35 |
이민행(2015): 빅데이터 시대의 언어연구. 21세기 북스. |
미소장 |
36 |
이민행/권민재(2018): 독어학 연구 20년: 성과와 전망 - 코퍼스언어학적 접근. 독어학 38, 47-76. |
미소장 |
37 |
이성은(2013): 체화된 문장 인지 처리과정과 독일어 제2언어 처리과정. 독어학 28, 199-219. |
미소장 |
38 |
이재연(2016): 키워드와 네트워크: 토픽 모델링으로 본 개벽의 주제 지도 분석. 상허학회, 상허학보 46, 277-334. |
미소장 |
39 |
이재연/한남기(2021): 창작 보조기에서부터 문장 생성기까지 - 글쓰기 기계의 과거와 현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한국문학연구 67, 399-428. |
미소장 |
40 |
이해윤(2003): 코퍼스기반 독일어교육- Konkordanzen을 이용한 학습자료 구성.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독어교육28, 3-80. |
미소장 |
41 |
조자경(2019): 정치 분야 독일어의 코퍼스 기반 분석. 독일언어문학 84, 1–28. |
미소장 |
42 |
최가연(2020): 연구방법으로서 ‘소리내어 기억하기’ - 이론 및 방법 탐구와 적용사례 연구.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47, 303-319. |
미소장 |
43 |
최병진(2007): 기초 독일어 교수⋅학습자료개발을 위한 병렬코퍼스의 구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20, 183-207. |
미소장 |
44 |
최병진(2013): 품사부착 코퍼스를 활용한 교수⋅학습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32, 141-164. |
미소장 |
45 |
최병진/정동규/천미애/남유선(2002): 독일학 육성을 위한 정보자료의 디지털화와활용 - 방법론 및개요. 독어독문학 81, 397-416. |
미소장 |
46 |
홍문표(2014): 바이그램을 활용한 텍스트 논조자동분석, 독일언어문학 65, 27-46. |
미소장 |
47 |
Döring, K./Haas, S./König, M./Wettlaufer, J.(2022): Digital history - Konzepte, Methoden und Kritiken Digitaler Geschichtswissenschaft (1st ed.). De Gruyter: Oldenbourg. |
미소장 |
48 |
Erlin, Matt(2014): The Location of Literary History: Topic Modelling, Network Analysis, and the German Novel, 1731∼1864. In: Matt Erlin and Lynne Tatlock (Hrsg.) Distant Readings: Topologies of German Culture in the Long Nineteenth Century, New York: Camden House, 55∼90. |
미소장 |
49 |
Flüh, Marie(2020): Emotionsanalyse. In: forTEXT. Literatur digital erforschen. URL: https://fortext.net/ressourcen/tagsets/emotionsanalyse [Zugriff: 20. Februar 2023]. |
미소장 |
50 |
König, Nicola(2021): Verstehen sichtbar machen – Texterschließung durch digitale Annotationswerkzeuge kollaborativ anbahnen. Medien im Deutschunterricht. https://doi.org/10.18716/ojs/midu/2021.0.3 |
미소장 |
51 |
Schmid, Helmut(2019): Deep Learning-Based Morphological Taggers and Lemmatizers for Annotating Historical Texts, DATeCH, May 2019, Brussels, Belgium. https://www.cis.uni-muenchen.de/∼schmid/papers/Datech2019.pdf |
미소장 |
52 |
Winter, Bodo(2020): Statistics for Linguistics. An Introduction Using R. New York: Routledge.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