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승원, 김민경(2020). 성인 발달장애인의 건강상태와 도전적 행동이 부모의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1(2), 17-28. | 미소장 |
2 | 강정배, 김현지, 김태용(2018). 서울시 장애인 탈시설 종단연구(2018).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 | 미소장 |
3 | 강정배, 서해정, 김계정, 김도현, 김동현, 김희정, 임정민, 임혜리(2020a). 장애인 거주시설 전수조사. 세종: 보건복지부,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 | 미소장 |
4 | 강정배, 조윤화, 서해정, 박광옥, 채성현, 손희경(2020b). 장애인 지역사회 통합돌봄 모델 구축 연구. 세종: 보건복지부,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 | 미소장 |
5 | 국가인권위원회(2016). 16직권0001700․16진정0246200(병합) 다수인보호시설 종사자에 의한 폭행 등인권침해 결정문. 서울: 저자. | 미소장 |
6 | 김미옥, 김고은, 김지혜. (2020). 도전 행동을 보이는 최중중 발달장애인 자녀 부모의 돌봄경험 - 서울시 최중증 낮활동 시범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복지학, 49(49), 119-146. | 미소장 |
7 | 김미옥, 정민아(2017). 지원생활모델(Supported Living model)을 적용한 발달장애인의 자립. 한국사회복지학, 69(1), 255-281. | 미소장 |
8 | 김용진, 조원일(2021). 커뮤니티 케어 시대 성인기 중증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갈등 경험 -시설케어와 재가케어의 양가적 선택을 중심으로-.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7(2), 25-57. | 미소장 |
9 | 김현지, 강정배, 김태용, 이혜수 (2021). 서울시 장애인 탈시설 종단연구 (2021).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 | 미소장 |
10 | 대구광역시(2017). 대구시립희망원 혁신대책. 대구: 저자. | 미소장 |
11 | 대구광역시(2018). 장애인거주시설 시민마을 폐지에 따른 탈시설 장애인 자립시범 사업 실시 계획. 대구: 저자. | 미소장 |
12 | 대구광역시(2019). 대구시립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설 폐쇄 및 장애인/종사자 조치 현황. 대구: 저자. | 미소장 |
13 | 대구광역시(2020). 제2차 장애인 탈시설 자립지원 계획. 대구: 저자. | 미소장 |
14 | 박숙경, 김명연, 김용진, 구나영, 문혁, 박지선, 정진, 정창수, 조아라(2017). 장애인 탈시설 방안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 미소장 |
15 | 박숙경, Conroy, J. W.(2019). 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설 시민마을 폐쇄에 따른 중증 중복 발달장애인 탈시설 자립지원 시범사업 성과분석 연구. 대구: 대구사람장애인자립생활센터. | 미소장 |
16 | 박숙경, Conroy, J. W., 전근배, 김윤태(2021). 중증․중복 발달장애인의 탈시설 이후 삶의 변화. 심리운동연구, 7(1), 107-125. | 미소장 |
17 | 박혜미(2019). 발달장애인 가족 지원 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대전광역시 발달장애 가족의 삶과 돌봄 경험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0(1), 1133-1148. | 미소장 |
18 | 보건복지부(2021). 탈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로드맵. 세종특별자치시: 저자. | 미소장 |
19 | 보건복지부(2022). 발달장애인 평생돌봄 강화대책. 세종특별자치시: 저자. | 미소장 |
20 | 신영전(2018). ‘커뮤니티케어(Community Care)’ 성공의 전제, 보건사회연구, 38(4), 5-9. | 미소장 |
21 | 오욱찬, 박광옥, 김성희, 오다은(2021). 탈시설 장애인의 주거이동 패턴 분석: 주거 형태와 핵심 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52(52), 255-290. | 미소장 |
22 | 이정미(2018). 대구시립희망원, 탈시설 자립지원정책 성공 사례로!. 대경CEO BRIEFING, 550, 대구경북연구원. | 미소장 |
23 | 전근배(2020). ‘지역사회’라는 유일한 선택을 위해: 대구시립희망원 중증중복 발달장애인의 탈시설과 함께 살기. 장애여성공감. (편). 시설사회(pp. 133-148). 서울: 와온. | 미소장 |
24 | 전근배(2021). 스피노자의 코나투스와 장애인의 ‘독립’의 문제 : 커뮤니티케어를 중심으로. 한국장애학, 6(2), pp. 11-33. | 미소장 |
25 | 전근배, 조한진(2020). 시설폐쇄에 따른 장애인의 탈시설 및 전원의 경험. 한국사회복지학, 72(2), 453-477. | 미소장 |
26 | 정은혜, 김미옥(2017). 부모 사후 장애자녀의 미래 계획은 있는가?: 장애자녀를 가진 부모의 미래 주거지 및 보호자 계획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56, 251-277. | 미소장 |
27 | 조한진, 김기룡, 김예원, 김정하, 김은애, 송효정, 이승홍, 이용표, 조경미(2017). 중증‧정신장애인 시설생활인에 대한 실태조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 미소장 |
28 | 주영하, 김기룡(2019). 장애인 부모의 지역사회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시설 입소 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복지학, 45, 93-113. | 미소장 |
29 | Becker, T., & Kilian, R. (2006). Psychiatric services for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across western Europe: what can be generalized from current knowledge about differences in provision, costs and outcomes of mental health car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429, 9 –16. | 미소장 |
30 | Braun, P., Kochansky, G., Shapiro, R., Greenberg, S., Gudeman, J. E., Johnson, S., & Shore, M. F. (1981). Overview: Deinstitutionalization of psychiatric patients, a critical review of outcome studie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8(6), 736–749. | 미소장 |
31 | Bredewold, F., Hermus, M., & Trappenburg, M. (2020). ‘Living in the community’ the pros and con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the impact of deinstitutionalisation on people with intellectual and psychiatric disabilities. Journal of Social Work, 20(1), 83–116. | 미소장 |
32 | Chow, W. S., & Priebe S. (2013). Understanding psychiatric institutionalization: A conceptual review. BMC Psychiatry, 13(1), 169–184. | 미소장 |
33 | Chowdhury, M., & Benson, B. A. (2011). Deinstitutionalization and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 review of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Journal of Policy and Practice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8(4), 256–265. | 미소장 |
34 | Conroy, J. (2017). Personal life quality protocol-Short, Reliable Outcome Measurement Tools for Quality Tracking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Systems. US: Center for Outcome Analysis. | 미소장 |
35 | Conroy, J., & Bradley, V. (1985). The Pennhurst longitudinal study: A report of five years of research and analysis.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Developmental Disabilities Center. Boston: Human Services Research Institute. | 미소장 |
36 | Conroy, J., Yuskauskas, A., & Spreat, S. (2020). Outcomes of Self-Determination in New Hampshire. Social Innovations Journal, 1(1). https://socialinnovationsjournal.com/index.php/sij/article/view/244. | 미소장 |
37 | Davis, L., Fulginiti, A., Kriegel, L., & Brekke, J. S. (2012). Deinstitutionalization? where have all the people gone?. Current Psychiatry Reports, 14(3), 259–269. | 미소장 |
38 | Durham, M. L. (1989). The impact of deinstitutionalization on the current treatment of the mentally ill. International Journal of Law and Psychiatry, 12(2-3), 117–131. | 미소장 |
39 | Emerson, E., & Hatton, C. (1996). Deinstitutionalisation in the UK and Ireland: Outcomes for service users. Journal of Intellectual & Developmental Disability, 21(1), 17–37. | 미소장 |
40 | European Union Agency for Fundamental Rights. (2017). Summary overview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 and community-based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vailable across the EU. Vienna: Author. | 미소장 |
41 | Hamden, A., Newton, R., McCauley-Elsom, K., & Cross, W. (2011). Is deinstitutionalization working in our commu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20(4), 274–283. | 미소장 |
42 | Hamilton, J., Ingham, B., McKinnon, I., Parr, J. R., Tam, L. Y. C., & Le Couteur, A. (2017). Mental capacity to consent to research? Experiences of consenti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or autism to research. British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45(4), 230–237. | 미소장 |
43 | Hudson, C. G. (2016). A Model of deinstitutionalization of psychiatric care across 161 nations: 2001–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45(2), 135–153. | 미소장 |
44 | Kim, S., Larson, S. A., & Charlie Lakin, K. (2001). Behavioural outcomes of deinstitutionalisation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 review of US studies conducted between 1980 and 1999. Journal of Intellectual & Developmental Disability, 26(1), 35–50. | 미소장 |
45 | Knapp, M., Beecham, J., McDaid, D., Matosevic, T., & Smith, M. (2011).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deinstitutionalisa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Lessons from a systematic review of European experience.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19(2), 113–125. | 미소장 |
46 | Kozma, A., Mansell, J., & Beadle-Brown, J. (2009). Outcomes in different residential setting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114(3), 193–222. | 미소장 |
47 | Lamb, H. R., & Bachrach, L. L. (2001). Some perspectives on deinstitutionalization. Psychiatric Services, 52(8), 1039–1045. | 미소장 |
48 | Landesman, S., & Butterfield, E. C. (1987). Normalization and deinstitutionalization of mentally retarded individuals. Controversy and facts. The American psychologist, 42(8), 809–816. | 미소장 |
49 | Mansell, J., Knapp, M., Beadle-Brown, J., & Beecham, J. (2007). Deinstitutionalisation and community living – outcomes and costs: report of a European Study. UK: University of Kent. | 미소장 |
50 | Marquant, T., & Torres-Gonzalez, F. (2018). Deinstitutionalization versus transinstitutionalization. Forensic Psychiatry and Psychology in Europe, 293–304. | 미소장 |
51 | Novella, E. J. (2010). Mental health care in the aftermath of deinstitutionalisation: A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view. Health Care Analysis, 18(3), 222–238. | 미소장 |
52 | O’Neill, J., Brown, M., Gordon, W., & Schonhorn, R. (1985). The impact of deinstitutionalization on activities and skills of severely/profoundly mentally retarded multiply-handicapped adults. Applied Research in Mental Retardation, 6(3), 361–371. | 미소장 |
53 | Sealy, P., & Whitehead, P. C. (2004). Forty years of deinstitutionalization of psychiatric services in Canada: an empirical assessment.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Revue canadienne de psychiatrie, 49(4), 249–257. | 미소장 |
54 | Slavkovic, Sanela & Tamas, Daniela. (2019).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different types of housing.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19, 25-39. | 미소장 |
55 | United Nations(UN). (2017). General comment No. 5 (2017) on living independently and being included in the community. New York: Author. | 미소장 |
56 | United Nations(UN). (2022a). Concluding observations on the combined second and third periodic reports of the Republic of Korea. New York: Author. | 미소장 |
57 | United Nations(UN). (2022b). Guidelines on deinstitutionalization, including in emergencies. New York: Author. | 미소장 |
58 | Widrick, G. C., Bramley, J. A., & Frawley, P. J. (1997). Psychopathology in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before and after deinstitutionalization.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9(3), 223–24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