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대학원생 직업적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aptitude scale for graduate students / 김보영 ; 정수정 ; 김유겸 1

요약 1

Ⅰ. 서론 2

Ⅱ. 방법 6

1. 연구대상 6

2. 측정도구 7

3. 연구절차 7

Ⅲ. 결과 8

1. 조작적 정의의 적합도 8

2.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산출 10

3. 확인적 요인분석 13

4. 타당도 검증 15

5. 신뢰도 검증 16

Ⅳ. 논의 17

참고문헌 20

ABSTRACT 22

초록보기

본 연구는 대학원생의 직업적성을 측정하는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업적성의 개념, 기존 측정도구,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하였고, 진로전문가 및 교수의 자문을 수행하여 예비문항을 확정하였다. 대학원생으로만 구성된 연구대상자는 1차 설문의 경우, 1356명, 2차 설문의 경우, 947명이었다. 2회의 설문조사를 통해 1차시에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평가도구의 요인을 결정하고, 2차시에는 확인적 요인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해 결정된 요인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원생의 직업적성을 측정하기 적합한 요인은 9개로 나타났고, 둘째, 진로유연성의 하위변인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직업적성 평가도구의 공인타당도인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의의 또한 논의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이즈너의 교육적 감식안에 따른 수업 평가 준거 탐색 = A study on the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by Eisn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권채리, 조호제 p. 1-25

보기
디지털휴먼 대화유형이 정서 및 주의집중에 대한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versational style with digital human on learning experience of emotions and attention 김국현, 류지헌, 이선옥 p. 27-49

보기
대학원생 직업적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aptitude scale for graduate students 김보영, 정수정, 김유겸 p. 51-72

보기
교사학습공동체 평가준거체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for teachers' learning community 김하정, 원효헌 p. 73-101

보기
교사 셀프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 self-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이경숙, 김희규 p. 103-128

보기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변화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 Investigating longitudinal chang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career maturit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academic stress 이지수, 안현선 p. 129-149

보기
개화기 송당 김성희의 언론활동과 교육관 = A study on Kim Sung-Hee's educational thoughts du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1881-1910) in Korea 전민호, 신현정 p. 151-175

보기
초·중등학교 교사의 AI·디지털 역량 우선순위 분석 = An analysis of priorities for AI-digital competenc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Korea 정주영, 김희규, 주영효 p. 177-203

보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using text mining 조남옥, 조규락 p. 205-224

보기
Satisfied and working hard in online courses =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성취목표가 학습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만족도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chievement goals mediated by classroom sense of community YoonJung Cho, Sungok Serena Shim, Elena Son p. 225-247

보기
정책실패 예방 관점에서의 지역인재 투자협약제도 요구분석 = Needs analysis of local talent investment agre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failure prevention : implications for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 주는 시사점 주휘정, 김택형 p. 249-280

보기
교육과정 실행에서 개념적 접근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주제 탐색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teacher education program topics for a conceptual approach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한진호, 임유나, 최한올 p. 281-311

보기
초등교사의 AI·디지털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 탐색 =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AI and digital-based lessons 현민영, 임다미, 정슬기, 최고은, 김대권, 박인우 p. 313-338

보기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보영(2019a). 진로유연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20(4), 113-131. 미소장
2 김보영(2019b). 진로유연성 집단 분류와 기본심리욕구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을 통한 집단 특성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25(3), 29-46. 미소장
3 김보영(2021). 대학생의 진로유연성 및 진로관여활동 특성에 따른 직업의사결정단계 특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1), 31-39. 미소장
4 김지영, 장원섭(2017). 특수대학원에 재학하는 직장인의 학습체계와 모순에 대한 연구. 평생학습사회, 13(4), 1-23. 미소장
5 김현미(2021). 예비음악교사의 학업 및 진로준비에 대한 어려움 탐색. 인문사회 21, 12(3), 2061-2076. 미소장
6 선혜연(2011). 대학 학부생과 대학원생, 성인학습자 간의 진학 목적 및 진로성숙도 차이. 인간이해, 32(2), 165-179. 미소장
7 선혜연, 김영빈, 황매향(2020). 여성 성인학습자의 진로가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 841-860. 미소장
8 송인섭(1997). 자아개념의 발달경향 분석. 교육심리연구, 11(1), 121-156. 미소장
9 윤정혜(2015). 공공 행정 기관에서의 사회복지현장실습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7(3), 315-342. 미소장
10 이민욱, 장현진, 김대영, 이가영(2020). 대학교수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요구분석. 진로교육연구, 33(2), 157-177. 미소장
11 이상학, 서영석(2017). 남성 초심상담자의 상담수련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4), 985-1026. 미소장
12 진미석(2006). 석사학위자들의 진로결로와 학위 효용가치 인식을 통해 본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의 기능. 교육학연구, 44, 135-159. 미소장
13 한숭희, 이은정(2016). 고등교육 보편화와 체제적 복잡화: 고등교육과 평생학습의 화학적 결합. 평생학습사회, 12(1), 1-31. 미소장
14 황윤정(2018). 유아교육기관장의 일과 학업병행 경험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171-194. 미소장
15 Bingham, W. V. (1937). Aptitudes and aptitude testing. New York: Harper & Brothers. 미소장
16 Holland, J. L. (1987). Current status of Holland's theory of careers: Another perspective. 미소장
17 Kim, B. (2016).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career flexibility inventory.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미소장
18 Kim, B., Lee, S., & Lee, S. M. (2020). Exploration of latent profiles of the career flexibility inventory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ing, 57(2), 50-65. 미소장
19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미소장
20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1), 79-122. 미소장
21 Miller, T. K., & Winston Jr, R. B. (1990). Assessing development from a psychosocial perspective. College student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for the, 49, 99-126. 미소장
22 Parsons, F. (1909). Choosing a vocation. Brousson Press. 미소장
23 Snow, R. E. (1992). Aptitude Theory: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Educational Psychologist, 27(1), 5–32. 미소장
24 Suwiknyo, P. (2022).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aptitude and attitude on burnout rates and work performance (literature review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Dinasti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Business Management, 3(4), 631-64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