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대학원생 직업적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aptitude scale for graduate students / 김보영 ; 정수정 ; 김유겸 1
요약 1
Ⅰ. 서론 2
Ⅱ. 방법 6
1. 연구대상 6
2. 측정도구 7
3. 연구절차 7
Ⅲ. 결과 8
1. 조작적 정의의 적합도 8
2.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산출 10
3. 확인적 요인분석 13
4. 타당도 검증 15
5. 신뢰도 검증 16
Ⅳ. 논의 17
참고문헌 20
ABSTRACT 22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보영(2019a). 진로유연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20(4), 113-131. | 미소장 |
2 | 김보영(2019b). 진로유연성 집단 분류와 기본심리욕구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을 통한 집단 특성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25(3), 29-46. | 미소장 |
3 | 김보영(2021). 대학생의 진로유연성 및 진로관여활동 특성에 따른 직업의사결정단계 특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1), 31-39. | 미소장 |
4 | 김지영, 장원섭(2017). 특수대학원에 재학하는 직장인의 학습체계와 모순에 대한 연구. 평생학습사회, 13(4), 1-23. | 미소장 |
5 | 김현미(2021). 예비음악교사의 학업 및 진로준비에 대한 어려움 탐색. 인문사회 21, 12(3), 2061-2076. | 미소장 |
6 | 선혜연(2011). 대학 학부생과 대학원생, 성인학습자 간의 진학 목적 및 진로성숙도 차이. 인간이해, 32(2), 165-179. | 미소장 |
7 | 선혜연, 김영빈, 황매향(2020). 여성 성인학습자의 진로가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 841-860. | 미소장 |
8 | 송인섭(1997). 자아개념의 발달경향 분석. 교육심리연구, 11(1), 121-156. | 미소장 |
9 | 윤정혜(2015). 공공 행정 기관에서의 사회복지현장실습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7(3), 315-342. | 미소장 |
10 | 이민욱, 장현진, 김대영, 이가영(2020). 대학교수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요구분석. 진로교육연구, 33(2), 157-177. | 미소장 |
11 | 이상학, 서영석(2017). 남성 초심상담자의 상담수련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4), 985-1026. | 미소장 |
12 | 진미석(2006). 석사학위자들의 진로결로와 학위 효용가치 인식을 통해 본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의 기능. 교육학연구, 44, 135-159. | 미소장 |
13 | 한숭희, 이은정(2016). 고등교육 보편화와 체제적 복잡화: 고등교육과 평생학습의 화학적 결합. 평생학습사회, 12(1), 1-31. | 미소장 |
14 | 황윤정(2018). 유아교육기관장의 일과 학업병행 경험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171-194. | 미소장 |
15 | Bingham, W. V. (1937). Aptitudes and aptitude testing. New York: Harper & Brothers. | 미소장 |
16 | Holland, J. L. (1987). Current status of Holland's theory of careers: Another perspective. | 미소장 |
17 | Kim, B. (2016).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career flexibility inventory.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 미소장 |
18 | Kim, B., Lee, S., & Lee, S. M. (2020). Exploration of latent profiles of the career flexibility inventory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ing, 57(2), 50-65. | 미소장 |
19 |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 미소장 |
20 |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1), 79-122. | 미소장 |
21 | Miller, T. K., & Winston Jr, R. B. (1990). Assessing development from a psychosocial perspective. College student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for the, 49, 99-126. | 미소장 |
22 | Parsons, F. (1909). Choosing a vocation. Brousson Press. | 미소장 |
23 | Snow, R. E. (1992). Aptitude Theory: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Educational Psychologist, 27(1), 5–32. | 미소장 |
24 | Suwiknyo, P. (2022).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aptitude and attitude on burnout rates and work performance (literature review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Dinasti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Business Management, 3(4), 631-64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