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유형자산 투자와 무형자본 지출의 추세 검증을 통해 한국 기업의 투자 패턴 변화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1993년부터 2021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으로 표본을 구성한다. 검증 결과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의 유형자산 투자는 표본기간 동안 평균, 중간값, 그리고 총액 모두 시계열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감소 추세는 기업들의 투자기회가 감소했기 때문이 아니라, 투자기회에 대한 기업의 투자 민감도가 시계열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검증된다. 이에 반해, 무형자본에 대한 지출은 일부(총액) 에서 증가 추세를 보이며, 투자 민감도는 감소 추세를 보이지 않는다. 유형자산 투자와 무형자본 지출의 대조적 패턴은 생산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유형자산 투자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는 반면, ICT 및 서비스 기업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무형자본 지출이 유형자산 투자의 일부를 대체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examines trends in physical asset investment and intangible capital expenditure. The sample consists of firms listed on the KOSPI from 1993 to 2021. The findings show a decline in the average, median, and aggregate investment in physical assets over the sample period. The decline is not attributed to a decrease in investment opportunities, but rather to a decrease in the sensitivity of firms' investment to investment opportunities over time. Spending on intangible capital, on the other hand, shows a slight and upward trend in aggregate, and the sensitivity to investment opportunities does not show a downward trend. This contrasting pattern of physical asset investment and intangible capital expenditure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fact that, while the demand for physical assets is decreasing due to advances in production technology, intangible capital expenditure is substituting for some of the capital expenditure as ICT and service firms increase their share in the Korean econom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내 기업의 유형자산과 무형자본 투자에 대한 추세 검증 = Trends in corporate physical and intangible capital investment 김병모 p. 1-24

중소기업 정책(금융)평가를 위한 인과추론 방법론 = Causal inference for (financing) policy evaluation 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understanding potential outcome approach and do-calculus approach : 잠재결과(Potential Outcome) 접근법과 Do-Calculus 접근법에 대한 이해 장호규 p. 25-53

라이브커머스에서의 충동구매의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impulsive buying in live commer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 심리적 소유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여순위, 김형준 p. 55-75

화장품 소비자의 인지된 ESG 경영이 브랜드 이미지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effects of perceived ESG by cosmetics consumers on brand image and loyalty : the moderating effect of brand authenticity : 브랜드 진정성의 조절효과 장유진, 민지홍, 유재욱 p. 77-98

(The) effects of online shopping trust and recommendation system trust on the customer cross-buying intention =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신뢰와 추천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교차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moderation effect of shopping interest Sergelen Darkhantuya, Tsetsegsuren Davaasuren, Yoonseo Park p. 99-129

메타버스의 개인 공간에 대한 심리적 소유감 및 메타버스 참여(engagement) 의도 사이의 관계 규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of metaverse personal space and engagement intention 이민영, 이재혁, 김상현 p. 131-156

국민계정통계 개선 국제논의, 한국 현황 및 향후 개선방안 = International discussions on improvement of national account statistics, current status in Korea and implications : focusing on quality of life measurement : 삶의 질 측정을 중심으로 이상호, 이광원 p. 157-214

실질환율이 러시아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effect of real exchange rate on trade balance of Russia in the short and long run : 장단기 효과를 중심으로 Rubanova Inna, 전기영 p. 215-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