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아이즈너의 교육적 감식안에 따른 수업 평가 준거 탐색 = A study on the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by Eisn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 권채리 ; 조호제 1

요약 1

Ⅰ. 서론 2

Ⅱ. 이론적 배경 3

1. 수업 평가 3

2. 아이즈너의 교육적 감식안 4

Ⅲ. 연구방법 및 절차 5

1. 실행연구 5

2. 연구 참여자 및 학습 단원 6

3. 연구 절차 8

4. 수업 평가 준거 9

Ⅳ. 아이즈너의 교육적 감식안에 따른 수업 평가 10

1. 교육적 감식안에 따른 수업 평가 결과표 11

2. 교육적 감식안에 따른 수업 평가결과 11

3. 교육적 감식안의 차원에 따른 수업 평가 준거 탐색 18

Ⅴ. 결론 및 논의 20

참고문헌 23

ABSTRACT 25

초록보기

이 연구는 수업 평가에 대한 양적 접근 방식을 보완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아이즈너의 교육적 감식안에 따른 수업 평가 준거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탐색한 수업 평가 준거로 중학교 3학년 국어 수업을 실제로 평가하여, 아이즈너 수업 평가방식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찾고 수업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교육적 감식안의 5가지 차원에 따른 수업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도적 차원에서 교사는 의도적 학습 목표 이외에도 실제적 학습 목표를 고려한 수업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 인적, 시간적 구조에 있어서 문제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적 차원에서 학습자의 흥미, 수준, 타 교과의 연계 등을 고려하여 수업이 설계되었지만 여전히 교사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진 부분이 있었다. 넷째, 수업 차원에서 교사의 발화는 크고 명료했고, 흥미로운 수업 자료를 가지고 수업을 진행했다. 애정을 가지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학급 관리에서는 부족한 모습이 보였다. 다섯째, 평가 차원에서 개별 및 조별 피드백이 적절하게 이루어졌으나, 실적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참평가는 교실 상황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은 수업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감식안에 따른 총 19개의 평가 준거를 도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이즈너의 교육적 감식안에 따른 수업 평가 준거 탐색 = A study on the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by Eisn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권채리, 조호제 p. 1-25

보기
디지털휴먼 대화유형이 정서 및 주의집중에 대한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versational style with digital human on learning experience of emotions and attention 김국현, 류지헌, 이선옥 p. 27-49

보기
대학원생 직업적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aptitude scale for graduate students 김보영, 정수정, 김유겸 p. 51-72

보기
교사학습공동체 평가준거체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for teachers' learning community 김하정, 원효헌 p. 73-101

보기
교사 셀프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 self-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이경숙, 김희규 p. 103-128

보기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변화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 Investigating longitudinal chang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career maturit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academic stress 이지수, 안현선 p. 129-149

보기
개화기 송당 김성희의 언론활동과 교육관 = A study on Kim Sung-Hee's educational thoughts du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1881-1910) in Korea 전민호, 신현정 p. 151-175

보기
초·중등학교 교사의 AI·디지털 역량 우선순위 분석 = An analysis of priorities for AI-digital competenc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Korea 정주영, 김희규, 주영효 p. 177-203

보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using text mining 조남옥, 조규락 p. 205-224

보기
Satisfied and working hard in online courses =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성취목표가 학습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만족도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chievement goals mediated by classroom sense of community YoonJung Cho, Sungok Serena Shim, Elena Son p. 225-247

보기
정책실패 예방 관점에서의 지역인재 투자협약제도 요구분석 = Needs analysis of local talent investment agre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failure prevention : implications for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 주는 시사점 주휘정, 김택형 p. 249-280

보기
교육과정 실행에서 개념적 접근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주제 탐색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teacher education program topics for a conceptual approach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한진호, 임유나, 최한올 p. 281-311

보기
초등교사의 AI·디지털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 탐색 =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AI and digital-based lessons 현민영, 임다미, 정슬기, 최고은, 김대권, 박인우 p. 313-338

보기

참고문헌 (3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지영·소경희(2011). 국내 교육관련 실행연구(action research) 동향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2(3), 197-224. 미소장
2 고창규(2014). 초등교사들이 '박'교사 수업의 평가 사례에서 주목하는 수업 내용. 인문사회과학연구, 15(1), 391-423. 미소장
3 곽영순·김주훈(2002). 좋은 수업방법에 대한 질적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5(1), 207-220. 미소장
4 곽영순·강호선(2005). 교사평가 수업평가: 수업평가 바로하기. 서울: 원미사. 미소장
5 곽은순(2011). 경력교사의 유치원 수업평가 기준 탐색: 질적 접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31-53. 미소장
6 김동욱(2014). 아이즈너의 교육적 감식안에 의한 초등국어 수업 비평. 석사학위논문.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7 김미숙, 권진희(2015).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대중음악 내용 변화 연구. 음악교육공학, 23, 39-57. 미소장
8 김아영(2002). 아이즈너 교육비평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9 김양숙(2006). 아이즈너 교육비평에 함의된 수업평가의 성격.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0 김정원(2002). 질적 수업평가의 시도. 초등교육연구, 15(2), 65-84. 미소장
11 김주아(2001). 학교평가에서 질적 접근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2 류정민(2014). 아이즈너의 교육과정 논의에 근거한 목표진술과 평가방식에 대한 고찰 : 2009 개정 중학교음악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3 박승배(2006). 교육비평-엘리어트 아이즈너의 질적연구방법론. 파주: 교육과학사. 미소장
14 성태제(2020). 교육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미소장
15 이혁규(2009). 교육현장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방법. 교육비평, 25, 196-213. 미소장
16 이현승(2011). 아이즈너의 교육적 감식안에 의한 어느 초등 중학년 미술 수업에 대한 교육비평.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7 임찬빈 외(2004).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 KICE 연구리포트 2004. 45-52. 미소장
18 장성모(2006). 수업의 예술. 파주: 교육과학사. 미소장
19 정재찬(2010). 수업 비평적 관점을 통한 초등 국어 수업 사례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44, 107-139. 미소장
20 황철형·정상원(2021). 백워드 설계를 위한 참평가의 준거 탐색.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9(3), 257-282. 미소장
21 홍지혜(2016). 수업에서 목표의 의미: 아이즈너 관점.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미소장
22 Çetin, Esen & Gündoğdu, Kerim(2020). The evaluation of the 7th grade English curriculum according to the Eisn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and criticism model. Ilkogretim Online, 19(3), p1242-1266, 25p. 미소장
23 Eisner, W. E. (1979). The educational imagination: O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School programs. 이해명 역(1983). 교육적 상상력: 교육과정의 구성과 평가. 단국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24 Eisner, W. E. (1982). Cognition and curriculum : a basis for deciding what to teach. 표상형식의 개발과 교육과정. 김대현, 이영만 역.(1994)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25 Eisner, W. E. (1998). The enlightened eye: Qualitative inquiry and the enhanc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질적 연구와 교육. 박승배 외 역(2001). 서울: 학이당. 미소장
26 Kemmis, S. & McTaggart, R. (2000).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IN DENZIN, N. & LINCOLN, Y.(Eds.)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미소장
27 Khanipoor F, Amini M & Bazrafcan L(2017). Evaluation of educational program in the Master of Medical Education by Eisn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and criticism model. Journal of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6, pp. 55. 미소장
28 Koetting, J. R. (1988). Educational connoisseurship and educational criticism: Pushing beyond information and effectiveness. Fifth Annual Open Forum: The Foundational Issues of the Field, 442-457. 미소장
29 MUTLUER, Özgül & GÜROL, Mehmet(2022). Evaluation of homeschool program according to Eisn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and criticism model. Trakya Journal of Education, 12(3), p1859-1882, 24p. 미소장
30 Wiggins, G & McTighe, J.(2005). Understanding by design(2nd ed.).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강현석, 이원희, 허영식, 이자현, 유제순, 최윤경 역 (2008). 거꾸로 생각하는 교육과정개발- 교과의 진정한 이해를 목적으로. 서울: 학지사. 미소장
31 Yüksel, İsmail(2010). How to conduct a qualitative program evaluation in the light of Eisn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and criticism model. Turkish Online Journal of Qualitative Inquiry, 1(2), p78-83, 6p.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