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가상환경에서 사용자의 긍정적인 경험을 위해 디지털휴먼의 대화유형이 사용자의 의인화지각, 정서가, 정서참여,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가상학습환경에서 긍정적인 학습경험 설계를 위해 디지털휴먼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휴먼과의 대화유형을 ‘사회지향대화’와 ‘과제지향대화’로 나누어 사용자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참여자는 성인 45명(남자=14명, 여자=31명)이었으며, 두 대화유형을 연이어 경험한 후 의인화지각 설문에 응답했다. 참여자의 정서와 주의집중을 확인하기 위해 참여자가 대화하는 동안 얼굴표정과 시선정보를 수집하였다. 얼굴표정에서 정서가(valence)와 정서참여(emotional engagement)를 확인하였으며, 시선정보에서 시선 고정시간과 분당 눈 깜박임 횟수를 통해 주의집중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참여자는 ‘과제지향대화’에서 보다 ‘사회지향대화’에 참여하는 동안 디지털휴먼에 더 높은 의인화지각, 긍정적 정서, 그리고 주의집중을 보였다. 이 연구 결과는 사용자가 ‘사회지향대화’를 할 때 ‘과제지향대화’보다 더 긍정적인 정서를 지니고 디지털휴먼과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가상학습환경에서 디지털휴먼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