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재활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특성, 조직의사소통,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를 확인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B 광역시 소재 150병상 이상 200병상 이하 규모의 재활전문병원 3곳, 중소병원 3곳에서 근무하는 재활병동 간호사 132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활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해 직무특성과 조직의사소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직무특성과 조직의사소통과는 정적 상관관계,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조직의사소통과 정적 상관관계,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의사소통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설명력은 38.8%, 22.7%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의사소통은 재활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직무스트레스 관리와 효율적인 조직의사소통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rehabilitation and general ward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132 nurses working in three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131 nurses working in three small and medium hospitals in B cit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PSS/Win 25.0.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nurses in the rehabilitation ward showed higher scores i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han nurses in the general ward. The job satisfaction of rehabilitation ward nurs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The job satisfaction of general ward nurs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er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in nurses in rehabilitation and general wards, with explanatory power of 38.8% and 22.7%,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job stress management and effectiv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as confirmed by showing that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r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rehabilitation and general ward nurs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소아청소년암 경험자 대상 심리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과 비영리민간단체 사회복지사의 역할 인식 = Role perceptions of hospital social workers and NGO social workers providing psychosocial service for survivors of childhood and adolescent cancer 김민아, 최권호, 유정원, 박가랑 p. 7-29

코로나19 상황에서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일과 삶 : The work and lives of dependent self-employed workers in the COVID-19 pandemic :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employment type / 고용형태별 차이를 중심으로 김이레, 남재현, 김새봄 p. 30-49

인구 고령화의 인구학적 요인 분석 = Demographic components of population aging in South Korea 우해봉 p. 50-68

같지만 다른 그들, 청년 : Young people, the same generation but different individuals : an exploratory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by men and women / 성별 자살생각과 자살시도 영향요인의 탐색 연구 강지원, 장숙랑, 김해송, 김민경, 김현수, 주지영, 이경영, 김유경 p. 69-84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접근성과 심뇌혈관질환 사망비의 연관성 =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ibility to local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centers and mortality ratio 신한수, 노영민, 서지우 p. 85-100

세월호 재난 지역 공동체 회복 프로그램 참여 경험 연구 = Experiences of local residents with post-disaster community recovery programs following the Sewol Ferry disaster 홍혜미, 한소정 p. 101-117

코로나19 사태가 청소년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COVID-19 pandemic on adolescent obesity : focusing on difference by non-metropolitan area and gender / 비수도권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김봉균 p. 118-140

사회 신뢰가 청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trust on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박채림, 한창근 p. 141-156

재활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특성, 조직의사소통,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rehabilitation and general ward nurses 배인정, 한지영 p. 157-173

WHO 가이드 원칙을 통해 살펴본 한국의 커뮤니티 케어 시범사업과 일본, 스웨덴의 정책 비교 = Comparison of community care policies through the WHO guiding principles : pilot projects in Korea and policies in Japan and Sweden 정윤화, 이동현 p. 174-190

Inter-generational effects of basic pension on adult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 성인 자녀의 주관적 웰빙에 대한 기초연금의 세대 간 영향 Hwang, Inuk, Lee, Tae-jin p. 191-208

COVID-19 유행 전과 유행 초기 소득에 따른 의료이용 불평등 변화 = Inequality in health care utilization by income level before and during the early stage of the COVID-19 pandemic 김태현, 신영전 p. 209-225

암 생존자와 가족의 의사소통과 심리적 디스트레스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for cancer survivors and their family members : application of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 모형 적용 임정원 p. 226-245

코로나19와 가구소득 불평등 : COVID-19 and household income inequality : focused on the role of the income security system and disaster relief funds / 기존 소득보장제도와 일시적인 재난지원금의 역할을 중심으로 최진희 p. 246-264

외국인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 특성 분석 = A study of foreigners' use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서종근, 왕영민, 심혜진 p. 265-281

암 생존자의 암 재발 두려움 및 관련 요인 = Fear of cancer recurrence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cancer survivors 박소영, 박아경 p. 282-298

영국의 이민자 사회권 변화에 관한 연구 : Immigrants' social rights in the UK : the intersection of welfare and immigration policies / 복지제도와 이민제도의 교집합 맥락에서 김경환 p. 299-318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경화, 한용희, 강수진. (2012). 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만족수준이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8(1), pp.13-22. 미소장
2 강소영, 권해경, 조미라. (2014). 간호사의 팀워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2), pp.881-894. http://dx.doi.org/10.5392/JKCA. 2014.14.12.881 미소장
3 고영진, 이미향, 김민영. (2022). 간호사가 인식하는 내부마케팅과 조직의사소통이 간호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20(2), pp.479-486. https://doi.org/10.14400/JDC.2022. 20.2.479 미소장
4 고정옥, 고은. (2014).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활간호학회지, 17(2), pp.81-89. http://dx.doi.org/10.7587/kjrehn.2014.81 미소장
5 김금옥, 고미숙, 최은희, 김혜정. (2018). 외래병동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간호전문직관, 업무환경 및 직무만족도비교. 의료커뮤니케이션, 13(2), pp.175-183. http://dx.doi.org/10.15715/kjhcom.2018.13.2.175 미소장
6 김미종, 김경자. (2016). 간호사의 임상경력과 조직 내 의사소통이 팀워크 역량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4(2), pp.333-344. https://doi.org/10.14400/JDC.2016.14.2.333 미소장
7 김보영, 이주연. (2019). 재활병원 간호사의 역할 갈등 유형 및 이직의도. 재활간호학회지, 22(2), pp.142-151. https://doi.org/10.7587/kjrehn.2019.142 미소장
8 김상경, 김근면. (2018).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3), pp.1609-1624. 미소장
9 김상희, 김남희. (2016). 재활전문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 pp.165-174. 미소장
10 김서영, 이규영, 백선숙. (2013). 임상간호사의 직무특성 및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33, pp.135-160. 미소장
11 김세영, 백성희. (2016).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아동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4), pp.100-113.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4.100 미소장
12 김지혜, 이지윤. (2021). 재활병원 간호사의 재활간호의 지각된 중요도, 역할갈등, 근무환경이 재활간호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재활간호학회지, 24(1), pp.89-95. https://doi.org/10.7587/kjrehn.2021.86 미소장
13 김창희, 임은선, 문경희, 박민정. (2017). 국내 재활담당 간호사의 재활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재활간호학회지, 20(2), pp.89-99. https://doi.org/10.7587/kjrehn.2017.89 미소장
14 박아이린. (2005). MSQ 직무만족도 검사의 문항 및 척도 타당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미소장
15 보건복지부. (2019). 제1기 재활의료기관 지정계획 공고. https ://www.mohw.go.kr/react/al/sal01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102&CONT_SEQ=350646에서 2019. 10. 6. 인출. 미소장
16 서연옥, 이은희, 김인자. (2017). 재활병동 간호사의 재활간호 직무수행도, 위임, 직무중요도 및 교육요구도. 재활간호학회지, 20(2), pp.79-88. https://doi.org/10.7587/kjrehn.2017.79 미소장
17 소희영, 김정화, 박지원, 임난영. (2009). DACUM기법을 이용한 재활간호사의 직무분석. 재활간호학회지, 12(1), pp.16-29. 미소장
18 송미자, 강인순, 김동희. (2009). 병원간호사의 조직관리특성, 직무특성, 집단응집력,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몰입간의 경로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4), pp.1953-1965. 미소장
19 신유근. (1990). 조직행위론. 서울: 다산출판사. 미소장
20 양애선, 강윤희. (2013). 중환자실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Health & Nursing, 25(2), pp.47-58. 미소장
21 어용숙, 조규영. (2010). 직무특성과 보상공정성이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1), pp.227-239. 미소장
22 오명옥, 성미혜, 김양원. (2011). 응급실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피로,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임상간호연구, 17(2), pp.215-227. 미소장
23 이규민, 지은선. (202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조직 내의사소통과 셀프리더십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중소병원을 중심으로. 동서간호학연구지, 27(2), pp.114-123. https://doi.org/10.14370/jewnr.2021.27.2.114. 미소장
24 이소영. (2006). 임상 간호사의 직무특성과 전문직업성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2(4), pp.587-596. 미소장
25 이승영, 김덕호. (2019).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27(3), pp.215-223. https://doi.org/10.17547/kjsr.2019.27.3.215. 미소장
26 이애경, 여지영, 정성원, 변상석. (2013).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2), pp.299-308.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299. 미소장
27 이용도. (2003). 직무특성과 조직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미소장
28 이은경, 김옥현. (2009). 간호사의 전문 인력 간 협력과 대인 의사소통능력. 의료커뮤니케이션, 4(1), pp.49-57. 미소장
29 임지영, 김은주, 김근면. (2022). 메타상관분석을 이용한 병원간호사의 직무만족에 관련요인. 가정간호학회지, 29(1), pp.60-69. https://doi.org/10.22705/jkashcn.2022.29.1.60 미소장
30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외. (2005). 한국인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17(4), pp.297-317. 미소장
31 정경화, 박동영, 이서영. (2012). 간호사의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과조직 갈등과의 관계.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4), pp.166-176. 미소장
32 정수진, 정정희. (2019).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전문직관, 조직의사소통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25(1), pp.98-105. https://doi.org/10.22650/JKCNR.2019.25.1.98 미소장
33 정임진, 김윤미. (2016). 전문간호사와 일반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조직몰입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3), pp.354-365.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354 미소장
34 홍은미. (2007). 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수준과 조직행위 인식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미소장
35 Downs, C. W. & Hazen, M. D. (1977). A factor Analytic Study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The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14(3), pp.63-73. 미소장
36 Dreyer, P., Angel, S., Langhorn, L., Pedersen, B. B., & Aadal, L. (2016). Nursing roles and functions in the acute and subacut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stroke: Going all in for the patient.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48(2), pp.108-115. 미소장
37 Hackman, J. R., & Oldham, G. R. (1975).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0, pp.159-770. 미소장
38 Hackman, J. R., & Oldham, G. R. (1976).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16, pp.250-279. 미소장
39 Kourkouta, L., & Papathanasiou, IV. (2014). Communication in nursing practice. Materia Sociomedica, 26(1), pp.65-67. 미소장
40 Redding, W. C. (1985). Stumbling toward identity: The emergenc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s a field of study. In R. D. McPhee, & P. K. Tompkins (Ed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raditional themes and new directions (pp.15-54). Beverly Hills, CA: Sag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