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라사리요 2부』(1555)와 『돈키호테』 : 동굴 신화의 알레고리적 해석 = La segunda parte de Lazarillo de Tormes(1555) and Don Quixote : allegorical interpretations of cave myths / 권미선 1
[요약] 1
1. 들어가기 2
2. 알레고리 문학작품 읽기 3
3. 『라사리요 2부』(1555) : 『라사리요』(1554)의 알레고리적 해석 6
4. 몬테시노스 동굴 이야기 13
4-1. 돈키호테의 정신적 죽음 14
4-2. 거짓과 진실의 경계 16
5. 나가기 20
참고문헌 21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미선(2013), “『끄로딸론 Crotalón』의 대화체 안에 담겨있는 소설적 전통”, 『스페인어문학』, 87-109. | 미소장 |
2 | 김누리(2003), 『알레고리와 역사』, 민음사. | 미소장 |
3 | 김미영, 백성해(2020), “인문학과 과학의 융합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43-62. | 미소장 |
4 | 김수경(2021), “알레고리를 활용한 문학 작품 읽기의 한 방법”, 『리터러시 연구』, 42호, 313-344. | 미소장 |
5 | 로버트 루트번스타인(1999), 『생각의 탄생』, 에코의 서재. | 미소장 |
6 | 마르트 로베르(1999), 『기원의 소설, 소설의 기원』, 문학과 지성사. | 미소장 |
7 | 백승욱(2013), “스페인 15세기 알레고리의 사실주의 경향”,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24., 173-194. | 미소장 |
8 | 선주원(2009), “알레고리의 구현 읽기와 서사교육”, 『교사교육연구』, 25(2), 121-137. | 미소장 |
9 | 전창배(2015), “알레고리와 상징 –구조와 특징 비교 연구”, 『비교문학』, 67집, 289-311. | 미소장 |
10 | 정정훈(2019), “교육과정학 연구방법으로서 알레고리(allegory)의 이론과 방법 탐구”, 『교육문화연구』, 25권 5호, 439-462. | 미소장 |
11 | 존 맥퀸(1992), 『알레고리』, 송낙헌 역, 서울대 출판부. | 미소장 |
12 | 토마스 웨스트(2011), 『글자로만 생각하는 사람, 이미지로 창조하는 사람』, 지식갤러리. | 미소장 |
13 | 허영주(2013), “대학 융합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탐색”. 『교육종합연구』, 45-79. | 미소장 |
14 | Alonso-Fernández, Francisco(2005), El Quijote y su laberinto vital, Barcelona: Anthropos. | 미소장 |
15 | Anónimo(1990), Lazarillo de Tormes, Madrid: Cátedra. | 미소장 |
16 | Anónimo y Juan de Luna(1988), Segunda Parte del Lazarillo, Madrid: Cátedra. | 미소장 |
17 | Avellaneda, Alfonso Fernández de(2011), El Quijote apócrifo, Madrid: Cátedra. | 미소장 |
18 | Basante, Angel(1992), Cervantes y la creación de la novela moderna, Madrid: Anaya. | 미소장 |
19 | Bataillon, M.(1966), Erasmo y España, México: FCE. | 미소장 |
20 | Castro, Américo(1926), “Lo picaresco y Cervantes”, Revista de Occidente, XI, 353-354. | 미소장 |
21 | Castro, Américo(1960), “Los prólogos al Quijote”, Hacia Cervantes, Madrid: Taurus, 231-266. | 미소장 |
22 | Cervantes, Miguel de(1989), Don Quijote de la Mancha I, II, Madrid: Cátedra. | 미소장 |
23 | Cervantes, Miguel de(2015), Don Quijote de la Mancha I, II, Madrid: RAE. | 미소장 |
24 | Eisenberg, Daniel(1993), Cervantes y Don Quijote, Barcelona: Montesinos, | 미소장 |
25 | Fletcher, Angus, Allegory-The Theory of a Symbolic Mode, Cornell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6 | Fogelquist, James Donald(1982). El Amadís y el género de la historia fingida, Madrid: José Porrúa Turanzas. | 미소장 |
27 | Genette, Gerard(1989), Palimpsestos La literatura en segundo grado, Madrid: Taurus. | 미소장 |
28 | Gómez, Jesús (1988), El diálogo en el Renacimiento Español, Madrid: Cátedra. | 미소장 |
29 | Guillén, Jorge(1952), “Vida y muerte de Alonso Quijano”, Romanische Forschungen, 6, 102-113. | 미소장 |
30 | Lázaro Carreter, Fernando(1972), Lazarillo de Tormes en la picaresca, Barcelona: Ariel. | 미소장 |
31 | López Griera, Luisa(1983), “En torno a la descripción en la prosa de los Siglos de Oro”, Homenaje a José Manuel Blecua, Madrid: Gredos, 347-357. | 미소장 |
32 | Navarro Durán, Rosa(2011), Tres personajes satíricos en busca de su autor. Lázaro de Tormes, el atún Lázaro y Caronte en su diálogo con Pedro Luis Farnesio, Valladolid: Universidad de Valladolid. | 미소장 |
33 | Piñero Ramírez, Pedro M.(1990), “Lázaro cortesano (Segunda parte del Lazarillo de Amberes 1555, capítulos XIII-XIV”, Bulletin Hispanique, 92/1, 591-607. | 미소장 |
34 | Piñero Ramírez, Pedro M.(2014), “La Segunda parte del Lazarillo(1555). Suma de estímulos diversos o los comienzos ‘desconcertados’ de un género nuevo”, Criticón, 120-121. | 미소장 |
35 | Prieto, A. (1980), “Prosa en el siglo XVI”, Historia de la literatura española, Madrid: Taurus, 92-95. | 미소장 |
36 | Montalvo, Garcí Rodríguez de(1987), Amadís de Gaula, I, ed. de Juan Manuel Cacho Blecua, Madrid: Cátedra. | 미소장 |
37 | Ortiz, Domínguez(1963), La sociedad española en el siglo XVII, Madrid: Alfaguara. | 미소장 |
38 | Rico, Francisco(1988), El Problema del Lazarillo, Madrid: Cátedra. | 미소장 |
39 | Sánchez, Aquilino(2001), Gran diccionario de uso del español actual, Alcobendas-Madrid: SGEL. | 미소장 |
40 | Trevor Davies, R.(1969), La decadencia española, 1621-1700, Barcelona: Labor. | 미소장 |
41 | Tuñon, M.(1982), Historia de la España, vol.V, Barcelona: Labor. | 미소장 |
42 | Vian, Ana(1997), “El diálogo de las trasformaciones de Pitágoras, la tradición satírica menipea y los orígenes de la picaresca: confluencia de estímulos narrativos en la España renacentista”, La invención de la Novela, ed. de J. Canavaggio, Madrid: Casa de Velázquez, 117-141. | 미소장 |
43 | Villanova, Antonio(1989), “El Asno de oro de Apuleyo, fuente y modelo del Lazarillo de Tormes”, Erasmo y Cervantes, Barcelona: Lumen, 126-14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